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독일의 선거제도란 어떤것인가?
EU 내에서의 독일의 리더쉽
EU 내에서의 독일의 리더쉽
본문내용
으며 이에따라 국민들은 실패한 정권인 사민당에 큰 실망을 하고 기민당/기사당 연합에 지지를 하게된다. 이 연합당은 연정의 파트너로 처음에 사민당을 택한후 불안정적인 정치를 시작하는데 이때 등장한 메르켈 총리가 독일의 8대 수상으로써 최초의 여성총리로써 등극한다. 그녀는 특유의 서민적 풍의 어눌한 말솜씨를 가졌지만 흔들리지 않는 정치력으로써 독일의 경제를 성장시키고 정치가 안정적이게 돌아오게했다. 이때 통일된 이후로 최고의 경기성장을 얻으며 유럽의 복잡한 경제문제와 그리스문제 등 세계정세 가운데에서 독일의 위상을 아주 높이며 인기가 높은 정치인이 되었다.
- 이러한 메르켈의 엄청난 영향력이 기민당/기사당 연합에 엄청난 지지율을 가져온 것으로 생각한다. 내가 만약 독일 국민이었어도 여러 어려움과 경제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탄탄하게 독일을 키운 총리를 선택 하였을것이다. 하지만 독일에서 일부 이러한 의견들이 나온다고 한다. 이번 선거는 기만당/기사당 연합의 승리가 아닌 앙겔라 메르켈의 승리라고. 즉 포스터에도, 선거 홍보에도, 방송에도 등등 모두 메르켈로 도배 하였으며 이전 독일에서의 선거에서는 한번도 없었던 인물을 내세운, 인물의 인기를 내세운 선거였다는 관점이다. 그러나 내 생각에는 이러한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예전과 비교해 독일의 정당간 정책의 차이가 그리 차이가 나지않는 현실에 매체가 많이 발달하였으므로 인물의 효과가 영향력이 클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기민당/기사당 연합이 의석을 장악하면 당연히 메르켈이 총리로 나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국민들도 그것을 원하기에 메르켈 총리가 있는 기민당/기사당 연합에 표를 던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번 총선을 이전의 총선들과 비교해보면 우선 결론적으로 좌파정당들이 현 우파인 기민당/기사당 연합의 의석수 보다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연정이었던 자민당의 몰락 즉, 정치적 색깔이 가장 비슷했던 정당의 지지율이 떨어지고 다른 신생정당들이나 기존 좌파정당들의 지지율이 더욱 증가했다는 것이다. 그 의미는 이번 기민당/기사당 연합이 아까 말했듯 앙겔라 메르켈의 인기로써 다른 정당들의 정책에 마음이 갔던 투표자 들의 마음까지 빼앗아 많은 지지율을 얻었지만 그 정당자체의 정책을 선택한 지지율은 실제 득표율 보다 더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정당에는 앙겔라 메르켈 이외의 인물에는 특별히 눈에 띄는 인물이 없어보인다. 따라서 이번 총리기간 이후 다음 총선때는 꼭 기민당/기사당 연합의 정책이 재선에 성공할거라는 보장은 없어보인다. 결론적으로 규제완화, 민영화, 자유시장경제를 기치로 감세 등등 신 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앞세운 자민당이 몰락한것은 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자유시장경제와 신 자유주의를 앞세운 세력이 의회의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선거에서 눈에 띄었던 부분은 독일의 극우정당도 완전 몰락했다는 점이다. 이는 EU 내에서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등에서는 극우정당에 대한 지지율이 거의 10~15%나 되는것에 비교하면 독일의 정치적 기반이 매우 안정
- 이러한 메르켈의 엄청난 영향력이 기민당/기사당 연합에 엄청난 지지율을 가져온 것으로 생각한다. 내가 만약 독일 국민이었어도 여러 어려움과 경제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탄탄하게 독일을 키운 총리를 선택 하였을것이다. 하지만 독일에서 일부 이러한 의견들이 나온다고 한다. 이번 선거는 기만당/기사당 연합의 승리가 아닌 앙겔라 메르켈의 승리라고. 즉 포스터에도, 선거 홍보에도, 방송에도 등등 모두 메르켈로 도배 하였으며 이전 독일에서의 선거에서는 한번도 없었던 인물을 내세운, 인물의 인기를 내세운 선거였다는 관점이다. 그러나 내 생각에는 이러한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예전과 비교해 독일의 정당간 정책의 차이가 그리 차이가 나지않는 현실에 매체가 많이 발달하였으므로 인물의 효과가 영향력이 클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기민당/기사당 연합이 의석을 장악하면 당연히 메르켈이 총리로 나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국민들도 그것을 원하기에 메르켈 총리가 있는 기민당/기사당 연합에 표를 던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번 총선을 이전의 총선들과 비교해보면 우선 결론적으로 좌파정당들이 현 우파인 기민당/기사당 연합의 의석수 보다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연정이었던 자민당의 몰락 즉, 정치적 색깔이 가장 비슷했던 정당의 지지율이 떨어지고 다른 신생정당들이나 기존 좌파정당들의 지지율이 더욱 증가했다는 것이다. 그 의미는 이번 기민당/기사당 연합이 아까 말했듯 앙겔라 메르켈의 인기로써 다른 정당들의 정책에 마음이 갔던 투표자 들의 마음까지 빼앗아 많은 지지율을 얻었지만 그 정당자체의 정책을 선택한 지지율은 실제 득표율 보다 더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정당에는 앙겔라 메르켈 이외의 인물에는 특별히 눈에 띄는 인물이 없어보인다. 따라서 이번 총리기간 이후 다음 총선때는 꼭 기민당/기사당 연합의 정책이 재선에 성공할거라는 보장은 없어보인다. 결론적으로 규제완화, 민영화, 자유시장경제를 기치로 감세 등등 신 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앞세운 자민당이 몰락한것은 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자유시장경제와 신 자유주의를 앞세운 세력이 의회의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선거에서 눈에 띄었던 부분은 독일의 극우정당도 완전 몰락했다는 점이다. 이는 EU 내에서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등에서는 극우정당에 대한 지지율이 거의 10~15%나 되는것에 비교하면 독일의 정치적 기반이 매우 안정
키워드
추천자료
유럽연합(EU)
중부 유럽의 현재 경제적 위치와 EU통합 의의
[국제 경제]동유럽제국의 EU 가입 후 경제 전망
이동통신망 상호접속제도의 현안과 EU국가 상호접속제도 현황 및 시사점
[유럽문화]유럽연합(EU) 대하여..
동유럽 제국의 EU 가입 후 경제현황과 전망 (2007년 작성, 최신 자료)
[국제]유럽연합 (EU , European Union)
경제통합, 지역경제통합(EU),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향후 전망과 한국의 대응방안
[국제경영] EU 및 기타 경제통합사례
WTO,지역경제통합(EU),FTA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사례연구 - EU, 신용평가사 신용을 평가하라, 기업 신용등급 버블 심각… 못믿을 신용평가사, ...
[레포트] 한국과 EU FTA
[국제통상] 한-EU FTA의 중요성과 현재까지 현황
[유럽연합] EU의 추진배경과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