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Ⅱ. 본 론 ------------------------------------------ 1-32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1) General Data
2) Prenatal Data
3) Labor Data on admission
4) labor data record
5) Length of labor
6) Delivery date
7) Lab Data
8) Medication
9) Patient Behavior
10) Postpartum Recovery - Fourth Stage
3. 간호문제
4. 간호진단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 론 ----------------------------------------- 33-35
1. 연구결과 정리
❥ 참고문헌 ------------------------------------------- 35
Ⅰ. 서 론 --------------------------------------------- 1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Ⅱ. 본 론 ------------------------------------------ 1-32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1) General Data
2) Prenatal Data
3) Labor Data on admission
4) labor data record
5) Length of labor
6) Delivery date
7) Lab Data
8) Medication
9) Patient Behavior
10) Postpartum Recovery - Fourth Stage
3. 간호문제
4. 간호진단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 론 ----------------------------------------- 33-35
1. 연구결과 정리
❥ 참고문헌 ------------------------------------------- 35
본문내용
1회 10mg/kg(역가)을 6시간 간격으로 주사
요로감염증, 그람음성균에 의한 중증 감염증, 살모넬라증(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정맥염, 주사부위의 통증, 오심, 설사, 질염, Alkaline phosphatase나 ALT, AST의 일시적 상승, 두통, 가슴쓰림, 구내염 등
본제 쇽 기왕력자, 페니실린계 및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자
9) Patient Behavior
Latent phase : 가끔씩 오는 진통에 대해 불안과 두려움이 가득한 표정이시며, 진통이 오지 않을 때는 안정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다. 0~3cm
Active phase: 산모는 진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궁수축이 시작되면 허리가 아프다며 몸을 비틀고 있는 모습이다. 의존적으로 곁에 누가 있길 바라며 옆에 있으면 손을 꼭 잡아달라고 부탁하고, 허리 마사지도 부탁하였다.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계속 물으시며 자궁수축이 별 진행이 없어지자 눈물을 글썽거리며 “진짜 포기하고싶다”는 말을 자주함. 자궁수축에 대처하기 위해 최대한 집중이 산모에게 집중 되어있다. 4~7cm
Transition: 턱을 상체 쪽으로 당기고서는 힘을 주셨지만 호흡을 조절하기 어려워하며 호흡이 많이 거칠고 짧은 흉식 호흡을 규칙적으로 하며 오랫동안 힘을 주지 못하는 행위를 보이셨다. 8~10cm
Delivery: 분만실에 이동하자 불안해하시고, 침대를 옮겨야할 때도 어쩔줄 몰라함. 태아 만출시 에는 최대로 힘을 주었다. 아기가 태어나자 보통 산모와는 다르게 기뻐하거나 눈물 흘리지 않으시고 아기와의 대면에서 오히려 한번 보고는 고개를 돌려버린다. 회음절개부위를 꿰맬때, 아직 멀었는지, 아프다고 하셨다.
Recovery: 분만동안의 힘의 소비로 피곤하셨는지, 수면을 취하는 모습을 보이셨고, 갈증을 느껴 물을 마시고,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고 계셨다.
10) Postpartum Recovery - Fourth Stage
time
BP
P
Fundus
Lochia
Remarks
분만직후
120/80
89
2FB↓
적색
배 쪽이 우리하게 아프다고 하심
15분
120/70
80
적색
목이 마르다고 하셔서 입에 거즈대어 주고 춥다고 하셔서 이불 덮어줌. 어지럽다고 하심
30분
110/70
72
적색
앉아서 아침밥 드시고 계심
45분
100/70
68
적색
남편분이 면회 오셔서 이야기하고 계심
1시간 15분
110/80
70
적갈색
남편분이 자궁마사지해주고있음
1시간
120/80
68
umb
적갈색
눈뜨고 그냥 누워 계심
1시간30분
120/80
68
갈색
눈뜨고 그냥 누워 계심주무시고 계심
2시간
120/80
68
갈색
주무시고 계심
3. 간호문제
① 4/08 11:30(am)경 PROM Sx
② Nitrazine test 청녹색
③ 초산모로 유도분만위해 걸어서 입원함
④ 분만통증에 대한 불안
⑤ 간헐적인 배 뭉침 호소
⑥ 40+4wks의 만삭모
⑦ 계속된 앙와위 자세.
⑧ 진통시 얼굴과 다리에 힘이 많이 들어감
4. 간호진단
1) 간호진단
#1. 조기파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①②)
#2. 입원과 관련된 두려움, 불안(③④)
#3. 자궁수축과 관련된 동통(⑤)
#4. 임부자세와 관련된 조직관류저하에 대한 잠재성(⑦⑧)
#5. 임부의 신체 균형과 관련된 손상의 가능성(⑥)
2) 간호과정 적용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외래에 갔더니 의사선생님이 양수가 조금 흐르는것같다고 입원하라고 하더라구요.”
ㆍ4/08 11:30(am)경 PROM Sx 있었음
ㆍNitrazine test 청녹색
ㆍCBC 결과 정상으로 판별되었고 파막은 되었으나 감염은 없음.
#1.
조기파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4월 09일까지 감염증상이 없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분만까지 감염증상이 없다.
1. 정상범위의 활력징후를 유지한다.
2. 누출되는 양수의 양과 형태 등을 사정한다.
3. 감염원을 최대한 차단시키고 예방 할 수 있다.
4. 태아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5. 복부를 촉진해본다.
6.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 한다.
1. 매일 duty동안에 2번씩 V/S를 체크하고 열이 있을 때는 1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했다.
2-① 누출된 양수양과 냄새를 q3hrs 마다 평가하였다.
2-② 누출되는 양수를 사정하기 위해 환자에게 소독포를 깔도록 하고 만약 누출 시 간호사를 호출하여 바로 교환하지 않도록 하고 간호사에게 보여주는 것을 교육하였다..
3-① 환자에게 처치 및 간호를 행하기 전 또는 후에 항상 손을 씻고 적절한 수세법을 지켰다.
3-② 환자에게 손씻기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배뇨와 배변후의 위생상태를 검토하였다.
4. 30분마다 Doppler를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평가하고, 태아 활동과 태아심음 기록하였다.
5. 복부 촉진 시 자궁의 압통을 측정하였다.
6. 세프녹스 1.0g AST 시행 후, 간호사 선생님께서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하셨다.
1. 맥박, 혈압, 체온상승은 감염의 징후이다.
2. 양수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2-② 누출되는 양수를 사정함으로써 여러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3-① 손은 많은 대상자들을 거치기 때문에 균을 옮기는 매개가 될 수 있으므로 항상 청결이 중요하다. 손씻기는 감염 전파를 예방한다
3-② 균이 배뇨로 침범했을 때의 질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수축후 서맥증상이 지속되거나 불규칙한 태아심박동 수는 태아질식을 의미한다. (태아 심박동수가 100bpm 또는 기본 태아심음보다 30bpm이상 하강시)
5. 감염이 있을 시 자궁에 압통이 있다
6. Cefnox
(약리작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적응증): 자궁내감염, 자궁주위조직염
1. 혈압110/60,
체온 36.5°, 맥박 70, 호흡 20으로 활력징후 정상범위 유지한다.
2-① 양수의 색과 냄새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이 났다.(깨끗하게 흐름)
2-② 소독포에 많은 양수가 흘러나와서 갈아야 할 때 바로 갈기 전에 간호사선생님께 보여주는 것이 관찰되었다.
3-① 손씻기는 자주 이루어졌으며 감염의 위험을 낮추었다.
3-② 화장실을 갔다온 후 바로 옆 세면대에서 항상 손
요로감염증, 그람음성균에 의한 중증 감염증, 살모넬라증(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정맥염, 주사부위의 통증, 오심, 설사, 질염, Alkaline phosphatase나 ALT, AST의 일시적 상승, 두통, 가슴쓰림, 구내염 등
본제 쇽 기왕력자, 페니실린계 및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자
9) Patient Behavior
Latent phase : 가끔씩 오는 진통에 대해 불안과 두려움이 가득한 표정이시며, 진통이 오지 않을 때는 안정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다. 0~3cm
Active phase: 산모는 진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궁수축이 시작되면 허리가 아프다며 몸을 비틀고 있는 모습이다. 의존적으로 곁에 누가 있길 바라며 옆에 있으면 손을 꼭 잡아달라고 부탁하고, 허리 마사지도 부탁하였다.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계속 물으시며 자궁수축이 별 진행이 없어지자 눈물을 글썽거리며 “진짜 포기하고싶다”는 말을 자주함. 자궁수축에 대처하기 위해 최대한 집중이 산모에게 집중 되어있다. 4~7cm
Transition: 턱을 상체 쪽으로 당기고서는 힘을 주셨지만 호흡을 조절하기 어려워하며 호흡이 많이 거칠고 짧은 흉식 호흡을 규칙적으로 하며 오랫동안 힘을 주지 못하는 행위를 보이셨다. 8~10cm
Delivery: 분만실에 이동하자 불안해하시고, 침대를 옮겨야할 때도 어쩔줄 몰라함. 태아 만출시 에는 최대로 힘을 주었다. 아기가 태어나자 보통 산모와는 다르게 기뻐하거나 눈물 흘리지 않으시고 아기와의 대면에서 오히려 한번 보고는 고개를 돌려버린다. 회음절개부위를 꿰맬때, 아직 멀었는지, 아프다고 하셨다.
Recovery: 분만동안의 힘의 소비로 피곤하셨는지, 수면을 취하는 모습을 보이셨고, 갈증을 느껴 물을 마시고,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고 계셨다.
10) Postpartum Recovery - Fourth Stage
time
BP
P
Fundus
Lochia
Remarks
분만직후
120/80
89
2FB↓
적색
배 쪽이 우리하게 아프다고 하심
15분
120/70
80
적색
목이 마르다고 하셔서 입에 거즈대어 주고 춥다고 하셔서 이불 덮어줌. 어지럽다고 하심
30분
110/70
72
적색
앉아서 아침밥 드시고 계심
45분
100/70
68
적색
남편분이 면회 오셔서 이야기하고 계심
1시간 15분
110/80
70
적갈색
남편분이 자궁마사지해주고있음
1시간
120/80
68
umb
적갈색
눈뜨고 그냥 누워 계심
1시간30분
120/80
68
갈색
눈뜨고 그냥 누워 계심주무시고 계심
2시간
120/80
68
갈색
주무시고 계심
3. 간호문제
① 4/08 11:30(am)경 PROM Sx
② Nitrazine test 청녹색
③ 초산모로 유도분만위해 걸어서 입원함
④ 분만통증에 대한 불안
⑤ 간헐적인 배 뭉침 호소
⑥ 40+4wks의 만삭모
⑦ 계속된 앙와위 자세.
⑧ 진통시 얼굴과 다리에 힘이 많이 들어감
4. 간호진단
1) 간호진단
#1. 조기파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①②)
#2. 입원과 관련된 두려움, 불안(③④)
#3. 자궁수축과 관련된 동통(⑤)
#4. 임부자세와 관련된 조직관류저하에 대한 잠재성(⑦⑧)
#5. 임부의 신체 균형과 관련된 손상의 가능성(⑥)
2) 간호과정 적용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외래에 갔더니 의사선생님이 양수가 조금 흐르는것같다고 입원하라고 하더라구요.”
ㆍ4/08 11:30(am)경 PROM Sx 있었음
ㆍNitrazine test 청녹색
ㆍCBC 결과 정상으로 판별되었고 파막은 되었으나 감염은 없음.
#1.
조기파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4월 09일까지 감염증상이 없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분만까지 감염증상이 없다.
1. 정상범위의 활력징후를 유지한다.
2. 누출되는 양수의 양과 형태 등을 사정한다.
3. 감염원을 최대한 차단시키고 예방 할 수 있다.
4. 태아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5. 복부를 촉진해본다.
6.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 한다.
1. 매일 duty동안에 2번씩 V/S를 체크하고 열이 있을 때는 1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했다.
2-① 누출된 양수양과 냄새를 q3hrs 마다 평가하였다.
2-② 누출되는 양수를 사정하기 위해 환자에게 소독포를 깔도록 하고 만약 누출 시 간호사를 호출하여 바로 교환하지 않도록 하고 간호사에게 보여주는 것을 교육하였다..
3-① 환자에게 처치 및 간호를 행하기 전 또는 후에 항상 손을 씻고 적절한 수세법을 지켰다.
3-② 환자에게 손씻기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배뇨와 배변후의 위생상태를 검토하였다.
4. 30분마다 Doppler를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평가하고, 태아 활동과 태아심음 기록하였다.
5. 복부 촉진 시 자궁의 압통을 측정하였다.
6. 세프녹스 1.0g AST 시행 후, 간호사 선생님께서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하셨다.
1. 맥박, 혈압, 체온상승은 감염의 징후이다.
2. 양수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2-② 누출되는 양수를 사정함으로써 여러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3-① 손은 많은 대상자들을 거치기 때문에 균을 옮기는 매개가 될 수 있으므로 항상 청결이 중요하다. 손씻기는 감염 전파를 예방한다
3-② 균이 배뇨로 침범했을 때의 질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수축후 서맥증상이 지속되거나 불규칙한 태아심박동 수는 태아질식을 의미한다. (태아 심박동수가 100bpm 또는 기본 태아심음보다 30bpm이상 하강시)
5. 감염이 있을 시 자궁에 압통이 있다
6. Cefnox
(약리작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적응증): 자궁내감염, 자궁주위조직염
1. 혈압110/60,
체온 36.5°, 맥박 70, 호흡 20으로 활력징후 정상범위 유지한다.
2-① 양수의 색과 냄새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이 났다.(깨끗하게 흐름)
2-② 소독포에 많은 양수가 흘러나와서 갈아야 할 때 바로 갈기 전에 간호사선생님께 보여주는 것이 관찰되었다.
3-① 손씻기는 자주 이루어졌으며 감염의 위험을 낮추었다.
3-② 화장실을 갔다온 후 바로 옆 세면대에서 항상 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