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 기독교상담협회 윤리강령
2.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윤리적 표준
3. 상담 슈퍼바이저, 교육자, 연구자 및 저자들에 대한 윤리적 표준
4. 윤리적 · 법적 분쟁 해소를 위한 표준
참고문헌
2.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윤리적 표준
3. 상담 슈퍼바이저, 교육자, 연구자 및 저자들에 대한 윤리적 표준
4. 윤리적 · 법적 분쟁 해소를 위한 표준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슈퍼바이저들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것과 슈퍼비전 평가 및 피드백 에 관한 표준들을 제시한다.
세 번째는 기독교 상담 교육자들에 관한 윤리적 표준이다(2-300). 여기에선 상담자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학생과 훈련 평가, 통합 학습파 훈련, 현장배치, 임상수련, 인턴훈련 등에 관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네 번째는 기독교 상담 연구자들에 관한 윤리적 표준이다(2400). 과학적인 연구 관련 표준과 지켜야 할 것들을 다루고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할 때 참가자를 보호할 것과 인권의 존중, 충분한 정보 제공에 따른 연구 참가 동의 및 비밀보장, 연구 결과 보고 등에 관해 지켜야 할 표준적인 내용들을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는 저술과 출판에 관한 윤리적 표준이다(2-500). 이 부분에서는 정직한 저술 및 출판, 원고제출, 표절이나 대필 금지 등과 관한 내용들을 다루고 한다.
4. 윤리적 · 법적 분쟁 해소를 위한 표준
미국기독교상담협회 윤리강령의 제5조항에서는 기독교 상담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분쟁 해소에 관한 표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다루는 것은 윤리적 분쟁해소에 관한 기본표준이다(5-100). 윤리적 법적 분쟁이 일어날 경우 어떻게 이 문제를 해소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두 번째는 고용주 및 동료들과의 분쟁 해소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5-200). 고용주 및 동료들과의 윤리적 가치 체계나 그 차이들, 법적 또는 윤리적 위반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 및 기관 관련 분쟁해소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5-300). 예수그리스도의 상위윤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 네 번째는 각주(state)에서의 윤리적 분쟁과 법률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5400). 예수 그리스도의 상위법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미국기독교상담협회 윤리강령의 세부분(Ⅰ,Ⅱ, V)은 기독교 상담자들이 전문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긴밀하게 연관되는 주요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세 번째는 기독교 상담 교육자들에 관한 윤리적 표준이다(2-300). 여기에선 상담자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학생과 훈련 평가, 통합 학습파 훈련, 현장배치, 임상수련, 인턴훈련 등에 관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네 번째는 기독교 상담 연구자들에 관한 윤리적 표준이다(2400). 과학적인 연구 관련 표준과 지켜야 할 것들을 다루고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할 때 참가자를 보호할 것과 인권의 존중, 충분한 정보 제공에 따른 연구 참가 동의 및 비밀보장, 연구 결과 보고 등에 관해 지켜야 할 표준적인 내용들을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는 저술과 출판에 관한 윤리적 표준이다(2-500). 이 부분에서는 정직한 저술 및 출판, 원고제출, 표절이나 대필 금지 등과 관한 내용들을 다루고 한다.
4. 윤리적 · 법적 분쟁 해소를 위한 표준
미국기독교상담협회 윤리강령의 제5조항에서는 기독교 상담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분쟁 해소에 관한 표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다루는 것은 윤리적 분쟁해소에 관한 기본표준이다(5-100). 윤리적 법적 분쟁이 일어날 경우 어떻게 이 문제를 해소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두 번째는 고용주 및 동료들과의 분쟁 해소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5-200). 고용주 및 동료들과의 윤리적 가치 체계나 그 차이들, 법적 또는 윤리적 위반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 및 기관 관련 분쟁해소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5-300). 예수그리스도의 상위윤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 네 번째는 각주(state)에서의 윤리적 분쟁과 법률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5400). 예수 그리스도의 상위법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미국기독교상담협회 윤리강령의 세부분(Ⅰ,Ⅱ, V)은 기독교 상담자들이 전문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긴밀하게 연관되는 주요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사
임상심리학에대해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간중심 상담 이론
기본간호 국시요점정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자세그리고 윤리강령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사회복지 윤리강령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목표와 약점들...
사회복지, 장애인복지관 <실습일지> (18개)
존슨앤드존슨 (Johnson & Johnson) 기업현황, 연혁, 판매제품, 윤리강령, 사회공헌 활동,...
사회복지개론 요약 정리
[원서번역] Direc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 (저자- Dean H. Hepworth) Prese...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와 상담은 무엇인가 - 다양성 문제, 심리치료 및 상담의 정의, 심...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사의 법적 권한과 책임을 서술하고, 학습자가 판단하는 사회복지사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