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사례선정의 의의
문헌고찰
2.본론
간호과정
간호진행기록
3.결론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시점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실습 후 느낀점
참고문헌
사례선정의 의의
문헌고찰
2.본론
간호과정
간호진행기록
3.결론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시점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실습 후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통증 위험성
산소 공급을 지켜보았다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통증 사정을 지켜보았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시점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기침과 가래와 콧물이 호전되었고, 부가적인 통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퇴원 후에도 재발의 가능성을 염두하고 부모님에게 재발에 대한 가능성을 설명하고, 교육한다.
실습 후 느낀점
전에 실습을 하던 곳에서는 아동을 찾아볼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이번 실습현장에서 아이들을 관찰하는 것은 신기하고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처음에는 아이들이 생후 1개월에서 3세 전후가 대부분이라 어떠한 의사소통 방식이 효과적인지 궁금했다. 내가 의사소통의 방식으로 선택했던 것은 눈높이 대화였다. 아이들은 주로 간호사와 같은 사람이 보이면 울기에 바빴고, 이런 행동은 간호를 효율적으로 하기에 걸림돌이 되는 부분이 있었다. 예를 들어 활력징후를 측정할 경우에는 호흡을 제대로 들을 수 없었다. 일단 아이들과 친해지기 위한 방법은 아이들의 보호자분들과 웃으며 친근하게 인사를 건네는 것이었다. 보호자 분께 인사를 드리고 간단한 설명을 한 뒤에 아이와 대화를 시도하면 아이들이 훨씬 더 울지 않았고, 적극적으로 나의 요구에 응해주는 아이도 있었다. 아이들에게도 무엇을 해야 할지 설명을 해야 할 때는 설명방식을 나에게 적용시켜 직접 행동으로 보여줬다. 체온을 재려고 할 때는 나의 귀에 한번 대고 체온을 재는 시늉을 하였고, 언어적으로는 아픈 것이 아니라고 하며 안심시켰다. 내가 이번에 케이스를 맡게 되었던 김ㅇㅇ이라는 아이는 남자 아이였고 형제가 입원을 했는데 처음에는 병명이 뭔지 예측을 못할 정도로 건강해 보였다. 내가 관찰했을 때에는 콧물을 흘리고 기침을 했지만 심한 상태는 아니었고, 장난감을 가지고 잘 놀고 감정 표현도 잘 하였다. 내가 물어보면 즉각적으로 대답을 해주고 간호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주었다. 이 남자아이에 대한 간호기록을 살펴보았을 때 페렴에 걸린 이유는 선천적인 이유가 아니라 리노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증상으로 추측하였다. 리노바이러스는 초봄에 흔하게 돌아다니는 바이러스고 손을 통하여 전염되기 때문에 손씻기가 중요하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면역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나이긴 하지만 운동 수준은 활발하므로 집에서 위생관리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수행한다면 재발의 위험성은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이의 호흡음을 들어보았을 때 가끔 꺽꺽 거리는 소리가 났고, 이를 통해 폐렴인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행히 체온을 잴 때마다 정상이었고, 통증 정도도 0으로 없어 빠른 회복의 소지가 충분하였다고 생각한다. 내가 케이스를 맡았던 남자아이가 빨리 나아 퇴원하게 되었지만 그 짧았던 시간이 무색하게끔 폐렴이라는 질환에 대해 잘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또한, 아이가 빠른 쾌유를 해서 더욱 기뻤던 것 같다. 내가 케이스를 맡았던 아이 뿐만이 아니라 다른 아이도 관찰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많이 주어져서 좋았다. 이번 실습을 통해 아동을 대할 때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대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후에 아동 실습이 더 있으면 이번보다 더 적극적으로 아동에게 다가가고 싶다.
참고 자료
아동건강간호학Ⅰ, 김희순 외, 수문사, 2011아동청소년간호학Ⅱ, 김희순 외, 수문사, 2013기본간호수기, 원종순 외, 현문사, 2009기본간호학 하권, 양선희 외, 현문사, 2009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제3판), 차영남 외, 현문사, 2013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ADAMS 외(김금순 외 엮음), 서원미디어, 2011
기관 내 흡인
목적: 객담흡인을 통해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감염을 에방하고 환자의 안위와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준비물품: 흡인기, 멸균 suction 카데터, w/s tube, y-연결관, 멸균 봉투, oxymeter, 휴지나 거즈, 30cc멸균 생리식염수 3~4개, 청진기, 멸균gloves,필요시 설압자, buite block, air way, 산소 주입 물품, 검사용기, face-shield/마스크와 보안경
주의점 - 객담 흡인 시 무균적으로 행해야 하며 환자의 산소포화도 악화 등의 상태 변화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객담흡인방법:
Ⅰ.흡인 전 절차
물품 준비 전과 환자 만지기 전 손위생을 한다
개방적 질문 및 팔찌 확인 등 환자 확인을 한다
흡인 전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청진기를 사용해 호흡음을 청 진하고 산소포화도를 체크한다.
흡인 전 환자에게 흡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금기가 아니라면 semi-fowler\' position 을 취해 준다.
금기가 아니라면 성인과 소아에게는 흡인 전 30~60초간 15L산소를 공급한다.
흡인 기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 침상 가까운 곳에 30cc 생리식염수를 준비해 놓고 흡인기에 w/s tube와 y-연결관을 연결한다.
멸균 glove를 착용한 손으로 멸균 카테터를 오염되지 않게 y-자 연결관에 연결하고, 흡인기를 작동시킨다.
멸균 생리식염수에 suction 카테터를 6~8cm이상 살 적셔 윤활 역할을 하도록 한뒤 생리 식염수 소량을 통과시켜 습인기 작동유무와 카테터 폐쇄 여부를 확인한다.
Ⅱ.흡인절차
y-자 연결관을 개방하여 음압이 걸리지 ㅇ낳도록 하고 금기가 아니라면 환자의 목을 약간 뒤로 신전시키고 숨을 들이쉴 때 suction카테터를 흡인하고자 하는 경로로 삽입한다.
적절한 길이만큼 삽입된 후 y-자 연결관을 닫았다 열었다를 반복하면서 suction 카테터를 부드럽게 돌려 가며 15초 안에 흡인한다.
흡인 중 산소포화도 저하를 보았거나 청색증을 보인 경우 금기가 아니라면 흡인 후 15L의 산소를 3~5분간 공급한다.
흡인 후 카테터가 깨끗해 질 때까지 멸균 생리식염수를 통과시킨다.
구강/비강 인두 흡인은 입과 비강 내 객담을 흡인하는 것으로 suction카테터는 멸균 카테터를 사용하되 흡인 방법은 clean method를 준수한다.
Ⅲ. 흡인 후 절차
멸균 glove를 벗고 흡인기 압력기를 off한다
흡인기에 연결했던 y-자 연결관은 되도록 물기를 없애고 1회용 glove에 싸서 깨끗하게 정
통증 위험성
산소 공급을 지켜보았다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통증 사정을 지켜보았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시점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
기침과 가래와 콧물이 호전되었고, 부가적인 통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퇴원 후에도 재발의 가능성을 염두하고 부모님에게 재발에 대한 가능성을 설명하고, 교육한다.
실습 후 느낀점
전에 실습을 하던 곳에서는 아동을 찾아볼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이번 실습현장에서 아이들을 관찰하는 것은 신기하고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처음에는 아이들이 생후 1개월에서 3세 전후가 대부분이라 어떠한 의사소통 방식이 효과적인지 궁금했다. 내가 의사소통의 방식으로 선택했던 것은 눈높이 대화였다. 아이들은 주로 간호사와 같은 사람이 보이면 울기에 바빴고, 이런 행동은 간호를 효율적으로 하기에 걸림돌이 되는 부분이 있었다. 예를 들어 활력징후를 측정할 경우에는 호흡을 제대로 들을 수 없었다. 일단 아이들과 친해지기 위한 방법은 아이들의 보호자분들과 웃으며 친근하게 인사를 건네는 것이었다. 보호자 분께 인사를 드리고 간단한 설명을 한 뒤에 아이와 대화를 시도하면 아이들이 훨씬 더 울지 않았고, 적극적으로 나의 요구에 응해주는 아이도 있었다. 아이들에게도 무엇을 해야 할지 설명을 해야 할 때는 설명방식을 나에게 적용시켜 직접 행동으로 보여줬다. 체온을 재려고 할 때는 나의 귀에 한번 대고 체온을 재는 시늉을 하였고, 언어적으로는 아픈 것이 아니라고 하며 안심시켰다. 내가 이번에 케이스를 맡게 되었던 김ㅇㅇ이라는 아이는 남자 아이였고 형제가 입원을 했는데 처음에는 병명이 뭔지 예측을 못할 정도로 건강해 보였다. 내가 관찰했을 때에는 콧물을 흘리고 기침을 했지만 심한 상태는 아니었고, 장난감을 가지고 잘 놀고 감정 표현도 잘 하였다. 내가 물어보면 즉각적으로 대답을 해주고 간호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주었다. 이 남자아이에 대한 간호기록을 살펴보았을 때 페렴에 걸린 이유는 선천적인 이유가 아니라 리노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증상으로 추측하였다. 리노바이러스는 초봄에 흔하게 돌아다니는 바이러스고 손을 통하여 전염되기 때문에 손씻기가 중요하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면역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나이긴 하지만 운동 수준은 활발하므로 집에서 위생관리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수행한다면 재발의 위험성은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이의 호흡음을 들어보았을 때 가끔 꺽꺽 거리는 소리가 났고, 이를 통해 폐렴인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행히 체온을 잴 때마다 정상이었고, 통증 정도도 0으로 없어 빠른 회복의 소지가 충분하였다고 생각한다. 내가 케이스를 맡았던 남자아이가 빨리 나아 퇴원하게 되었지만 그 짧았던 시간이 무색하게끔 폐렴이라는 질환에 대해 잘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또한, 아이가 빠른 쾌유를 해서 더욱 기뻤던 것 같다. 내가 케이스를 맡았던 아이 뿐만이 아니라 다른 아이도 관찰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많이 주어져서 좋았다. 이번 실습을 통해 아동을 대할 때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대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후에 아동 실습이 더 있으면 이번보다 더 적극적으로 아동에게 다가가고 싶다.
참고 자료
아동건강간호학Ⅰ, 김희순 외, 수문사, 2011아동청소년간호학Ⅱ, 김희순 외, 수문사, 2013기본간호수기, 원종순 외, 현문사, 2009기본간호학 하권, 양선희 외, 현문사, 2009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제3판), 차영남 외, 현문사, 2013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ADAMS 외(김금순 외 엮음), 서원미디어, 2011
기관 내 흡인
목적: 객담흡인을 통해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감염을 에방하고 환자의 안위와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준비물품: 흡인기, 멸균 suction 카데터, w/s tube, y-연결관, 멸균 봉투, oxymeter, 휴지나 거즈, 30cc멸균 생리식염수 3~4개, 청진기, 멸균gloves,필요시 설압자, buite block, air way, 산소 주입 물품, 검사용기, face-shield/마스크와 보안경
주의점 - 객담 흡인 시 무균적으로 행해야 하며 환자의 산소포화도 악화 등의 상태 변화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객담흡인방법:
Ⅰ.흡인 전 절차
물품 준비 전과 환자 만지기 전 손위생을 한다
개방적 질문 및 팔찌 확인 등 환자 확인을 한다
흡인 전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청진기를 사용해 호흡음을 청 진하고 산소포화도를 체크한다.
흡인 전 환자에게 흡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금기가 아니라면 semi-fowler\' position 을 취해 준다.
금기가 아니라면 성인과 소아에게는 흡인 전 30~60초간 15L산소를 공급한다.
흡인 기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 침상 가까운 곳에 30cc 생리식염수를 준비해 놓고 흡인기에 w/s tube와 y-연결관을 연결한다.
멸균 glove를 착용한 손으로 멸균 카테터를 오염되지 않게 y-자 연결관에 연결하고, 흡인기를 작동시킨다.
멸균 생리식염수에 suction 카테터를 6~8cm이상 살 적셔 윤활 역할을 하도록 한뒤 생리 식염수 소량을 통과시켜 습인기 작동유무와 카테터 폐쇄 여부를 확인한다.
Ⅱ.흡인절차
y-자 연결관을 개방하여 음압이 걸리지 ㅇ낳도록 하고 금기가 아니라면 환자의 목을 약간 뒤로 신전시키고 숨을 들이쉴 때 suction카테터를 흡인하고자 하는 경로로 삽입한다.
적절한 길이만큼 삽입된 후 y-자 연결관을 닫았다 열었다를 반복하면서 suction 카테터를 부드럽게 돌려 가며 15초 안에 흡인한다.
흡인 중 산소포화도 저하를 보았거나 청색증을 보인 경우 금기가 아니라면 흡인 후 15L의 산소를 3~5분간 공급한다.
흡인 후 카테터가 깨끗해 질 때까지 멸균 생리식염수를 통과시킨다.
구강/비강 인두 흡인은 입과 비강 내 객담을 흡인하는 것으로 suction카테터는 멸균 카테터를 사용하되 흡인 방법은 clean method를 준수한다.
Ⅲ. 흡인 후 절차
멸균 glove를 벗고 흡인기 압력기를 off한다
흡인기에 연결했던 y-자 연결관은 되도록 물기를 없애고 1회용 glove에 싸서 깨끗하게 정
추천자료
아동간호 인후염 중이염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간호진단 (위장관 염증과 관련된 설사, 소변량 감소로 구토, 설사와 관련된 체액...
아동간호학 아동 신체사정
[아동간호학][미숙아]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미숙아 간호,사망,예후,무호흡,문헌고찰
[아동간호정리][에릭슨발달단계][아동의 건강력][신장,몸무게변화]
[아동간호학][아동 체크리스트]소아과병동 체크리스트 정리
[아동간호실습] 아동 만성설사 (chronic diarrhea)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아동간호학 데일리 Daliy(기본간호기술 7일, 특수질환아 고찰 4일, medication)
[아동간호학] <유아 학령전기 인지발달비교> 유아와 학령전기아동의 인지발달 비교 - 피아제(...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실습 TOF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기저귀 ...
아동간호학 뇌수막염 간호과정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case - Tonsili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