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2. 미군정기의 교육의 시작 : ‘한국교육위원회’와 ‘조선교육심의회’
3. 미군정 하의 주요 교육정책과 목표 : 철저한 미국 중심의 정책
4-1. 미군정기 교육의 특징① : 보수우파와 친일파 주도의 교육정책
4-2. 미군정기 교육의 특징② : 영어구사능력의 중요성과 교육의 대미 종속화
5. 나가며
- 참고문헌
1. 들어가며
2. 미군정기의 교육의 시작 : ‘한국교육위원회’와 ‘조선교육심의회’
3. 미군정 하의 주요 교육정책과 목표 : 철저한 미국 중심의 정책
4-1. 미군정기 교육의 특징① : 보수우파와 친일파 주도의 교육정책
4-2. 미군정기 교육의 특징② : 영어구사능력의 중요성과 교육의 대미 종속화
5. 나가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화정책의 일부였다. 교육을 이용하여 그들의 군사적 통치를 손쉽게 하려하였다. 이는 미국에 교육적으로 종속됨을 의미하고 이는 현재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5. 나가며
해방 후에 우리의 교육은 자주적 독립국가의 수립과 건전한 근대성 회복을 목표로 했어야 했다. 식민지배로 인해 강제적으로 이식된 근대성과 잔존하던 봉건성의 모순을 해체하고, 식민성을 극복하여야 했다. 자주적으로 근대국가의 기틀을 재정비해나가야 했다. 하지만 미국은 군정이라는 폭력성을 앞세워서 우리나라의 주권은 무시한 채 미국의 이해관계에 의해 갖가지 정책을 펴갔다. 특히 교육을 냉전시대 속에서 이데올로기 전쟁의 수단으로 사용하며 일제가 동화교육을 통해 한반도 지배를 정당화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통해서 미국의 정당치 못한 점령을 한국인이 우호적으로 인지하도록 하였다. 억압을 위해 교육을 사용하였다.
짧다면 짧을 수도 있는 미군정 3년 동안의 교육은 현재까지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미국지향적인 인물들에 의해 수립된 교육정책과 목표, 방향이었기에 교육에 있어 미국에 종속되고, 나아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서 미국을 쫓아가는 풍토의 바탕이 이때 생겼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교육,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의 시작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지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미군정의 교육정책을 살펴보는데 의의를 둔다.
참고문헌
# 김인회, 『한국교육의 역사와 문제』, 한국학술정보, 2002.
# 손인수, 『미군정과 교육 정책』, 민영사, 1992.
# 이길상, 『20세기 한국교육사 : 민족, 외세 그리고 교육』, 집문당, 2007.
5. 나가며
해방 후에 우리의 교육은 자주적 독립국가의 수립과 건전한 근대성 회복을 목표로 했어야 했다. 식민지배로 인해 강제적으로 이식된 근대성과 잔존하던 봉건성의 모순을 해체하고, 식민성을 극복하여야 했다. 자주적으로 근대국가의 기틀을 재정비해나가야 했다. 하지만 미국은 군정이라는 폭력성을 앞세워서 우리나라의 주권은 무시한 채 미국의 이해관계에 의해 갖가지 정책을 펴갔다. 특히 교육을 냉전시대 속에서 이데올로기 전쟁의 수단으로 사용하며 일제가 동화교육을 통해 한반도 지배를 정당화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통해서 미국의 정당치 못한 점령을 한국인이 우호적으로 인지하도록 하였다. 억압을 위해 교육을 사용하였다.
짧다면 짧을 수도 있는 미군정 3년 동안의 교육은 현재까지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미국지향적인 인물들에 의해 수립된 교육정책과 목표, 방향이었기에 교육에 있어 미국에 종속되고, 나아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서 미국을 쫓아가는 풍토의 바탕이 이때 생겼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교육,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의 시작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지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미군정의 교육정책을 살펴보는데 의의를 둔다.
참고문헌
# 김인회, 『한국교육의 역사와 문제』, 한국학술정보, 2002.
# 손인수, 『미군정과 교육 정책』, 민영사, 1992.
# 이길상, 『20세기 한국교육사 : 민족, 외세 그리고 교육』, 집문당, 2007.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고교평준화 제도에 관한 찬반 양론과 평준화 정책의 보완
교수학습모형의 특징과 평가 및 의견 - 일반사회교육론
[교육사회학] 삼불정책에 대한 논쟁과 나의 생각
[사회과학]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 -동원모형
사회과교육의 목표와 교육과정
교육과정사회학과 학교사회학의 주요 특징
참여정부(노무현정부)의 신자유주의정책, 사회복지정책, 참여정부(노무현정부)의 노동정책, ...
[교육사회학] 학교폭력 개념, 특징, 실태, 원인, 해결방안.docx & pptx
우리나라 평생교육정책의 한계점 극복 방안,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우수레포트★][평생교육]_ 평생교육 및 사회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지역사회학교의 개념, 특...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데 심리사회적 원인을 분...
대안 학교, 본연의 씨앗을 찾아서.. & 「교육사회」수업 느낀점 (한국의 대안학교 인식, ...
학교 위기론 [교육사회학] {탈학교정책, 학교사망론, 학급위기론}
2015년 2학기 교육사회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육복지우선사업 정책취지, 기대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