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줄거리
2.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주제의식
3.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통해 생각해 볼 점(토론주제)
4. 조원들의 생각
2.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주제의식
3.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통해 생각해 볼 점(토론주제)
4. 조원들의 생각
본문내용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줄거리와 주제의식 차이의 관점에서.
1.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줄거리
1) 만남
모니카 고모의 제안으로 유정은 사형수 윤수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윤수와 유정 모두 마음의 상처가 있어 서로에게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한다. 유정은 윤수와 만나고 난 후 자신이 포기하고 싶어하는 삶이 누군가에게는 간절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타락한 삶을 살고 있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윤수를 떠올리게 된다.
2) 갈등
모니카 고모는 윤수가 죽인 가정부의 어머니를 만났다. 그녀는 윤수를 보고 싶어 했고, 모니카 고모는 만남을 주선했다. 그녀를 보자마자 윤수는 죄책감에 죄송하다는 말 밖에 할 수 없었다. 다시 윤수는 충격에 빠져 마음의 문을 닫았다. 그 이후 모니카 고모와 유정이약속 했던 만남은 끝이 났다.
3) 이해
약속한 만남이 끝난 이후 유정은 윤수의 편지를 받게 된다. 그 편지를 받고 유정은 마음이 흔들리게 된다. 유정의 어머니가 쓰러지신 날 유정은 어머니를 만나러 가지 않고 윤수를 찾아간다. 유정은 윤수에게 그 누구에게도 하지 않았던 진짜이야기를 꺼낸다. 중학생 때 사촌오빠에게 강간을 당한 이후 망가진 자신의 삶을 윤수에게 털어 놓았다. 윤수에게 모든 것을 털어 놓은 유정은 이제 윤수를 이해하기 위해 매주 목요일에 만남을 가진다. 윤수에게 진짜 이야기를 들은 유정은 윤수를 사형수에서 내려오게 하기 위하여 노력해보지만 결국 아무것도 해결 할 수 없었다. 매주 목요일마다 만나며 두 사람은 서로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기댈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4) 이별
윤수의 사형이 결정 된 순간 그들의 만남은 끝이 났다. 유정은 윤수와의 이별을 막고 싶지만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유정은 어머니를 용서하며 자신을 달랬다.
윤수가 죽고 난 후 모니카 고모도 돌아가셨다. 그렇게 유정은 고모, 윤수와 이별을 했다.
2.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주제의식
1) 작가와 감독의 공통적인 주제의식 - ‘ 삶의 기쁨 ’
친척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그것을 아는 어머니는 도리어 자신을 비난하며 사건을 은폐하고 형제자매는 내막도 모른 채 막연히 이유 없는 반항만 한다고 생각해서 자신을 비난하기만 하는 삶을 살면서 세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던 유정은 사형수이기에 나눌 수 있는 진짜 이야기를 통해 치유 받고 삶의 이유를 찾는다.
어머니로부터, 세상으로부터 버림받고 하나 남은 형제는 차가운 길바닥에서 비참하게 죽고 사랑하는 여자는 구할 수 있음에도 돈 때문에 죽음의 위기에 처하고 믿었던 친구는 자신을 배신하고 사랑하는 여자를 가로채는, 모든 것으로부터 버림받아 세상을 증오하고 삶의 의지를 잃은 윤수도 유정의 제안으로 시작한 진짜 이야기로 치유 받고 삶의 의지를 붙잡는다.
소설과 영화 모두 두 인물이 가진 비참했던 삶과 비관적인 시선을 둘의 만남을 통해 서로 치유해나가는 것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살아있다는 것의 기쁨과 삶을 바라보는 희망적인 시각이 주는 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다.
2) 원작(소설)과 영화의 주제의식 차이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2005)
\"대체, 무슨 힘으로 그랬는지 모르겠어요. 아마도 나 외에 또 다른 어떤 힘이 있어서, 함께 써낸 것 같아요.\"
작가 소개
1963년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왔다. 1988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단편 <동트는 새벽>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더 이상 아름다운 방황은 없다\', \'그리고, 그들의 아름다운 시작\',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고등어\', \'착한 여자\', \'봉순이 언니\',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사랑 후에 오는 것들\', \'즐거운 나의 집\'이 있고, 소설집 \'인간에 대한 예의\', \'존재는 눈물을 흘린다\', \'별들의 들판\', 산문집 \'상처 없는 영혼\',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등이 있다. 21세기문학상과 한국 소설문학상, 오영수 문학상, 앰네스티 언론상 특별상, 제10회 가톨릭문학상을 수상했다.
작가의 작품관
공지영 작가의 지난 작품을 보면 세상의 변화와 여성의 현실을 주목하는 점을 알 수 있다. 80년대를 치열하게 살았던 젊은이들의 이야기나 억눌린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에 대한 날카로우면서도 따뜻한 통찰을 보여주었다. 또한 잊혀 진 시간들과 버려진 사람들에 대한 끝없는 연민과 애정으로 공지영의 문학은 우리시대의 특별한 개성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녀만의 확고한 영역을 구축해왔다. 최근 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도가니 열풍을 보아도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바라보는 작가의 깊이 있는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도 이러한 공지영 작가의 문학적 세계관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사형수와의 만남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간 심연의 아픔과 치유를 그리고자 했다.
삶과 죽음, 선과 악, 죄와 벌 그리고 사랑과 용서
“이 소설을 쓰는 동안 나는 아주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진정으로 참회하고 새로 태어난 사람들,
- 줄거리와 주제의식 차이의 관점에서.
1.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줄거리
1) 만남
모니카 고모의 제안으로 유정은 사형수 윤수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윤수와 유정 모두 마음의 상처가 있어 서로에게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한다. 유정은 윤수와 만나고 난 후 자신이 포기하고 싶어하는 삶이 누군가에게는 간절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타락한 삶을 살고 있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윤수를 떠올리게 된다.
2) 갈등
모니카 고모는 윤수가 죽인 가정부의 어머니를 만났다. 그녀는 윤수를 보고 싶어 했고, 모니카 고모는 만남을 주선했다. 그녀를 보자마자 윤수는 죄책감에 죄송하다는 말 밖에 할 수 없었다. 다시 윤수는 충격에 빠져 마음의 문을 닫았다. 그 이후 모니카 고모와 유정이약속 했던 만남은 끝이 났다.
3) 이해
약속한 만남이 끝난 이후 유정은 윤수의 편지를 받게 된다. 그 편지를 받고 유정은 마음이 흔들리게 된다. 유정의 어머니가 쓰러지신 날 유정은 어머니를 만나러 가지 않고 윤수를 찾아간다. 유정은 윤수에게 그 누구에게도 하지 않았던 진짜이야기를 꺼낸다. 중학생 때 사촌오빠에게 강간을 당한 이후 망가진 자신의 삶을 윤수에게 털어 놓았다. 윤수에게 모든 것을 털어 놓은 유정은 이제 윤수를 이해하기 위해 매주 목요일에 만남을 가진다. 윤수에게 진짜 이야기를 들은 유정은 윤수를 사형수에서 내려오게 하기 위하여 노력해보지만 결국 아무것도 해결 할 수 없었다. 매주 목요일마다 만나며 두 사람은 서로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기댈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4) 이별
윤수의 사형이 결정 된 순간 그들의 만남은 끝이 났다. 유정은 윤수와의 이별을 막고 싶지만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유정은 어머니를 용서하며 자신을 달랬다.
윤수가 죽고 난 후 모니카 고모도 돌아가셨다. 그렇게 유정은 고모, 윤수와 이별을 했다.
2.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주제의식
1) 작가와 감독의 공통적인 주제의식 - ‘ 삶의 기쁨 ’
친척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그것을 아는 어머니는 도리어 자신을 비난하며 사건을 은폐하고 형제자매는 내막도 모른 채 막연히 이유 없는 반항만 한다고 생각해서 자신을 비난하기만 하는 삶을 살면서 세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던 유정은 사형수이기에 나눌 수 있는 진짜 이야기를 통해 치유 받고 삶의 이유를 찾는다.
어머니로부터, 세상으로부터 버림받고 하나 남은 형제는 차가운 길바닥에서 비참하게 죽고 사랑하는 여자는 구할 수 있음에도 돈 때문에 죽음의 위기에 처하고 믿었던 친구는 자신을 배신하고 사랑하는 여자를 가로채는, 모든 것으로부터 버림받아 세상을 증오하고 삶의 의지를 잃은 윤수도 유정의 제안으로 시작한 진짜 이야기로 치유 받고 삶의 의지를 붙잡는다.
소설과 영화 모두 두 인물이 가진 비참했던 삶과 비관적인 시선을 둘의 만남을 통해 서로 치유해나가는 것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살아있다는 것의 기쁨과 삶을 바라보는 희망적인 시각이 주는 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다.
2) 원작(소설)과 영화의 주제의식 차이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2005)
\"대체, 무슨 힘으로 그랬는지 모르겠어요. 아마도 나 외에 또 다른 어떤 힘이 있어서, 함께 써낸 것 같아요.\"
작가 소개
1963년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왔다. 1988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단편 <동트는 새벽>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더 이상 아름다운 방황은 없다\', \'그리고, 그들의 아름다운 시작\',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고등어\', \'착한 여자\', \'봉순이 언니\',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사랑 후에 오는 것들\', \'즐거운 나의 집\'이 있고, 소설집 \'인간에 대한 예의\', \'존재는 눈물을 흘린다\', \'별들의 들판\', 산문집 \'상처 없는 영혼\',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등이 있다. 21세기문학상과 한국 소설문학상, 오영수 문학상, 앰네스티 언론상 특별상, 제10회 가톨릭문학상을 수상했다.
작가의 작품관
공지영 작가의 지난 작품을 보면 세상의 변화와 여성의 현실을 주목하는 점을 알 수 있다. 80년대를 치열하게 살았던 젊은이들의 이야기나 억눌린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에 대한 날카로우면서도 따뜻한 통찰을 보여주었다. 또한 잊혀 진 시간들과 버려진 사람들에 대한 끝없는 연민과 애정으로 공지영의 문학은 우리시대의 특별한 개성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녀만의 확고한 영역을 구축해왔다. 최근 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도가니 열풍을 보아도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바라보는 작가의 깊이 있는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도 이러한 공지영 작가의 문학적 세계관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사형수와의 만남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간 심연의 아픔과 치유를 그리고자 했다.
삶과 죽음, 선과 악, 죄와 벌 그리고 사랑과 용서
“이 소설을 쓰는 동안 나는 아주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진정으로 참회하고 새로 태어난 사람들,
추천자료
철도원을 보고
홍상수 감독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역사교육의 목적
독문학사 사조정리 레포트
[소논문] 광한루기 연구 - 작가의 세계관에 의해 달라진 춘향전의 새로운 이해
현대사회의 결혼풍속과 결혼문화
[학교폭력][청소년폭력][학교폭력 예방]학교폭력(청소년폭력)의 특징, 학교폭력(청소년폭력)...
피에르쌍소-느리게산다는것의의미
영화 ‘자전거 여행’을 통한 다문화 교수, 학습 및 다문화교육 학습내용
끝나지 않은 여행
나의 서사에 의미있는 작품분석 (콩쥐팥쥐전을 중심으로)
[과학 기술 윤리 기말고사 대체 레포트] 과학기술과 윤리의 관계가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되는...
[영화 속의 성격 분석] 슈렉(Shrek)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