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질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 2

Ⅱ. 본론
1. 원인과 위험요인 ……………………………………………… 2
2. 병태생리 ……………………………………………… 3
3. 종류 ……………………………………………… 4
4. 임상증상 ……………………………………………… 5
5. 진단검사 ……………………………………………… 6
6. 합병증 ……………………………………………… 6
7. 치료 ……………………………………………… 7
6. 간호 및 퇴원교육 ……………………………………………… 8

Ⅲ. 결론 ••••••••••••••••••••••••••••••• 10

Ⅳ. 참고문헌 ••••••••••••••••••••••••••••••• 11

본문내용

흉골하부의 압박감으로 나타나며 왼팔과 등, 턱으로 방사되고 원인 없이 아침에 나타나기도 한다.
3) 심장증상
- 심근경색 후 첫 몇 시간 내에 조기심실수축을 동반한 동성빈맥이 흔히 일어난다.
-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시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차고 축축한 피부, 맥박감소 및 맥박 소실이 나타난다.
- 심근경색의 심각한 합병증인 심부전이 있으면 청진 상 S3가 들린다.
- 불안과 통증 때문에 호흡이 증가하고 심부전으로 인해 수포음이나 천명음 등이 나타난 다.
4) 심리사회적 반응
- 부정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관련된 흉통의 조기반응이다.
- 보통 급성심근경색 발생 시 의료기관을 찾기 전까지 2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 소화불량이나 활동과다 정도로 인식하는 경행이 있다.
- 공포, 불안, 분노는 대상자나 가족의 또 다른 일반적인 반응이다.
5. 진단검사
1) 혈액검사
- 심장 혈액지표 상승은 심근세포가 혈액공급의 결여로 손상을 받게 되면서 발생한다.
- 심근세포막이 손상되고 심근세포 내 효소들이 방출된다. 효소 방출 정도는 조직손상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경색크기와 관련이 있다.
- 혈청심장표식자검사인 혈청트로포닌 T&I, 혈청 심장효소인 creatinine kinase-MB, myoglobin은 심근경색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2) 심전도
- 심근이 허혈, 손상, 경색이 되면 심전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 심전도의 변화는 심내막하 손상인 경우 ST분절이 하강하고, 허혈이 심장근육 전체를 가로지를 때는 ST 분절이 상승한다,
- 급성 심근경색의 초기단계는 t파의 역전이 특징적이다.
- 병리적 비정상적인 Q파의 발생은 심근의 괴사를 진단하는 분명한 징후이다,
- 급성심근경색증 후 첫 24~48시간 후에 괴사가 발생하며 Q파는 깊어지고 넓어지게 된 다.
3) 스트레스 검사
-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후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다른 침습적인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행한다.
- 약물 스트레스 검사는 약물을 주입하여 심장에 스트레스를 가한 후 심전도와 신체반응 을 검사한다.
4) 심근관류영상
- Thallium 스캔은 방사선 동위원소의 영상으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관련한 허혈이나 괴사조직을 사정하는데 사용한다.
- Thallium이 흡수되지 않은 영역을 cold spot이라고 부르고 허혈이나 경색을 의미한다.
5) 자기공명영상
- 조영제 강화 심혈관 MRI는 심근경색을 알아내기 위한 비침습적 검사이다.
6) 관상동맥 촬영술
- 관상동맥의 정확한 손상부위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심장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 제를 주입하여 관상동맥을 촬영한다.
- 심도자술은 치료방법으로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을 결정하기 전에 실시한다.
6. 합병증
부정맥
- 심근경색 중 가장 위험한 합병증
- 허혈, 전해질 불균형, 교감신경계 자극, 산증 등으로 인해 심근세포 가 민감해져 발생한다.
- 생명을 위협하는 부전맥은 대부분 전벽 심근경색증, 심부전, 쇼크 와 함께 발생한다.
- 심실세동은 통증발생 후 첫 4시간 안에 죽음을 초래하는 치명적인 부정맥이다.
심부전
- 심근허혈로 인해 심장의 수축력이 감소하여 발생한다.
- 심근손상의 심각성과 손상부위에 따라 심부전의 증상의 정도거 다 르게 나타난다.
심인성 쇼크
- 좌심실 근육이 40% 이상 괴사되어 산소와 영양을 말초조직에 충 분하게 공급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
- 쇼크가 발생하면 사망률은 65~100%로 높다.
- 쇼크의 증상으로 빈백, 저혈압, 시간당 소변량 30ml이하, 차고 축 축한 피부, 약한 말초맥박, 불안, 혼돈, 폐울혈 등이 나타난다.
유두근 기능부전
- 승모판막과 연결된 유두근주위가 괴사되면 유두근의 기능이 손상 된다.
- 유두근 기능부전은 승모판막 역류를 초래해 좌심실 기능을 약화시
킨다.
심실류
- 심근경색 후에 경색이 생긴 약해진 심근이 팽창해 발생한다.
- 심실류 대상자는 난치성 심부전, 부정맥, 혈전을 만들어 색전성 뇌 졸중을 일으키기도 하며 사망률이 높다.
심외막염
- 심외막의 염증으로 심장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 흡기나 기침시, 상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 악화된다.
- 심막부위에서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마찰음을 들을 수 있으며 발 열도 있다.
드레슬러증후군
- 심근경색 4~6주 후 발열현상과 삼출물을 동반한 심외막염을 나타 내는 것
- 개심술 후 발생하거나 괴사된 심근에 항원-항체 반응으로 생길 수
있다.
7. 치료
1) 협심증 치료
①약물요법
- Glyceryl trinitrate : 자체가 관상동맥을 확장하기는 하지만 협착이 심하기 때문에 중요 한 작용기전은 아님 전신혈관 확장제로 시영되고 혈압을 떨어뜨리고 정맥에 혈액을 저류시켜 정맥순환을 감소시킴
- Isosorbide dinitrate : Glyceryl trinitrate보다 작용시간이 길고 심한 두통의 유발이 적음
- 베타차단제 : 심박수를 줄이고 심실수축속도를 줄여서 심근산소소비를 감소시킴
- calciom chennel blocker : 관상동맥을 확장하여 관류를 증가시키고 후부하를 감소시켜 심근산소소비를 감소시킴. 특히 혈관경련에 의한 협심증 때 유효
② 악화인자의 교정
- 고혈압, 비만, 갑상선 기능항진, 빈혈, 불안 등
③ 죽상경화의 치료
- 목적 : 진행속도 감소
- 저칼로리로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음식을 동물지방 대신 사용한다.
- 금연, 단계적 운동, 고혈압의 치료, 항응고제, 항혈소판제제
④ 외과적 치료
- 관상동맥 우회 이식술 : 내과적 치료에 불응하는 경우 시행
- 경피적 혈관 내 관상동맥성형술 : 관상동맥 내에 특수한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를 넣어 협착부위를 기구를 통하여 넓히는 방법
2) 심근경색 치료
① 심장부하 감소
- 환자를 가장 안락한 자세에서 안정시킴
- 경색의 크기와 합병증 유무를 차악할 때까지 초기에는 절대안정함
② 통증의 완화
- 모르핀을 주사하면 효과적이나 구토가 많음
- 이 약제들에 의해 저혈압, 서맥이 생김
③ 쇼크에 대한 치료
- 쇼크가 있으면 반듯이 눕히고 진통제를 투여
- 강심제를 서용하면 잠정적으로 효과가 좋을 수 있음
- 혈압 상승제를 사용하면 혈압은 증가하나 심장부라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2.12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