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심리] 자긍심(自矜心/Self-Esteem)에 대한 신학과 심리학의 관점 - 기독교교육의 자아(self)의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교육심리] 자긍심(自矜心/Self-Esteem)에 대한 신학과 심리학의 관점 - 기독교교육의 자아(self)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왜냐하면, 그의 내면에는 타자중심적 자긍심이 충만해 있었기 때문이다.
다윗은 평소에,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다.” (시 23:1)는 삶의 철학을 가지고 살았다. 이 고백 속에서 우리는 다윗의 타자중심적 자긍심이 얼마나 많이 발달해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하나님이 다윗의 주어가 되는 삶이었다. 다윗은 철저한 하나님중심의 사람이었다. 이 싸움에서 승리한 사람은 다윗이었다. 그 결과 하나님께 대한 영광이 하늘을 치솟았고 수많은 생명들을 구할 수가 있었다.
만약 골리앗이 이겼다면,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속에 하나님께 대한 회의심이 가득 찼을 것이며, 수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을 것이다. 다윗의 내면에 자리잡고 있던 타자중심적 자긍심이 위대한 역사를 일으켰듯이, 오늘날 우리들의 내면에 이와 같은 타자중심적 자긍심을 발달시킨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드높이고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종석 저, 기독교 교육심리, 생명의 양식 2008
고원석, 김도일 외 저, 기독교교육개론, 장로회신학대학교 2013
박경호 저, 기독교 평생교육론, CLC 2014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