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
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세포의 발견 과정과 세포설을 구성하는 4가지 개념
2. 세포의 종류
3.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4. 식물세포와 동물세포
4-1.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구조
4-2.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3.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3-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3-2. 식물세포의 관찰 : 양파표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4.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1-2. 식물세포의 관찰 : 양파표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2. 실험 방법(Method)
2-1. 동물세포의 관찰
2-1. 식물세포의 관찰
5. 결 과(Result)
5-1. 동물세포의 관찰
5-2. 식물세포의 관찰
6. 고찰(Discussion)
1. 메틸렌블루로 핵이 염색되는 원리
2. 왼쪽의 구강상피세포를 관찰하려고 할 때 물 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이유
3. 글리세린수를 세포에 떨어뜨리는 이유
7.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세포의 발견 과정과 세포설을 구성하는 4가지 개념
2. 세포의 종류
3.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4. 식물세포와 동물세포
4-1.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구조
4-2.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3.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3-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3-2. 식물세포의 관찰 : 양파표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4.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1-2. 식물세포의 관찰 : 양파표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2. 실험 방법(Method)
2-1. 동물세포의 관찰
2-1. 식물세포의 관찰
5. 결 과(Result)
5-1. 동물세포의 관찰
5-2. 식물세포의 관찰
6. 고찰(Discussion)
1. 메틸렌블루로 핵이 염색되는 원리
2. 왼쪽의 구강상피세포를 관찰하려고 할 때 물 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이유
3. 글리세린수를 세포에 떨어뜨리는 이유
7.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본문내용
조 2. 동물세포의 구조
4-2.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1) 식물세포에서의 액포와 동물세포에서의 액포의 차이점
액포는 막으로 싸인 거대한 세포소기관으로 세포벽, 세포 함유물과 마찬가지로 후형질에 속한다. 후형질은 원형질에서 2차적으로 생긴 물질을 말하며, 세포의 생명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액포는 대부분의 식물세포에서 관찰 가능하며 일부 동물세포도 가지고 있는 기관으로, 액포 속에는 당류, 무기염류, 유기산, 단백질 등이 포함된 세포액이 들어 있다. 이 세포액은 같은 세포 내의 액포 간에도 그 구성성분에 차이를 보인다.
1. 식물 세포에서 액포의 역할
액포는 세포가 활동하면서 만들어지는 독성물질이나 노폐물 등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동물세포의 경우, 리소좀에 의해 독성물질이나 노폐물 등이 분해되는데, 식물세포는 이러한 역할을 주로 액포가 담당한다. 리소좀이 동물세포에만 존재하는지, 식물세포에도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식물세포에서 독성물질이나 노폐물을 처리하는 일은 주로 액포가 담당하고 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이외에도 세포 내부의 이온농도 및 산성을 유지하고, 세포의 세포질을 세포막 쪽으로 밀어내어 엽록체를 세포 바깥쪽, 즉 가능한 빛에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도 수행한다.
액포는 또한 안토시아닌과 같은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세포의 색깔을 결정하기도 한다. 안토시아닌은 단풍나무의 붉은색을 내는 색소이다. 액포는 이렇게 많은 물질들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액포와 세포질 사이에 농도 차이가 생기게 되고, 삼투압에 의해 액포 속으로 물이 흡수된다. 물이 흡수되면 액포가 커지고, 커진 액포가 세포벽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렇게 세포 내부에서 외부에 가하는 압력을 팽압이라 한다. 팽압이 증가하면 식물체가 건강하고 탄력 있게 되며 팽압을 유지하지 못하면 세포에 원형질 분리현상이 일어난다. 액포는 이렇게 식물체의 삼투압 조절 및 형태 유지에도 관여한다. 식물에서 세포의 수명이 오래될수록, 또 세포가 커질수록 액포 역시 발달해 크기가 증가하며, 이는 세포 내부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2. 동물세포에서 액포의 역할
일부 원생생물 및 체내의 대식세포(macrophage)는 세포내소화를 위하여 액포의 일종인 식포(food vacuole)를 이용한다. 또한 원생동물인 아메바나 짚신벌레와 같은 담수산 생물의 체내에는 체표 가까이에 액포의 일종인 수축포(contractile vacuole)를 두어 체내의 잉여 염류나 배출물을 체외로 배출시켜 삼투압을 조절하는 데 이용한다.
(2) 식물세포에만 있고 동물세포에는 없는 세포 소기관
1. 세포벽
진핵세포에서는 식물세포에만 존재하며, 셀룰로오스, 펙틴, 리그닌 등이 주성분이다. 세포분열이 끝나고 어린 세포가 만들어지면 먼저 1차세포벽이 생기게 되는데, 1차세포벽의 주성분이 셀룰로오스다. 그리고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세포들의 1차세포벽 사이에 중간층이 형성되는데, 이 중간층의 주성분이 펙틴이다. 그러다 세포가 완전히 자라고 나면 1차세포벽의 안쪽에 2차세포벽이 생기는데, 2차세포벽의 주성분은 리그닌이나 큐틴 등으로 매우 견고한 벽이 만들어진다. 세포벽은 세포막에 비해 두껍고 견고하여 세포를 보호하고 모양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세포를 농도가 매우 낮은 용액에 넣었을 때, 삼투압에 의해 세포 안으로 물이 흡수되어도 세포가 잘 터지지 않고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세포벽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물질의 출입을 조절하는 능력은 없으며 이 기능은 세포막에 의해 수행된다.
2. 엽록체
1) 엽록체의 구조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식물세포 속의 엽록체는 지름이 약 5~10㎛이고 두께는 2~3㎛인 원형이나 타원형의 구조이며, 세포막이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다. 내막 안쪽에는 틸라코이드가 층을 이루면서 쌓여 있는 그라나가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 가지 광합성에 필요한 효소들이 들어있는 스트로마라는 기질이 있다. 틸라코이드는 한 겹으로 된 막의 납작한 주머니인데, 이 주머니들이 차곡차곡 포개져서 책갈피처럼 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그라나이고, 이런 구조를 라멜라 구조라고 한다.
2) 엽록체의 역할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엽록체에 있는 그라나와 스트로마에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또한 이러한 물질대사의 부산물로 나오는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에게 있어 호흡을 통한 물질대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명을 이어가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액포, 엽록체, 세포벽
1.
2.
3.
1. 세포의 성장에 따른 액포의 형성과정 2. 엽록체의 구조 3. 세포벽의 구조
3.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3-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1) 메틸렌블루로 인해 세포 안의 핵이 염색되어 보일 것이다.
(2) 프레파라트의 왼쪽에 도말한 세포에는 물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세포가 터지지 않고 본 상태 그대로를 유지 한 채 관찰될 것이다.
(3) 동물세포에는 세포벽이 없으므로 세포들이 각이 잡힌 형태를 이루지 않을 것이다.
(4) 광학 현미경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할수록 저배율에서는 보이지 않던 세포소기관들이 고배율에서는 보이게 될 것이다.
3-2. 식물세포의 관찰 : 양파표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1) 요오드 용액으로 인해 세포 안의 핵이 염색되어 보일 것이다.
(2) 양파 세포는 식물 세포이기 때문에 세포벽이 있고 따라서 세포 하나하나의 형태가 각이 진 모양일 것이다.
(3) 광학 현미경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 할수록 저배율에서는 보이지 않던 세포 소기관들이 고배율에서는 보이게 될 것이다.
4.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0.9% 생리식염수(25ml/조)
0.5% 메틸렌블루(25ml/조)
핀셋(1개/조)
면봉(3개/조)
슬라이드글라스(2box/반)
커버글라스(1box/반)
여과지(4개/조)
스포이드
삼각플라
4-2.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
(1) 식물세포에서의 액포와 동물세포에서의 액포의 차이점
액포는 막으로 싸인 거대한 세포소기관으로 세포벽, 세포 함유물과 마찬가지로 후형질에 속한다. 후형질은 원형질에서 2차적으로 생긴 물질을 말하며, 세포의 생명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액포는 대부분의 식물세포에서 관찰 가능하며 일부 동물세포도 가지고 있는 기관으로, 액포 속에는 당류, 무기염류, 유기산, 단백질 등이 포함된 세포액이 들어 있다. 이 세포액은 같은 세포 내의 액포 간에도 그 구성성분에 차이를 보인다.
1. 식물 세포에서 액포의 역할
액포는 세포가 활동하면서 만들어지는 독성물질이나 노폐물 등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동물세포의 경우, 리소좀에 의해 독성물질이나 노폐물 등이 분해되는데, 식물세포는 이러한 역할을 주로 액포가 담당한다. 리소좀이 동물세포에만 존재하는지, 식물세포에도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식물세포에서 독성물질이나 노폐물을 처리하는 일은 주로 액포가 담당하고 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이외에도 세포 내부의 이온농도 및 산성을 유지하고, 세포의 세포질을 세포막 쪽으로 밀어내어 엽록체를 세포 바깥쪽, 즉 가능한 빛에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도 수행한다.
액포는 또한 안토시아닌과 같은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세포의 색깔을 결정하기도 한다. 안토시아닌은 단풍나무의 붉은색을 내는 색소이다. 액포는 이렇게 많은 물질들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액포와 세포질 사이에 농도 차이가 생기게 되고, 삼투압에 의해 액포 속으로 물이 흡수된다. 물이 흡수되면 액포가 커지고, 커진 액포가 세포벽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렇게 세포 내부에서 외부에 가하는 압력을 팽압이라 한다. 팽압이 증가하면 식물체가 건강하고 탄력 있게 되며 팽압을 유지하지 못하면 세포에 원형질 분리현상이 일어난다. 액포는 이렇게 식물체의 삼투압 조절 및 형태 유지에도 관여한다. 식물에서 세포의 수명이 오래될수록, 또 세포가 커질수록 액포 역시 발달해 크기가 증가하며, 이는 세포 내부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2. 동물세포에서 액포의 역할
일부 원생생물 및 체내의 대식세포(macrophage)는 세포내소화를 위하여 액포의 일종인 식포(food vacuole)를 이용한다. 또한 원생동물인 아메바나 짚신벌레와 같은 담수산 생물의 체내에는 체표 가까이에 액포의 일종인 수축포(contractile vacuole)를 두어 체내의 잉여 염류나 배출물을 체외로 배출시켜 삼투압을 조절하는 데 이용한다.
(2) 식물세포에만 있고 동물세포에는 없는 세포 소기관
1. 세포벽
진핵세포에서는 식물세포에만 존재하며, 셀룰로오스, 펙틴, 리그닌 등이 주성분이다. 세포분열이 끝나고 어린 세포가 만들어지면 먼저 1차세포벽이 생기게 되는데, 1차세포벽의 주성분이 셀룰로오스다. 그리고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세포들의 1차세포벽 사이에 중간층이 형성되는데, 이 중간층의 주성분이 펙틴이다. 그러다 세포가 완전히 자라고 나면 1차세포벽의 안쪽에 2차세포벽이 생기는데, 2차세포벽의 주성분은 리그닌이나 큐틴 등으로 매우 견고한 벽이 만들어진다. 세포벽은 세포막에 비해 두껍고 견고하여 세포를 보호하고 모양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세포를 농도가 매우 낮은 용액에 넣었을 때, 삼투압에 의해 세포 안으로 물이 흡수되어도 세포가 잘 터지지 않고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세포벽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물질의 출입을 조절하는 능력은 없으며 이 기능은 세포막에 의해 수행된다.
2. 엽록체
1) 엽록체의 구조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식물세포 속의 엽록체는 지름이 약 5~10㎛이고 두께는 2~3㎛인 원형이나 타원형의 구조이며, 세포막이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다. 내막 안쪽에는 틸라코이드가 층을 이루면서 쌓여 있는 그라나가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 가지 광합성에 필요한 효소들이 들어있는 스트로마라는 기질이 있다. 틸라코이드는 한 겹으로 된 막의 납작한 주머니인데, 이 주머니들이 차곡차곡 포개져서 책갈피처럼 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그라나이고, 이런 구조를 라멜라 구조라고 한다.
2) 엽록체의 역할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엽록체에 있는 그라나와 스트로마에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또한 이러한 물질대사의 부산물로 나오는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에게 있어 호흡을 통한 물질대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명을 이어가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액포, 엽록체, 세포벽
1.
2.
3.
1. 세포의 성장에 따른 액포의 형성과정 2. 엽록체의 구조 3. 세포벽의 구조
3.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3-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1) 메틸렌블루로 인해 세포 안의 핵이 염색되어 보일 것이다.
(2) 프레파라트의 왼쪽에 도말한 세포에는 물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세포가 터지지 않고 본 상태 그대로를 유지 한 채 관찰될 것이다.
(3) 동물세포에는 세포벽이 없으므로 세포들이 각이 잡힌 형태를 이루지 않을 것이다.
(4) 광학 현미경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할수록 저배율에서는 보이지 않던 세포소기관들이 고배율에서는 보이게 될 것이다.
3-2. 식물세포의 관찰 : 양파표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1) 요오드 용액으로 인해 세포 안의 핵이 염색되어 보일 것이다.
(2) 양파 세포는 식물 세포이기 때문에 세포벽이 있고 따라서 세포 하나하나의 형태가 각이 진 모양일 것이다.
(3) 광학 현미경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 할수록 저배율에서는 보이지 않던 세포 소기관들이 고배율에서는 보이게 될 것이다.
4.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동물세포의 관찰 : 구강상피세포 슬라이드제작 및 관찰
0.9% 생리식염수(25ml/조)
0.5% 메틸렌블루(25ml/조)
핀셋(1개/조)
면봉(3개/조)
슬라이드글라스(2box/반)
커버글라스(1box/반)
여과지(4개/조)
스포이드
삼각플라
추천자료
생명과 환경(동물학대, 동물실험)
실험동물과 사염화탄소의 독성
[동물실험학] 토끼의 외관관찰과 해부
[생물학실험] 시약제조 및 멸균 실험
[생명과학,유전공학,분자생물학] 분자생물실험워크북
[일반생물학실험] 생물체 조성의 검사I(탄수화물의 검출)
[동물생리학실험]6.실험모델의 설계(2)
생물학실험
[생물정보물리화학공학실험] protein purification & electrophoresis - 실험 목적, 실험...
생물실험 쥐해부 예비
생물실험 -용액의 산도 (acidity, pH)측정법 및 완충계 (buffer system)
생물실험 -용액 제조 및 실험 기기 사용법
[일반생물학실험] 초파리 관찰실험 예비&결과
생물학실험,실험 제목: 완충용액(Buffer solu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