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패혈증
2. 황달
3. 산증
Ⅱ. 건강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가족력 및 과거력
3. 현병력
Ⅲ. 진단 검사
Ⅴ. 간호진단
● 참고문헌
1. 패혈증
2. 황달
3. 산증
Ⅱ. 건강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가족력 및 과거력
3. 현병력
Ⅲ. 진단 검사
Ⅴ. 간호진단
●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액검사로 감염의 징후와 균의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잦은 배변과 묽은 변은 균에 감염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세균에 약하기 때문에 무균술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IV는 피부에 손상을 입히는 행위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IV를 연결하고 있다면 그 부위에 세균이 침투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IV 부위에 발적이나 열감, 압통 등의 느낌이 있다면 세균에 감염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간호 전과 후, 환자와의 접촉 전과 후에 손을 씻었다.
4시간 마다 Vital sign을 측정하여 감염의 징후( 고체온, 빠른 맥박, 호흡 등 )를 사정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맞게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검사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균의 여부도 확인하였다( 5월 5일 ).
의사로부터 처방된 약물인 Netilmicin과 Sultamox을 IV 투여하였다.
변을 볼 때마다 하루에 몇 번을 보았는지, 묽은 변인지 아닌지 등을 파악하였다.
IV 시 철저한 무균술을 시행하였으며, 배변과 배뇨 시에도 깨끗한 물티슈로 닦아주었고, 젖병 사용 시에도 깨끗하게 소독된 젖병을 사용하도록 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48시간 마다 IV를 교환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IV 부위를 매 근무 때마다 사정하여 피부손상과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평가
대상자의 Vital sign 상이나 변의 양상을 보았을 때 감염의 징후가 보이지 않았다. 다만 양수누출의 시간이 24시간이 넘었기 때문에 위험성을 위해 약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혈액검사는 5월 5일 날 시행한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기 때문에 검사상의 변화는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균의 여부는 검사 도중의 오염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100% 정확하지 않다. 때문에 장기목표는 확인이 불가하며 단기목표는 달성하지 못하였다.
#3.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혈액검사 상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났다.
5/5
5/6
5/9
5/11
5/12
Bilirubin
3.12
▲
-
12.40
▲
14.60
▲
10.90
▲
0.2 1.1
(mg/dL)
피부와 눈의 색이 노란빛을 띤다.
광선요법을 시행한다.
진단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목표
- 장기: 퇴원 전까지 혈액검사 상 결과가 정상범위 내로 돌아온다.
- 단기: 1주 이내에 광선요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매 근무 마다 피부의 상태를 관찰한다.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안대를 착용하고, 남아의 경우 생식기를 보호하는 보호대를 대준다.
광선요법 시 부작용의 징후가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탈수의 징후를 사정한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적절한 영양 섭취와 수분 섭취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가족에게 병에 대한 설명과 광선요법에 따른 부작용을 설명 한다.
의사의 처방에 맞게 혈액검사를 시행 하여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광선요법이란 400~500nm의 가시광선을 쬐어 체내의 빌리루빈을 배설시키는 요법으로, 계속 쬐게 되면 피부가 약한 신생아의 경우 피부 손상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체위변경을 통해 모든 피부에 골고루 빛을 쬐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안대를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고, 남아의 경우 생식기위에 보호대를 두어 보호해야하기 때문이다.
5. 광선요법을 통해 체내의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탈수의 징후를 사정해야 한다.
6. 체중은 탈수의 징후를 나타내기도 하며, 신체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
7. 대상자의 가족에게 병명을 알리고 광선요법을 시
행하는 이유와 부작용을 설명하면 그들의 불안함
과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8. 혈액검사를 통해 체내의 빌리루빈 수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매 근무번이 바뀔 때 마다 대상자의 피부상태(탈수의 여부, 청동아 증후군, 홍반성 발진 등 )를 확인하였다.
2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여 피부 골고루 빛을 쬘 수 있도록 하였다.
안대를 착용하게 하고 안대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남아의 경우 생식기를 보호하기 위해 기저귀를 채워두었다.
광선 요법 시 부작용의 징후가 나타나는지 매 근무번이 바뀔 때 마다 사정하였다.
( 부작용으로 묽은 변, 홍반성 발진, 발열, 탈수, 청동아 증후군, 망막손상 등을 사정하였다. )
탈수의 징후를 4시간 마다 사정하였다.
( 피부가 건조한지, 소변의 양상은 어떠한지, 구강의 점막은 건조한지, 대상자의 움직임이 활발한지
무기력한지 등 )
6.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영양과 수분 섭취를 제공하였다.
7. 대상자의 가족에게 황달에 대한 설명과 광선요법의 부작용을 설명하였다.
( 황달이란 체내에 빌리루빈이 배설되지 못하여 나타나는 병으로, 피부와 안구가 노란빛을 띠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부작용으로 묽은 변, 홍반성 발진, 발열, 탈수, 청동아 증후군, 망막손상, 녹색
변 등이 있는데, 치료로는 광선요법이라고 하여 빌리루빈을 소변으로 배출하도록 돕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
8. 의사에 처방에 맞게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bilirubin의 수치를 확인하였다( 5월 9일, 11일, 12일 ).
평가
5월 12일 퇴원을 하여 더 이상의 혈액검사가 없었다. 마지막 혈액검사 상 결과는 여전히 bilirubin 수치가 상승됨을 보이며 광선요법 또한 퇴원 날(5월12일)까지 시행하였다. 그러나 대상자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며 수유 또한 잘 이루어지고 소변과 대변 또한 잘 보기 때문에 퇴원을 하게 되었다. 퇴원 날이 8일째 되는 날이기 때문에 단기목표는 달성하지 못하였고, 퇴원 날 혈액검사 상 bilirubin 수치는 여전히 상승되어있기 때문에 장기목표도 달성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 김영혜, 권봉숙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0.
- 방경숙, 권미경 외.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2014.
- 인터넷 홈페이지 : 드러그 인포 ( http://www.druginfo.co.kr/ ).
-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잦은 배변과 묽은 변은 균에 감염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세균에 약하기 때문에 무균술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IV는 피부에 손상을 입히는 행위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IV를 연결하고 있다면 그 부위에 세균이 침투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IV 부위에 발적이나 열감, 압통 등의 느낌이 있다면 세균에 감염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간호 전과 후, 환자와의 접촉 전과 후에 손을 씻었다.
4시간 마다 Vital sign을 측정하여 감염의 징후( 고체온, 빠른 맥박, 호흡 등 )를 사정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맞게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검사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균의 여부도 확인하였다( 5월 5일 ).
의사로부터 처방된 약물인 Netilmicin과 Sultamox을 IV 투여하였다.
변을 볼 때마다 하루에 몇 번을 보았는지, 묽은 변인지 아닌지 등을 파악하였다.
IV 시 철저한 무균술을 시행하였으며, 배변과 배뇨 시에도 깨끗한 물티슈로 닦아주었고, 젖병 사용 시에도 깨끗하게 소독된 젖병을 사용하도록 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48시간 마다 IV를 교환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IV 부위를 매 근무 때마다 사정하여 피부손상과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평가
대상자의 Vital sign 상이나 변의 양상을 보았을 때 감염의 징후가 보이지 않았다. 다만 양수누출의 시간이 24시간이 넘었기 때문에 위험성을 위해 약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혈액검사는 5월 5일 날 시행한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기 때문에 검사상의 변화는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균의 여부는 검사 도중의 오염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100% 정확하지 않다. 때문에 장기목표는 확인이 불가하며 단기목표는 달성하지 못하였다.
#3.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혈액검사 상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났다.
5/5
5/6
5/9
5/11
5/12
Bilirubin
3.12
▲
-
12.40
▲
14.60
▲
10.90
▲
0.2 1.1
(mg/dL)
피부와 눈의 색이 노란빛을 띤다.
광선요법을 시행한다.
진단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목표
- 장기: 퇴원 전까지 혈액검사 상 결과가 정상범위 내로 돌아온다.
- 단기: 1주 이내에 광선요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매 근무 마다 피부의 상태를 관찰한다.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안대를 착용하고, 남아의 경우 생식기를 보호하는 보호대를 대준다.
광선요법 시 부작용의 징후가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탈수의 징후를 사정한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적절한 영양 섭취와 수분 섭취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가족에게 병에 대한 설명과 광선요법에 따른 부작용을 설명 한다.
의사의 처방에 맞게 혈액검사를 시행 하여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광선요법이란 400~500nm의 가시광선을 쬐어 체내의 빌리루빈을 배설시키는 요법으로, 계속 쬐게 되면 피부가 약한 신생아의 경우 피부 손상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체위변경을 통해 모든 피부에 골고루 빛을 쬐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안대를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고, 남아의 경우 생식기위에 보호대를 두어 보호해야하기 때문이다.
5. 광선요법을 통해 체내의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탈수의 징후를 사정해야 한다.
6. 체중은 탈수의 징후를 나타내기도 하며, 신체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
7. 대상자의 가족에게 병명을 알리고 광선요법을 시
행하는 이유와 부작용을 설명하면 그들의 불안함
과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8. 혈액검사를 통해 체내의 빌리루빈 수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매 근무번이 바뀔 때 마다 대상자의 피부상태(탈수의 여부, 청동아 증후군, 홍반성 발진 등 )를 확인하였다.
2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여 피부 골고루 빛을 쬘 수 있도록 하였다.
안대를 착용하게 하고 안대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남아의 경우 생식기를 보호하기 위해 기저귀를 채워두었다.
광선 요법 시 부작용의 징후가 나타나는지 매 근무번이 바뀔 때 마다 사정하였다.
( 부작용으로 묽은 변, 홍반성 발진, 발열, 탈수, 청동아 증후군, 망막손상 등을 사정하였다. )
탈수의 징후를 4시간 마다 사정하였다.
( 피부가 건조한지, 소변의 양상은 어떠한지, 구강의 점막은 건조한지, 대상자의 움직임이 활발한지
무기력한지 등 )
6.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영양과 수분 섭취를 제공하였다.
7. 대상자의 가족에게 황달에 대한 설명과 광선요법의 부작용을 설명하였다.
( 황달이란 체내에 빌리루빈이 배설되지 못하여 나타나는 병으로, 피부와 안구가 노란빛을 띠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부작용으로 묽은 변, 홍반성 발진, 발열, 탈수, 청동아 증후군, 망막손상, 녹색
변 등이 있는데, 치료로는 광선요법이라고 하여 빌리루빈을 소변으로 배출하도록 돕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
8. 의사에 처방에 맞게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bilirubin의 수치를 확인하였다( 5월 9일, 11일, 12일 ).
평가
5월 12일 퇴원을 하여 더 이상의 혈액검사가 없었다. 마지막 혈액검사 상 결과는 여전히 bilirubin 수치가 상승됨을 보이며 광선요법 또한 퇴원 날(5월12일)까지 시행하였다. 그러나 대상자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며 수유 또한 잘 이루어지고 소변과 대변 또한 잘 보기 때문에 퇴원을 하게 되었다. 퇴원 날이 8일째 되는 날이기 때문에 단기목표는 달성하지 못하였고, 퇴원 날 혈액검사 상 bilirubin 수치는 여전히 상승되어있기 때문에 장기목표도 달성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 김영혜, 권봉숙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0.
- 방경숙, 권미경 외.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2014.
- 인터넷 홈페이지 : 드러그 인포 ( http://www.druginfo.co.kr/ ).
-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추천자료
- 간호과정 사정도구- 임상환자의 case study 및 NANDA간호진단 적용
- 지역사회간호과정(독거노인간호)
- 지역사회 가족간호 케이스(case) / A+자료입니다. - SWOT, PEST 이론 간호사례에 적용 (가족...
- <성인간호학>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및 병태생리
- A++++대퇴골 전자간 골절(femur intertrochantertic fx)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
- 아동간호학)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
- 천식 (Asthma) 케이스 스터디 (천식 케이스, 천식 간호과정, 천식 사례연구, Asthma 케이스, ...
- 후두암 케이스 스터디 (후두암 케이스 스터디, 후두암 간호과정, 후두암 사례연구, larynx ca...
- pelvis Fx 케이스 (pelvis fracture 케이스, 골반골절 케이스, 골반골절 간호과정, pelvis fr...
- Radius Fx 케이스 스터디( 요골 FX 케이스, 요골 골절 케이스, 요골골절 간호과정, 요골골절,...
-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 폐부종 (pulmonary edema) - 폐부종 케이스 스터디, 폐부종 CASE STUDY, pulmonary edema 간...
- 아동간호학/폐렴/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아동폐렴
- 간호과정 case 외음부 암 vulva cancer 문헌고찰 모성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