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신화에서 우주론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서양 철학의 탄생-
2장. 기독교 철학의 전성기 -중세(교부 철학과 스콜라 철학) -
3장 대변혁의 시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4장. 혁명과 왕정 복고 -합리주의에서 계몽주의 및 그 극복까지-
5장 낭만적인 철학함 -이성의 타자(他者)
6장 신칸트주의에서 프래그머티즘으로 -낡은 가치들의 전복인가, 새로운 정립인가?
7장. 20세기 전반기의 철학 -논리실증주의, 현상학, 실존주의, 그리고 정치 철학
8장 아우슈비츠 이후의 철학함 - 근대적인 거의 위기에서 해체로-
9장. 세 번째 밀레니엄을 향한 출발 - 최근 20년간의 페미니즘 철학-
2장. 기독교 철학의 전성기 -중세(교부 철학과 스콜라 철학) -
3장 대변혁의 시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4장. 혁명과 왕정 복고 -합리주의에서 계몽주의 및 그 극복까지-
5장 낭만적인 철학함 -이성의 타자(他者)
6장 신칸트주의에서 프래그머티즘으로 -낡은 가치들의 전복인가, 새로운 정립인가?
7장. 20세기 전반기의 철학 -논리실증주의, 현상학, 실존주의, 그리고 정치 철학
8장 아우슈비츠 이후의 철학함 - 근대적인 거의 위기에서 해체로-
9장. 세 번째 밀레니엄을 향한 출발 - 최근 20년간의 페미니즘 철학-
본문내용
는 결혼한 후에도 일을 버리지 않고 계속하였다.
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에르크스레벤, 본명 레포린 (1715~1762년) 291쪽
도로테아 에르크스레벤은 175년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의 특별허가로 할레 대학에서 공개적으로 구술시험을 치르고 학위를 얻어낸 독일 최초의 여성 의사로서 명성을 날렸다. 그는 여성들에게 수동적인 체념에 빠지지 말고 인색함, 게으름, 교만, 시기와 질트 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호소한다. 또한 교육받을 권리를 당당하게 요구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부모들에게도 딸들에게 가능한 한 많은 교육을 시키라고 요구하면서 여성들의 박사 학위 취득이 필수는 아니지만 그런 가능성마저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한다.
올림프 드 구주 (1748~1793년)297쪽
그는 서른 살 때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언론인, 극작가, 철학자 등가 접촉하며 독학으로 자신의 정신 세계를 넓혀간다. 그리고 아주 빠른 속도로 사회.정치적이고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은 희곡과 소설, 그리고 대화록 등을 펴냈다.
올림프 드 구주는 성의 사회적.정치적.법률적 평등 확보라는 차원에서 1789년의 인권 선언의 조항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여성의 권리 선언 조항을 구성했다. 이 ‘여성의 권리 선언’은 후대에 여성 운동의 고전적인 문헌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1759~1797년) 309쪽
그는 여성 작가로서 특이하게 정치.사회 분야의 출판계에서 활동했다는 사실이다. 그는 자신의 글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읽히기를 바랐고, 가족과 직업, 공공 생활에서 독립.자유.평등에 대해 여성들이 누려야 하는 권리를 얻기 위해 남녀가 함께 투쟁할 것을 호소했다.
도로테아 슐뢰처(1770~1825년) 322쪽
도로테아 슐뢰처는 독일 최초로 여성 철학자의 자격을 얻었다. 그의 학문 세계에의 ‘효용성’에 대해 종종 의문이 제기되곤한다.
소피 제르맹 (1776~1831년) 332쪽
그는 칸트가 말한, 인간은 인간적 주체성의 범위를 넘어설 수 없다는 명제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칸트가 제기한 물음은 그 바탕에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완전한 확실성을 보장해주는 무조건적인 실재성을 파괴해버리는 데서 출발 하기 때문이다.” 이를 사회적 과정들에 적용할 경우, 제르맹이 말하는 자연의 합법칙성들은 “사회의 각종 힘들의 평생사변성”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 합법칙성들은 “자신의 마력을 상실한” 예술들이 다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준다.
클레르 데마(1800~1833년)337쪽
서른 살에 생시몽주의 모임에 가담해 여성에 대한 사회학적이고 성적인 억압 실태를 폭로하고 비판하는 활동을 했다. 클레르 데마는, 이 모임이 평등사상으로 무장한 이론적 논의를 띄어 넘어 여성의 진정한 해방과 정체성 발견을 위해 실천적인 지주 역할을 해주기를 열망했지만, 그것은 허망한 바람일 뿐이었다. 생시몽주의자들은 남녀 할 것 없이 그와 거리를 두려고 하는 방관자들이었다.
플로라 트리스탕(1803~1844년) 346쪽
플로라 트리스탕의 사상이 역사철학에서 차지하는 이상을 다룬 문헌은 지금까지 단 하나도 없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비판가들에 맞서 그의 입장을 옹호해주기는 했지만,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집 인명 색인에서조차도 플로라 트리스탕이라는 이름은 프랑스의 여성 작가이자 “소시민적인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의 대변자”로만 나온다.
해리엇 하디 테일러-밀 (1807~1858년)360쪽
그들은 철저하게 공리주의 윤리학의 의미에서 “더불어 사는 남녀의 자유로운 활동에 대한 모든 제한”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런 “제한을 가하면 가할수록 인간 행복의 샘은 메말라버리고, 개개의 인간이 인생을 가치 있고 살 만한 것이라고 여기게 하는 모든 것을 훨씬 더 궁핍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5장 낭만적인 철학함 -이성의 타자(他者)
373쪽
낭만주의는 시대적으로 계몽주의 말기와 겹치면서 자연스럽게 독일의 관념론 철학과 대립하게 된다. 낭만주의의 모태는 무엇보다도 자연철학미학문학이었다. 문학에서의 낭만주의가 독일 고전주의 문하에 대한 반동으로 이해된 반면, 철학에서의 낭만주의는 합리주의의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했다. 초기의 낭만주의자들은 대립물들의 조화와 화해에 힘썼다.
천재의 독자이자 후원자로서의 여성 376쪽
여성들에게 학문을 할 수 있는 길이 여전히 차단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지적인 직업 활동을 하려고 갖은 노력을 다했다.
여성 낭만주의자들의 편지 문화 377쪽
낭만주의 시대에 독서와 편지 쓰기는 교양 있고 부유한 여성들이 시간을 때우는 문화적인 기술이었다. 그래서 그들의 문화적 생산은 처음에는 편지에 한정되었고, 한참 후에야 문학이나 희곡 작품들이 나왔다.
살롱 문화와 낭만적인 사교378쪽
유럽 살롱 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무목적성과 강제성 없는 형식이었다. 특별히 초대를 받지 않더라도 거기에 온 사람들은 입장과 관계없이 문화철학정치에 관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었다. 여기서 핵심은 여성과 ‘여성적인’ 대화 수행의 기술이었다.
카롤리네 폰 귄데로데(1780~1806년)389쪽
카롤리네 폰 귄데로데는 철학을 하는 시인이자 우울한 분위기를 간직한 독일의 신화 이다.귄데로데의 삶에서는 미학적으로 철학적인 성찰들이 감정적인 기만들과 ‘모든 사물에서의 절제’앞에서 느끼는 구역질과 연결되어 있었다.
카롤리네 슐레겔-셸링(1763~1890년)398쪽
카롤리네는 살아 있는 동안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상가들에게 연인이자 공동 작업자로서 그리고 영감의 원천으로서 이상적인 상대였다.
셸링의 삶은 공생적이었다. 카롤리네는 헌신적일 만큼 그를 존경했다.
제르멘 드 스탈(1766~1817년)406쪽
제르멘 드 스탈은 여성 소설가가 아니었다. 그는 문학을 인간 정신에 봉사하는 무기로 생각했다. 그는 이상적인 자유주의를 계몽의 철학 및 감성적인 심성과 결합시키려 했는데, 훗날 독일 낭만주의를 프랑스에 도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볼테르와 몽테스키외이는 그의 스승이었고 나폴레옹도 스탈을 잘 알고 있었다.
라엘 레빈 파른하겐(1771~1833) 417쪽
자기만의 사유를 하는 라엘에게 성찰하고 반성하는 일은 삶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었다.
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에르크스레벤, 본명 레포린 (1715~1762년) 291쪽
도로테아 에르크스레벤은 175년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의 특별허가로 할레 대학에서 공개적으로 구술시험을 치르고 학위를 얻어낸 독일 최초의 여성 의사로서 명성을 날렸다. 그는 여성들에게 수동적인 체념에 빠지지 말고 인색함, 게으름, 교만, 시기와 질트 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호소한다. 또한 교육받을 권리를 당당하게 요구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부모들에게도 딸들에게 가능한 한 많은 교육을 시키라고 요구하면서 여성들의 박사 학위 취득이 필수는 아니지만 그런 가능성마저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한다.
올림프 드 구주 (1748~1793년)297쪽
그는 서른 살 때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언론인, 극작가, 철학자 등가 접촉하며 독학으로 자신의 정신 세계를 넓혀간다. 그리고 아주 빠른 속도로 사회.정치적이고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은 희곡과 소설, 그리고 대화록 등을 펴냈다.
올림프 드 구주는 성의 사회적.정치적.법률적 평등 확보라는 차원에서 1789년의 인권 선언의 조항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여성의 권리 선언 조항을 구성했다. 이 ‘여성의 권리 선언’은 후대에 여성 운동의 고전적인 문헌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1759~1797년) 309쪽
그는 여성 작가로서 특이하게 정치.사회 분야의 출판계에서 활동했다는 사실이다. 그는 자신의 글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읽히기를 바랐고, 가족과 직업, 공공 생활에서 독립.자유.평등에 대해 여성들이 누려야 하는 권리를 얻기 위해 남녀가 함께 투쟁할 것을 호소했다.
도로테아 슐뢰처(1770~1825년) 322쪽
도로테아 슐뢰처는 독일 최초로 여성 철학자의 자격을 얻었다. 그의 학문 세계에의 ‘효용성’에 대해 종종 의문이 제기되곤한다.
소피 제르맹 (1776~1831년) 332쪽
그는 칸트가 말한, 인간은 인간적 주체성의 범위를 넘어설 수 없다는 명제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칸트가 제기한 물음은 그 바탕에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완전한 확실성을 보장해주는 무조건적인 실재성을 파괴해버리는 데서 출발 하기 때문이다.” 이를 사회적 과정들에 적용할 경우, 제르맹이 말하는 자연의 합법칙성들은 “사회의 각종 힘들의 평생사변성”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 합법칙성들은 “자신의 마력을 상실한” 예술들이 다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준다.
클레르 데마(1800~1833년)337쪽
서른 살에 생시몽주의 모임에 가담해 여성에 대한 사회학적이고 성적인 억압 실태를 폭로하고 비판하는 활동을 했다. 클레르 데마는, 이 모임이 평등사상으로 무장한 이론적 논의를 띄어 넘어 여성의 진정한 해방과 정체성 발견을 위해 실천적인 지주 역할을 해주기를 열망했지만, 그것은 허망한 바람일 뿐이었다. 생시몽주의자들은 남녀 할 것 없이 그와 거리를 두려고 하는 방관자들이었다.
플로라 트리스탕(1803~1844년) 346쪽
플로라 트리스탕의 사상이 역사철학에서 차지하는 이상을 다룬 문헌은 지금까지 단 하나도 없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비판가들에 맞서 그의 입장을 옹호해주기는 했지만,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집 인명 색인에서조차도 플로라 트리스탕이라는 이름은 프랑스의 여성 작가이자 “소시민적인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의 대변자”로만 나온다.
해리엇 하디 테일러-밀 (1807~1858년)360쪽
그들은 철저하게 공리주의 윤리학의 의미에서 “더불어 사는 남녀의 자유로운 활동에 대한 모든 제한”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런 “제한을 가하면 가할수록 인간 행복의 샘은 메말라버리고, 개개의 인간이 인생을 가치 있고 살 만한 것이라고 여기게 하는 모든 것을 훨씬 더 궁핍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5장 낭만적인 철학함 -이성의 타자(他者)
373쪽
낭만주의는 시대적으로 계몽주의 말기와 겹치면서 자연스럽게 독일의 관념론 철학과 대립하게 된다. 낭만주의의 모태는 무엇보다도 자연철학미학문학이었다. 문학에서의 낭만주의가 독일 고전주의 문하에 대한 반동으로 이해된 반면, 철학에서의 낭만주의는 합리주의의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했다. 초기의 낭만주의자들은 대립물들의 조화와 화해에 힘썼다.
천재의 독자이자 후원자로서의 여성 376쪽
여성들에게 학문을 할 수 있는 길이 여전히 차단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지적인 직업 활동을 하려고 갖은 노력을 다했다.
여성 낭만주의자들의 편지 문화 377쪽
낭만주의 시대에 독서와 편지 쓰기는 교양 있고 부유한 여성들이 시간을 때우는 문화적인 기술이었다. 그래서 그들의 문화적 생산은 처음에는 편지에 한정되었고, 한참 후에야 문학이나 희곡 작품들이 나왔다.
살롱 문화와 낭만적인 사교378쪽
유럽 살롱 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무목적성과 강제성 없는 형식이었다. 특별히 초대를 받지 않더라도 거기에 온 사람들은 입장과 관계없이 문화철학정치에 관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었다. 여기서 핵심은 여성과 ‘여성적인’ 대화 수행의 기술이었다.
카롤리네 폰 귄데로데(1780~1806년)389쪽
카롤리네 폰 귄데로데는 철학을 하는 시인이자 우울한 분위기를 간직한 독일의 신화 이다.귄데로데의 삶에서는 미학적으로 철학적인 성찰들이 감정적인 기만들과 ‘모든 사물에서의 절제’앞에서 느끼는 구역질과 연결되어 있었다.
카롤리네 슐레겔-셸링(1763~1890년)398쪽
카롤리네는 살아 있는 동안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상가들에게 연인이자 공동 작업자로서 그리고 영감의 원천으로서 이상적인 상대였다.
셸링의 삶은 공생적이었다. 카롤리네는 헌신적일 만큼 그를 존경했다.
제르멘 드 스탈(1766~1817년)406쪽
제르멘 드 스탈은 여성 소설가가 아니었다. 그는 문학을 인간 정신에 봉사하는 무기로 생각했다. 그는 이상적인 자유주의를 계몽의 철학 및 감성적인 심성과 결합시키려 했는데, 훗날 독일 낭만주의를 프랑스에 도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볼테르와 몽테스키외이는 그의 스승이었고 나폴레옹도 스탈을 잘 알고 있었다.
라엘 레빈 파른하겐(1771~1833) 417쪽
자기만의 사유를 하는 라엘에게 성찰하고 반성하는 일은 삶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주자 도덕철학의 연구
여성 리더십
한국의 근대 여성과 서구 중심주의: 식민지, 박정희 정권, 현재의 담론을 중심으로
스튜어트 밀의 여성의 예속
[철학과]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뜻으로 본 한국 역사
[니체][니체사상][니체철학]니체의 탄생과 성장, 니체의 종교와 신의 부재, 니체의 전통 형이...
홀리스틱교육의 특징, 홀리스틱교육의 역사, 홀리스틱교육의 기본방침, 홀리스틱교육과 열린...
[식민주의, 식민주의와 식민적 근대성, 식민주의와 식민주의담론, 식민주의와 일제단맥설, 식...
문학_이광수 무정_소개 및 내용요약, 소감문.hwp
여성복지 - 여성근로자의 복지
[요약]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_ 베리소온, 매릴린 얄롬 엮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