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신장
II. 급성신손상
Ⅲ. AKI 케이스
참고문헌
II. 급성신손상
Ⅲ. AKI 케이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8.10, 8.11, 8.12, 8.13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어 죽상동맥경화의 진행 지연 등
단백뇨, 혈뇨, 근육통, 근육병증, 다발성신경병증, 기억상실, 기침, 호흡곤란, 황달, 간염, 관절염, 부종 등
코데날 정
DB/2/1
8.4, 8.8, 8.9, 8.10, 8.11, 8.12, 8.13
기침, 가래
발진, 발적, 구토, 구역, 변비, 식욕부진, 현기증 등
Synatura syrup 15ml
B/2/1
8.8, 8.9, 8.10, 8.11, 8.12, 8.13
다음 질병으로 인한 기침, 가래 : 급성 상기도 감염, 만성 염증성 기관지염
설사, 소화불량, 상복부통증, 구토, 두통, 인후통, 현기증, 발열, 근육통, 피부발적 등
◈ 간호과정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가래 때문에 답답해요.”(환자)
“말할 때 그르렁 거려요.”(보호자)
C/C : dyspnea
호흡수 확인함(8.4 7pm-24)
호흡 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를 냄
wheezing sound 청진됨.
간호진단
기관지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기관지내 분비물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①1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②처방된 진해거담제를 복용하도록 할 것이다.
③분비물 배출이 촉진되도록 흉부물리요법을 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④호흡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침상 머리를 30°로 올려줄 것이다.
⑤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도록 교육할 것이다.
①분비물로 인해 호흡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②거담제는 폐와 기관지의 분비물이나 삼출물을 깨끗하게 배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③흉부 타진 시 가래 배출이 더 용이해 지기 때문이다.
④침상 머리를 30°올리면 보다 더 호흡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⑤기관지내 분비물을 묽게 해 기관지내 분비물을 쉽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시간
8.4 19:00
8.4 20:00
8.4 21:00
8.4 22:00
호흡 수
24
23
24
25
규칙성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호흡 깊이
보통
보통
보통
보통
①1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했다.
②처방된 진해거담제인 Synatura syrup을 경구 투여했고, 그 결과 보호자는 “가래가 줄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③흉부와 등에 손을 컵모양으로 오므린 clapping을 하면 분비물이 더 잘 배출된다고 교육을 했고,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을 수차례 관찰했다.
④대상자의 침상 머리를 30° 올려주었더니 대상자는 침상머리를 올리는 게 호흡이 더 쉽다고 얘기했다.
⑤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따뜻한 물을 마시면 가래가 더 잘 배출된다고 교육했고, 대상자가 따뜻한 물을 마시는 것을 관찰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기시간
8.4
8.5
8.6
8.7
8.8
호흡 수
24
22
21
18
20
규칙성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호흡 깊이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관지내 분비물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간호과정 #2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입이 바짝바짝 마르는 것 같아”(환자)
Perm cath 통해서 HD 시행중.
전해질 불균형
Na
K
Ca
Cl
Mg
정상치
135~145
3.5~5.1
8.4~10.2
98~110
1.9~2.5
8.4
122
4.6
7.9
89
2.4
간호진단
수분,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정상적인 체액 균형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①수분 불균형과 관련된 검사결과를 확인할 것이다.
②전해질불균형의 증상 및 징후를 관찰할 것이다.
③매일 체중을 잴 것이다.
④1시간마다 V/S를 할 것이다.
①검사결과를 확인해 이상이 있을시, 중재하여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②검사결과를 확인해 이상이 있을시, 중재하여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③체액의 증가와 감소를 알기 위함이다.
④V/S을 해서 추가적인 문제의 징후를 알아내어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정상치
8.4
8.5
8.7
8.11
Hct
37~52
41.9
36.7
38.2
32.1
BUN
8~23
36.1
49.0
19.4
25.3
①수분 불균형과 관련된 검사결과를 확인했다.
②전해질 불균형의 증상 및 징후를 관찰했다.
⇒피부는 건조하고 탄력성이 저하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어 죽상동맥경화의 진행 지연 등
단백뇨, 혈뇨, 근육통, 근육병증, 다발성신경병증, 기억상실, 기침, 호흡곤란, 황달, 간염, 관절염, 부종 등
코데날 정
DB/2/1
8.4, 8.8, 8.9, 8.10, 8.11, 8.12, 8.13
기침, 가래
발진, 발적, 구토, 구역, 변비, 식욕부진, 현기증 등
Synatura syrup 15ml
B/2/1
8.8, 8.9, 8.10, 8.11, 8.12, 8.13
다음 질병으로 인한 기침, 가래 : 급성 상기도 감염, 만성 염증성 기관지염
설사, 소화불량, 상복부통증, 구토, 두통, 인후통, 현기증, 발열, 근육통, 피부발적 등
◈ 간호과정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가래 때문에 답답해요.”(환자)
“말할 때 그르렁 거려요.”(보호자)
C/C : dyspnea
호흡수 확인함(8.4 7pm-24)
호흡 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를 냄
wheezing sound 청진됨.
간호진단
기관지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기관지내 분비물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①1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②처방된 진해거담제를 복용하도록 할 것이다.
③분비물 배출이 촉진되도록 흉부물리요법을 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④호흡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침상 머리를 30°로 올려줄 것이다.
⑤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도록 교육할 것이다.
①분비물로 인해 호흡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②거담제는 폐와 기관지의 분비물이나 삼출물을 깨끗하게 배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③흉부 타진 시 가래 배출이 더 용이해 지기 때문이다.
④침상 머리를 30°올리면 보다 더 호흡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⑤기관지내 분비물을 묽게 해 기관지내 분비물을 쉽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시간
8.4 19:00
8.4 20:00
8.4 21:00
8.4 22:00
호흡 수
24
23
24
25
규칙성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호흡 깊이
보통
보통
보통
보통
①1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했다.
②처방된 진해거담제인 Synatura syrup을 경구 투여했고, 그 결과 보호자는 “가래가 줄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③흉부와 등에 손을 컵모양으로 오므린 clapping을 하면 분비물이 더 잘 배출된다고 교육을 했고,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을 수차례 관찰했다.
④대상자의 침상 머리를 30° 올려주었더니 대상자는 침상머리를 올리는 게 호흡이 더 쉽다고 얘기했다.
⑤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따뜻한 물을 마시면 가래가 더 잘 배출된다고 교육했고, 대상자가 따뜻한 물을 마시는 것을 관찰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기시간
8.4
8.5
8.6
8.7
8.8
호흡 수
24
22
21
18
20
규칙성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호흡 깊이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관지내 분비물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간호과정 #2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입이 바짝바짝 마르는 것 같아”(환자)
Perm cath 통해서 HD 시행중.
전해질 불균형
Na
K
Ca
Cl
Mg
정상치
135~145
3.5~5.1
8.4~10.2
98~110
1.9~2.5
8.4
122
4.6
7.9
89
2.4
간호진단
수분,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정상적인 체액 균형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①수분 불균형과 관련된 검사결과를 확인할 것이다.
②전해질불균형의 증상 및 징후를 관찰할 것이다.
③매일 체중을 잴 것이다.
④1시간마다 V/S를 할 것이다.
①검사결과를 확인해 이상이 있을시, 중재하여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②검사결과를 확인해 이상이 있을시, 중재하여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③체액의 증가와 감소를 알기 위함이다.
④V/S을 해서 추가적인 문제의 징후를 알아내어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정상치
8.4
8.5
8.7
8.11
Hct
37~52
41.9
36.7
38.2
32.1
BUN
8~23
36.1
49.0
19.4
25.3
①수분 불균형과 관련된 검사결과를 확인했다.
②전해질 불균형의 증상 및 징후를 관찰했다.
⇒피부는 건조하고 탄력성이 저하
추천자료
급성 간 손상
급성 백혈병(Acute Leukemia)의 진단과 치료
급성백혈병의 원인과 임상증상 및 증후
급성간염의 병태생리.
급성 당남염, 심근경색증 환자 간호 사례보고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급성 사구체 신염의 식단구성안
급성인두염 - 케이스, 아동간호학
급성 췌장염 사례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간염 case study
급성기관지염(Acute bronchitis)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급성췌장염 질병스터디
급성호흡부전 케이스,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A+ 받았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