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Ⅰ] 신생아실 사전과제, 신생아실 레포트입니다. A+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Ⅰ] 신생아실 사전과제, 신생아실 레포트입니다. A+ 자료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생아 건강사정
2. 정상반사사정
3. 활력증상
4. Apgar score
5. Admission identification
6. 흡인
7. Bath
8. Jaundice care
9. 퇴원간호

본문내용

발을 책상 위에 올려놓는 듯 움직인다
2개월
긴장성 경반사
앙와위에서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다
얼굴이 향하는 쪽 굴근의 긴장이 사라져 팔과 다리를 펴고 반대쪽 사지는 굴곡된다; 펜싱자세
3-4개월
사지에서 관찰되는 반사
반사명
유도 방법
신생아 반응
소실 시기
바빈스키반사
발바닥 외측을 발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가볍게 긁는다
엄지 발가락은 배굴되고 나머지 발가락은 벌어지고 과신전된다
1년
손바닥 잡기반사
손바닥에 손가락이나 물건을 놓는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쥔다
3개월
발바닥 잡기반사
엄지발가락 아래 부위 발바닥을 누른다
발가락을 발 앞쪽으로 오므린다
8개월
3. 활력증상
정상 결과
비정상 결과와 가능한 원인
심첨맥박
- 120-160 회/분
(수면시 100, 울 때 180)
울 때 상승할 수 있음
서맥-심한 질식, 부정맥
빠른맥(안정시160이상)-감염, 중추신경계 장애, 부정맥
약한 맥박-심박출량 저하
호흡
- 30-60 회/분
- 흉부와 복부움직임의 동시성
- 횡격막 및 복식호흡
빠른호흡-폐렴, 호흡기부전증후군
빠르고 얕은 호흡-고혈압 산모에게 투여한 약물로 인한 고마그네슘혈증, 일과성 빠른 호흡
30회이하 호흡수-산모마취 혹은 진통제 추여
호기성 천명, 늑간근 함몰, 비익호흡-RDS
무호흡-한랭스트레스, 호흡부전
체온
- 액와: 36.5-37.0
- 항문: 36.6-37.2
- 고체중 신생아는 체온이 높은 경향
고체온-방, 옷이나 포가 너무 더움, 탈수, 패혈증, 뇌손상
저체온-뇌간손상, 한랭, 패혈증
두 측정 간에 1℃이상 차이-감염
혈압
-출생시: 80-60/70-50 mmhg
-생후10일: 100/50mmhg
낮은 혈압-저혈량, 쇼크
4. Apgar score
아프가 점수는 자궁외 생활에 대한 신생아의 즉각적인 반응을 사정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출생 1분, 5분 후에 측정하며 신생아의 상태가 심각하면 상태가 안정될 때가지 반복한다. 총점 0~3점이면 적응에 심한 곤란이 있는 위험한 상태로 즉각 소생술이 요구되므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해야 하며 4~6점이면 중증도의 곤란 상태로 24시간 집중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7~10점은 양호한 상태로 일상적인 간호와 관찰이 필요하다.
항목
내용
점수
0
1
2
심박동수
출생직후 150-180회/분
이후 120-150회/분
없음
100회 이하
100회이상
호흡노력
흡기력의 지연여부 검사,
흉부청진, 흉곽의 움직임 관찰
없음
느리고 불규칙
양호, 울음
근력
사지를 신전 시킨 후 굴곡 상태로 환원되는 정도 사정
늘어져 있음
약간의 굴곡
자발적 움직임
자극에대한 반응
비강의 카테터 자극에 대한 반응
반응없음
찡그림
재채기 혹은 기침
피부색
입술, 손바닥, 구강 점막 등 말초조직 산화 정도 사정
청색 혹은 창백
몸체는 분홍색 사지는 청색
(말단청색증)
완전한 분홍색
5. Admission identification
신생아가 신생아실에 이송되어 오면 신분확인을 위해 부모의 기록과 아기의 팔과 다리에 부착된 확인밴드의 내용을 대조하거나, 확인밴드가 없는 경우 곧바로 부착한다. 확인밴드에 기록되는 정보는 보통 산모의 이름, 아버지의 이름, 산모의 병록지 번호, 신생아의 성, 출생 일시 등이다. 동명이인인 경우에는 A, B로 구분하고, 쌍둥이인 경우에는 1, 2로 구분한다.
General hygiene
eye care, eye drop
신생아 안염과 감염성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0.5% erythromycin 이나 1% tetracycline을 점안한다. 1%질산은 은 임균원인균에는 비효과적이기 때문에 많은 신생아실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출생 후 1시간 후에 투약할 것을 권장하며 눈감염 조기발견위해 자주 관찰하고, 청결유지 위해 목욕 후에는 멸균 생리식염수 솜으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주어야 한다.
ear care
목욕 후 면봉으로 조심스럽게 닦으며 이때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대비해서 새끼손가락을 아기의 턱이나 뺨에 고정한다.
special mouth care
머리가 만출될 때 태변이 묻어있는 경우에는 첫 호흡을 하기 전에 구상 흡인기나 DeLee trap catheter로 비인두를 흡인한다. 구강을 거즈로 닦아내는 것은 구강 감염이나 상처를 유발하므로 하지 않도록 한다.
제대간호
제대는 혈관의 수와 결찰 부위의 출혈과 감염여부를 관찰해야 한다. 제대 혈관은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으로 이루어 져 있는지 확인하고 탯줄이 건조 탈락할 때까지 매일 2~3회 혹은 오염된 즉시 70%alcohol 이나 bacitracin 연고, 혹은 gentian violet을 탯줄과 탯줄 기저부의 2.5cm 부위까지 바르고 기저귀는 제대 아래쪽에 댄다.
6. 흡인
구강, 후두, 코로부터 점액, 혈액, 삼킨 양수 등의 분비물이 중력에 의해 배액되도록 6~8시간 동안 머리를 15~30도 정도 낮춘 측위로 눕힌다. 구상 흡인기를 신생아 가까이에 비치하여 필요할 때 흡인해 준다. 양수나 점액의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인두를 먼저 흡인하고 난 다음 비강을 흡인한다.
분비물을 완전하게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기계흡인기를 사용한다.
7. Feeding
bottle
온도와 유출속도를 확인하고 수유할 때에는 젖꼭지 부분 에 공기가 없게 해야 한다. 시간은 20분 정도가 적당하고 안고 수유 하는 것이 좋다.
breast feeding
유아에게 엄마 젖을 먹이는 것으로, 가장 이상적인 시기는 출생 직후이다. 출산 후 첫 24시간 내에는 100mL 이하로 소량의 모유가 분비되지만 지속적으로 젖을 빨게 하면 4~5일 후에는 약 500~750mL로 증가된다. 출산 후 첫 수일간 나오는 초유는 색깔이 진하고 단백과 무기질이 많고, 탄수화물과 지방은 적으며, 면역 성분이 많아서 초유를 먹이는 것은 중요하다.
gavage
feeding
1. 목적
재태기간 32~34주 미만인 미숙아는 빨기 반사와 연하 반사가 미약하고 후두개와 목젖의 기능이 조화롭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식도의 운동이 정상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위관으로 영양을 공급한다.
2. 적용방법
위관의 길이는 코로 삽입 할 때는 코끝에서 귀를 거쳐 검상돌기 까지이고 입으로 삽입할 때는 코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5.0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