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럼 짧은 몇 개의 에피소드만 살펴봐도 삼국유사는 현대에도 충분히 통용될만한 많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 남을 고전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당시의 시대상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사료로서의 기능 이외에도 현대에 다시 발굴할만한 원천 스토리를 찾는다는 점에서도 삼국유사는 충분히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1세기에 들어서 문화예술계에서는 새로운 신화를 쓰기 위해 우리의 옛 이야기로 돌아갔다.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전우치는 영화로 만들어져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바리공주 설화도 여러 형태로 재출간되어 대중에게 사랑받았다. 새로운 이야기를 찾는 문화예술계에서도 삼국유사는 새로운 원천이 될 것이며, 이번 독서를 통해 읽은 많은 흥미로운 일화들이 더 현대적으로 각색되어 나오길 기다리게 되었다.
추천자료
삼국유사를 읽고 감상문
삼국유사 (가장 재미있어 보이는 설화, 가장 재미없어 보이는 설화, 가장 세계적인 의미와 가...
삼국유사소재의 「도화녀, 비형랑」조를 통해 본 진평왕의 즉위과정과 동왕대 초기의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비교 분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김부식의 삶과 시대적 배경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삼국유사를 읽고 느낀 당대의 시대상
‘삼국유사’를 읽고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 14 수
‘삼국유사’를 읽고.
삼국유사
(삼국유사)와 (균여전)의 기록으로 살펴 본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삼국유사』,『균여전』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비극 소설의 기원과 문학(향가)과 권력의 관계 - 초기서사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