성인간호학(GS) 직장암환자 루프 회장루 간호 - Rectal Ca. Pt의 루프 회장루(Loop ileostomy) 간호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GS) 직장암환자 루프 회장루 간호 - Rectal Ca. Pt의 루프 회장루(Loop ileostomy) 간호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진단명 : Rectal Ca.

Ⅱ 병태생리
⒈대장(large intestine)
⒉대장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⒊직장
⒋원인으로는,

Ⅲ임상증상

Ⅳ검사
⒈수술 전 검사와 그 의미
⒉영상 진단 및 내시경
⒊혈청 및 생화학 검사, 분변 검사

Ⅴ치료

Ⅵ간호
⒈수술 전 간호 계획
⒉장루 수술 후 간호
⒊장루에 관한 수술 후의 합병증과 대책

Ⅶ참고문헌

Ⅷ사례연구
Ⅰ. 인적 사항
Ⅱ. 주 호 소 (Chief complaint)
Ⅲ. 건 강 력
Ⅳ. 진 단 명
Ⅴ. 알 러 지
Ⅵ. 투 약
Ⅶ. 신체기관별 문진 소견
Ⅷ. 신체 사정
Ⅸ. 임상검사 / 진단 검사
Ⅹ.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 콜레스테롤 대사 산물과 독성 대사산물을 만든다.
이들이 대장세포를 손상시켜 발암물질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2)섬유질 섭취 부족- 섬유질은 음식물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발암물질과 장 점막과의 접촉시간을 단축시키고 장 내 발암물질을 희석시키는 작용을 한다.
3)칼슘, 비타민D의 부족- 대장암 발생 억제에 효과가 있다.
4)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있을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5)대장 용종- 선종성 용종이라는 암의 전단계를 거쳐 암으로 발전하게 된다.
6)유전적 요인- 대장암이나 대장선종을 가진 환자의 가족은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7)50세 이상의 연령- 대장암은 연령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Ⅲ임상증상
대변 잠혈, 협착, 배변 통, 견고한 대변, 장폐쇄 증상(복통, 복부팽만, 오심 등).
하혈은 만성적이고 빈혈을 동반한다.
전이는 복막 침윤과 혈행성으로 간 및 폐에 보여진다.
Ⅳ검사
수술 전 검사와 그 의미
①대장 X-ray, Colonoscopy
-병변이 악성인가 양성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병변의 범위와 절제부위 및 방식 결절 하여 항문 괄약근 보존술로 할 것인가, 직장 절제술 또는 장루 성형술로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암이 혈행성 전이를 일으키거나 골반 내 전체 장기에 침윤되기 쉬우므로 다른 장기의 병변 또는 전이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②수술 전 배뇨 기능과 성 기능 등 제반 기능을 체크
③ 전신 상태의 파악
-빈혈, 간기능, 신기능 등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전신 관리를 위한 검사가 필요.
영상 진단 및 내시경
①대장 X-ray : 대장병변의 상태와 범위 등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②대장경 검사 : 직장경(proctoscopy) 및 점막 생검(mucous Bx) : 병변의 상태와 범위를 확인하고 점막 생검을 하여 병변이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결정.
③복부 초음파 검사 (Abd sono) : 주로 암인 경우에 간 전이 유무와 직장암 등에서 골반이나 다른 장기로의 침윤 정도를 파악 할 때에 시행.
④복부 컴퓨터 단층촬영 (CT) : 초음파의 목적과 같다.
⑤수액 정맥주사 신우 조영법 (drip intravenous pyebgraphy; DIP) : 직장암 등에서 요관이나 방광으로의 침윤이 의심스러울 때나 요관의 주행을 알고 싶을 때 시행.
⑥혈관 조영술 : 암 침윤 정도의 진단에 참고로 하고, 그 밖에 허혈성 장염의 진단상 중요한 검사이며, 대장 크론씨 병 및 궤양성 대장염 등에서도 진단상에 참고로 함.
⑦방광경 검사 : 암의 방광벽 침윤이 예상될 경우 시행
혈청 및 생화학 검사, 분변 검사
-CBC : 빈혈 유무를 체크하고, 수술 전 및 수술중의 수혈 준비를 결정
-Na, K, Cl : 장폐쇄 증상과 설사 등에 의한 전해질 변화를 수술 전에 체크하고, 수액 방침을 결정
-TP(total protein), Alb, Tcho(total cholesterol) 등 : 수술 전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수술 방식 및 수술 전후의 영양 관리를 판단할 때 중요
-GOT, GPT, LDH, ALP 등 : 수술 전에 간 장애 유무 또한 악성인 경우의 간 전이 유무의 진단에 참고
-CEA, Ca19-9 : 종양 표지자로서 대장 및 직장암에는 불가결한 검사
Ⅴ치료
: 대장 전 절제술 후 루프 회장루(Loop ileostomy).
총 결장-직장 절제술 (total protocolectomy)
결장과 직장을 완전 제거 후 항문을 폐쇄 -> 회장 말단부를 복벽 밖으로 나오게 하여 영구적 회장루를 형성.
루프 회장루(Loop ileostomy)술.
이 밖에도, ileostomy의 방법으로는 ①전통적 회장루술(conventional ileostomy ②조절성 회장루술(continent ileostomy)등이 있다.
Ⅵ간호
장루 간호는 수술 직후부터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에 이르기까지 의사, 간호사, 장루 전문간호사 등의 지도하에 환자나 가족이 충분히 자가관리 할 수 있도록 관리상의 요점과 그 의의를 이해하여 습관적으로 익숙해지도록 한다.
수술 전 간호 계획
①장루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정
:신체소견
시각장애 : 연어 또는 tape recorder및 손 감각을 이용하도록 지도한다.
청각장애 : 시간 및 손 감각을 이용하도록 지도하고, 보청기를 착용하도록 한다.
노인 : 교육 시간을 짧게 하고 반복하여 교육하며, 교재는 간단하고 큰 글자를 사용한다.
학습하기 곤란한 경우 (6~7세 이하의 어린이) : 명확한 발음과 큰 글씨로 동일 용어를 사용하여 반복교육 한다. 포스터 또는 매체를 사용하여 지도한다.
②상담
목적 : 환자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함.
교육관점 : 위장관계의 해부생리에 대해 교육한다.
수술 과정에 대해 합리적인 근거를 마련한다.
장루의 기능과 모양을 알려준다.
배뇨 장애 및 잠재적인 성기능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장루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③정보제공
1) 기본적인 간호에 대해 알려준다.
:장루와 관련된 수술 전후의 간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품이나 모형을 이용하여 주머니 비우기에 대한 시범을 보인다.
2) 환자가 더 많은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경우에는 다음 내용을 시도할 수 있다.
:잔루 관리에 대한 질문에 답한다.(식이, 장내 가스, 의복, 수술 전 생활의 회복정도)
장루 제품에 대해 소개를 한다.
3) 장루 위치 선정 및 목적
목적 : 독자적으로 장루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준비물 : 유성팬, flange가 달린 피부 보호판(marking disc로 사용), 알코올 스펀지, 필요시 덮개
사정 내용
:예정된 장루 수술의 종류
-복직근의 위치
-피부 보호판을 부착할 수 있는 복부 표면
-접히는 곳, 상처, 배꼽, 뼈 돌출 부위, 허리선의 위치
-환자가 볼 수 있는지의 여부
-보조기의 위치
방법
:환자에게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따듯하게 주위 환경을 조성한다.
회장루의 잠정적인 위치(RLQ)를 설명하여 회장루가 허리띠 위치보다 아래로 가는 것이 좋다는 것, 장루부위에 피부주름이 접히면 안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3.1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