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TOF 간호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TOF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 사정자료
2. 문헌고찰 : TOF
3. 간호과정
- 폐조직 허혈과 관련된 저산소증
- 심도자술동안 실혈, 조영제 사용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 설사와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148회/분
- 호흡(RR) : 56회/분
- 체온(T) : 36.6°C ( 측정부위 : 액와체온 )
3. 신체사정
1) 일반적 외양
- activity : good
- crying : weak
- position : well flexed
2) 피부
- 색 (pinkish)
3) 머리
- 둘레 : 32.5cm
- fontanel : anterior fontanel (soft&flat) / posterior fontanel (soft&flat)
- 주형 : - / 산류 : - / 두혈종 : -
4) 얼굴
- 눈 : 눈꺼풀이 열려있으며 눈동자가 또렷하다
- 귀 : 이개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단단하다.
- 코 : 폐쇄되어있지 않다
- 입 : 정상적인 형태를 띄고 있다.
5) 흉부
- 둘레 (CC) : 28cm
- 호흡양상 : 흉부견축(retraction), 빈맥(tachycardia)
6) 복부
- 둘레(AC) :
- 팽만여부 : - / 촉지되는 기관 : -
7) 제대
- 동맥 2개 / 정맥 1개
- 제대출혈 : - / 제대 분비물 : - / 제대 악취 : - / 제대 탈장 : -
8) 사지
- 대칭적이며, 굴곡된 상태이고 손.발가락은 정상이다.
9) 생식기계
- 균형잡히고 고환이 하강되어있으며 가성월경은 없는 상태이다.
10) 신생아 반사
- 모로반사 : +
- 흡철반사 : +
- 긴장성 경반사 : +
- 파악반사 : +
- 근원반사 : +
- 바빈스키 반사 : +
11) 배변상태
- 태변(meconium) 양상 및 첫 배출 시기 : 2014.01.09
- 이행변(transient stool) : 2014.01.14
12) 수면과 활동 양상
- 깊은 수면 : 조용하며 호흡과 호흡시 들리는 호흡음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이다.
- 얕은 수면 : 조용하나 깊은 수면보다 호흡이 비교적 불안정적이다
- 졸음 : 숨을 쌕쌕쉬는 불안정한 호흡을 보인다.
- 조용한 각성 : 눈을 깜빡이며 주위를 둘러본다.
- 활발한 각성 : 팔을 바둥거리며 주위를 빠르게 둘러본다.
- 울음 : 힘없는 울음을 운다.
4. 순환기계
GⅡ systolic murmur, Lt. 2nd ICS(Inter-Costal Space:늑간강)
Ext : well papable femoral pulse. capilary refil<3sec
추정진단 : preterm, LBW, AGA (36wks, 2450g)
CHD(DORV/c severe PA annulus hypoplasia)
Ⅲ. 검사결과
2014. 01. 08 echocardiogram report
DORV(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우심실 기시증) with severe PA(Pulmonary Atresia, 폐동맥 폐쇄) hypoplasia large ant, aml VSD(ventricular septal defect, 심실중격 결손증)(7.3mm) overriding A0(50%) severe PA ann hypoplasia(1.77mm, 2m/s) hypoplasia PA system (MAP:3.5, RPA:2.3, LPA:2.2mm Des A0 at diaph level:4.5mm) no difinite PDA, small multiple MAPCA(Major aortopulmonary collateral artery, 주요체폐 측부동맥), normal coro A system, Lt. aortic arch
Ⅳ. 신생아 간호
1. 투약
- 2.17 : ramnos 250mg/g , 0.25g , #2 PO // galantase 1g , 0.25g , #8 PO
- 2.18 : BCG 12mg , 12mg , #1 // 헤파박스 0.5ml , 0.5ml , #1
foxolin 50mg , 20mg , #3 // galantase 1g , 0.25g , #8 PO
amnos 250mg/g , 0.25g , #2 PO // amikin 100mg/2ml , 60mg , #1
- 2.19 : foxolin 50mg , 20mg , #3 // galantase 1g , 0.25g , #8 PO
amnos 250mg/g , 0.25g , #2 PO // amikin 100mg/2ml , 60mg , #1
Huous Sodium chloride 40jnj 20ml #1 // Midazolam 5mg/5ml , 5mg , #1
Fentanyl 0.1mg/2ml , 0.2mg , #1 // dextrose 10% 500ml
- 2.20 : foxolin 50mg , 20mg , #3 // galantase 1g , 0.25g , #8 PO
amnos 250mg/g , 0.25g , #2 PO // amikin 100mg/2ml , 60mg , #1
- 2.21 : foxolin 50mg , 20mg , #3 // galantase 1g , 0.25g , #8 PO
amnos 250mg/g , 0.25g , #2 PO // amikin 100mg/2ml , 60mg , #1
2. 호흡유지 간호
- O2 therapy (nasal cannula 0.5L/min)
3. 체온유지 간호
- 방사보온기 및 인큐베이터 사용 : 방사보온기 사용
- ICS(intensive care system) : 사용중
- 신생아 목욕 : 매일 아침마다 미온수에 목욕
- 열손실 예방방법 : 담요로 덮어주기, 방사보온기 사용
4. 수유방법
- 인공수유 : 간헐적 위관영양
- 섭취량 및 섭취간격 : 4시간마다 90cc 모유로 간헐적 위관영양
5. 손상예방 및 안전관리
- 낙상예방 : 아이에게 간호를 시행하지 않을 때는 침대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고 간호중에는 아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항상 손을 아기 가까이에 위치해 놓는다.
- 질식예방 : 아이가 우유를 먹고 나서는 항상 트름을 시킨다. 아기가 질식할만한 물건을 아기 곁에 두지 않는다.
- 신생아 확인 밴드 : 신생아 확인밴드를 신생아 팔과 다리에 부착하며 신생아의 침상에도 붙여 놓는다.
- 신생아실 온도 및 습도 : 온도는 중앙관리를 하며 photo therapy받는 아이는 보육기의 온도를 중성온도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6.02.27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