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오리온의 중국 진출 성공 사례
ⅰ. 기업소개
ⅱ. 중국 진출 배경 및 동기
ⅲ. 중국 진출 현황
ⅳ. 중국시장에서의 성공 요인
Ⅲ. 이마트의 중국 진출 실패 사례
ⅰ. 기업소개
ⅱ. 중국 진출 배경 및 동기
ⅲ. 중국 진출 현황
ⅳ. 중국시장에서의 실패 요인
Ⅳ.결론
Ⅴ.참고문헌
Ⅱ. 오리온의 중국 진출 성공 사례
ⅰ. 기업소개
ⅱ. 중국 진출 배경 및 동기
ⅲ. 중국 진출 현황
ⅳ. 중국시장에서의 성공 요인
Ⅲ. 이마트의 중국 진출 실패 사례
ⅰ. 기업소개
ⅱ. 중국 진출 배경 및 동기
ⅲ. 중국 진출 현황
ⅳ. 중국시장에서의 실패 요인
Ⅳ.결론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 적자가 쌓이자 이마트는 2011년 11개 점포를 정리하고 법인도 5개로 줄였다. 2011년 전 점포가 적자를 기록했고 당기순손실은 910억원으로 늘었다. 계속되는 적자에 올해 4월 인뚜(銀都) 점포를 매각하더니 이번엔 톈진(天津) 내 1개 점포의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 게다가 올해 2월 이마트의 중국 파견 한국인 직원들의 60% 이상이 한국으로 돌아갔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어 이마트가 중국 시장에서 철수가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시장에서의 실패원인
○ 충분치 않았던 사전조사로 인한 현지화 실패
-중국인의 식성, 기호 등에 대해 충분한 사전조사를 거치지 않고 급하게 진출한 점은 이마트가 중국진출에 실패하게 된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 소비자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국내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그대로 들고 간 것이다. 특히 고급 매장 이미지를 유지하려 했던 것이 오히려 악재가 됐다. 그 예로 이마트는 진출 초기 신선식품을 한국처럼 비닐랩으로 포장해 진열했다. 이는 중국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지 못해 저지른 실수였다. 중국인은 고기나 생선을 만져보고 산다. 자국 내 먹거리에 대한 불신이 큰 중국인들은 생선 같은 직접 살아있는 식재료를 눈앞에서 손질해 주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 마트 대부분이 산 생선을 큰 수족관에 넣어둔 채 파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선반에 가지런히 진열된 물품도 중국인들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았다. 한국 기업들은 국내 매장과 같은 ‘양방향 동선’으로 중국 매장을 꾸몄다. 고객들이 자유롭게 매장을 돌아다니며 쇼핑하는 구조다. 그러나 중국인들은 앞서 진출한 월마트의 ‘일방향 동선’에 익숙했다. 고객이 매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은 양방향 동선은 대량 구매를 좀처럼 하지 않는 중국인들에겐 익숙하지 않았다. 바나나 10개를 묶음 판매하면 이 가운데 1개만 뜯어서 계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처럼 키높이 선반에 가지런히 물품들을 배치하는 방식도 실패한 사례다. 중국인들은 마트에 물건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을수록 물건 값이 더 싸다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중국 마트들이 창고형 매장 형태를 띠거나 재래시장처럼 내부 구조가 산만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 점포 입지 선정에 실패
- 현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탓에 좋은 입지를 선점하지 못했다. 그리고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상하이, 텐진 등 대도시에 매장을 연 것도 큰 실패원인 중 하나이다. 중국 이마트는 상하이와 텐진 주변에 밀집 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하이와 텐진, 베이징은 이미 경쟁이 치열한 레드오션 시장이다. 이들 지역은 모두 임대료는 비싼 반면 다른 대형마트는 많아 매출을 많이 올리지 못하는 지역이다. 까르푸나 월마트 등 외국계 유통업체가 중국 시장을 장악한 상황에서 낮은 인지도의 이마트를 찾을 만한 뚜렷한 요인이 없었다는 것이 실패요인 중 하나로 보여진다.
○ 놓쳐버린 시장 선점의 기회
- 사실 이마트는 1997년 상하이에 현지법인을 설립해 중국에 진출했다. 까르푸와 매트로 이후 3번째로 중국에 진출한 유통기업이 됐다. 시장진출은 늦지 않았지만 진출 7년 만인 2004년 3호점을 여는 등 느린 대응으로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놓쳤다. 이마트가 주춤하는 사이 다른 글로벌 유통기업들은 공격적으로 매장을 내며 시장점유율을 높여갔다. 다른 글로벌 유통기업들이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인지도를 올려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이마트는 다른 글로벌 기업을 따라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 경쟁사에 비해 매우 늦어진 물류시스템 구축
- 이마트는 신흥시장에 대한 국제화 경험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린필드 전략으로 중국에 들어갔는데 할인점 점포가 시기별로 드문드문 간헐적으로 개설되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규모 물류시스템 구축이 어려웠으며(상해에 1개의 물류센터만을 보유) 이는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다.
○ 중국 현지 노동문화에 대한 이해 미흡과 현지직원 인력관리상의 지식·경험부족
- 이마트는 인력의 현지화를 위해 2006년에 모든 점장을 중국인으로 교체하고 2008년에는 현지인력 개발을 위한 교육센터도 열었으나 이마트의 교육을 받은 직원들이 오히려 몸값을 올려 이직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현지 채용인과의 의사소통이 부족해 협력 업체와의 운영방식, 상품 기획 등에 관해 많은 갈등을 빚었다.
Ⅳ. 결론
오리온의 성공 사례와 이마트의 실패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중국 시장 진출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에 대한 철저한 사전조사와 이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한 현지화 전략이다. 오리온은 철저한 사전조사와 중국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현지화 전략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과기업으로서는 최초로 매출액 1조원을 달성하였지만, 이마트는 부족한 시장조사와 소비자인 중국인을 고려하지 않은 안일한 전략으로 현재 중국 시장 철수와 투자자금 전액을 손실 보았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다. 내가 싸워야 할 대상에 대해 잘 알고, 또한 나에 대한 것도 잘 아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중국에 진출하려는 기업은 자사가 가진 장점을 잘 분석하여 그 장점이 중국 시장에 과연 어떻게 하면 통할지 잘 생각해 보아야 하고, 혹은 그 장점이 중국에서 통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떻게 하면 중국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장점을 만들어야 할지 끊임없이 생각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중국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어떤 마케팅으로 중국 소비자를 공략할지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불린다. 넓은 대륙의 땅을 바탕으로 많은 인구를 가진 중국은 의심할 바 없는 매력적인 시장이다. 좁은 내수시장을 가진 한국기업에게는 더욱 더 매력적인 시장인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13억 인구가 껌을 1개씩만 사도 13억개가 팔린다는 식으로 안이한 생각으로 덤볐다가는 큰 코 다치는 것이 중국 시장이다.
이는 중국의 특이한 민족성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 중국인들은 쉽게 자기 속내를 드러내지 않고 깊이 친해졌다는 생각이 들고 난 다음에서야 자기의 생각을 드러내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중국 시장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단어가 ‘
중국시장에서의 실패원인
○ 충분치 않았던 사전조사로 인한 현지화 실패
-중국인의 식성, 기호 등에 대해 충분한 사전조사를 거치지 않고 급하게 진출한 점은 이마트가 중국진출에 실패하게 된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 소비자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국내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그대로 들고 간 것이다. 특히 고급 매장 이미지를 유지하려 했던 것이 오히려 악재가 됐다. 그 예로 이마트는 진출 초기 신선식품을 한국처럼 비닐랩으로 포장해 진열했다. 이는 중국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지 못해 저지른 실수였다. 중국인은 고기나 생선을 만져보고 산다. 자국 내 먹거리에 대한 불신이 큰 중국인들은 생선 같은 직접 살아있는 식재료를 눈앞에서 손질해 주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 마트 대부분이 산 생선을 큰 수족관에 넣어둔 채 파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선반에 가지런히 진열된 물품도 중국인들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았다. 한국 기업들은 국내 매장과 같은 ‘양방향 동선’으로 중국 매장을 꾸몄다. 고객들이 자유롭게 매장을 돌아다니며 쇼핑하는 구조다. 그러나 중국인들은 앞서 진출한 월마트의 ‘일방향 동선’에 익숙했다. 고객이 매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은 양방향 동선은 대량 구매를 좀처럼 하지 않는 중국인들에겐 익숙하지 않았다. 바나나 10개를 묶음 판매하면 이 가운데 1개만 뜯어서 계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처럼 키높이 선반에 가지런히 물품들을 배치하는 방식도 실패한 사례다. 중국인들은 마트에 물건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을수록 물건 값이 더 싸다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중국 마트들이 창고형 매장 형태를 띠거나 재래시장처럼 내부 구조가 산만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 점포 입지 선정에 실패
- 현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탓에 좋은 입지를 선점하지 못했다. 그리고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상하이, 텐진 등 대도시에 매장을 연 것도 큰 실패원인 중 하나이다. 중국 이마트는 상하이와 텐진 주변에 밀집 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하이와 텐진, 베이징은 이미 경쟁이 치열한 레드오션 시장이다. 이들 지역은 모두 임대료는 비싼 반면 다른 대형마트는 많아 매출을 많이 올리지 못하는 지역이다. 까르푸나 월마트 등 외국계 유통업체가 중국 시장을 장악한 상황에서 낮은 인지도의 이마트를 찾을 만한 뚜렷한 요인이 없었다는 것이 실패요인 중 하나로 보여진다.
○ 놓쳐버린 시장 선점의 기회
- 사실 이마트는 1997년 상하이에 현지법인을 설립해 중국에 진출했다. 까르푸와 매트로 이후 3번째로 중국에 진출한 유통기업이 됐다. 시장진출은 늦지 않았지만 진출 7년 만인 2004년 3호점을 여는 등 느린 대응으로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놓쳤다. 이마트가 주춤하는 사이 다른 글로벌 유통기업들은 공격적으로 매장을 내며 시장점유율을 높여갔다. 다른 글로벌 유통기업들이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인지도를 올려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이마트는 다른 글로벌 기업을 따라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 경쟁사에 비해 매우 늦어진 물류시스템 구축
- 이마트는 신흥시장에 대한 국제화 경험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린필드 전략으로 중국에 들어갔는데 할인점 점포가 시기별로 드문드문 간헐적으로 개설되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규모 물류시스템 구축이 어려웠으며(상해에 1개의 물류센터만을 보유) 이는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다.
○ 중국 현지 노동문화에 대한 이해 미흡과 현지직원 인력관리상의 지식·경험부족
- 이마트는 인력의 현지화를 위해 2006년에 모든 점장을 중국인으로 교체하고 2008년에는 현지인력 개발을 위한 교육센터도 열었으나 이마트의 교육을 받은 직원들이 오히려 몸값을 올려 이직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현지 채용인과의 의사소통이 부족해 협력 업체와의 운영방식, 상품 기획 등에 관해 많은 갈등을 빚었다.
Ⅳ. 결론
오리온의 성공 사례와 이마트의 실패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중국 시장 진출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에 대한 철저한 사전조사와 이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한 현지화 전략이다. 오리온은 철저한 사전조사와 중국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현지화 전략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과기업으로서는 최초로 매출액 1조원을 달성하였지만, 이마트는 부족한 시장조사와 소비자인 중국인을 고려하지 않은 안일한 전략으로 현재 중국 시장 철수와 투자자금 전액을 손실 보았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다. 내가 싸워야 할 대상에 대해 잘 알고, 또한 나에 대한 것도 잘 아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중국에 진출하려는 기업은 자사가 가진 장점을 잘 분석하여 그 장점이 중국 시장에 과연 어떻게 하면 통할지 잘 생각해 보아야 하고, 혹은 그 장점이 중국에서 통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떻게 하면 중국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장점을 만들어야 할지 끊임없이 생각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중국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어떤 마케팅으로 중국 소비자를 공략할지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불린다. 넓은 대륙의 땅을 바탕으로 많은 인구를 가진 중국은 의심할 바 없는 매력적인 시장이다. 좁은 내수시장을 가진 한국기업에게는 더욱 더 매력적인 시장인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13억 인구가 껌을 1개씩만 사도 13억개가 팔린다는 식으로 안이한 생각으로 덤볐다가는 큰 코 다치는 것이 중국 시장이다.
이는 중국의 특이한 민족성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 중국인들은 쉽게 자기 속내를 드러내지 않고 깊이 친해졌다는 생각이 들고 난 다음에서야 자기의 생각을 드러내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중국 시장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단어가 ‘
추천자료
중국상해진출 이마트
중국진출 성공전략기(이마트, 삼성전자, 신라면, 쵸코파이)
중국진출의 이해와 전망
초코파이중국진출성공전략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성공사례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진출 (놀부(주) 중국진출) ppt =A+자료=
이랜드(e-land)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 하이트진로 해외직접투자 (기업소개, 기업선정동기, 일본진출 사례 및 성과, 중국진출 사...
BBQ 의 세계화 전략 - 비비큐,bbq,세계화글로벌전략,중국시장진출,일본시장진출,브랜드마케팅...
롯데-중국진출.PPT자료
방제산업,세스코분석,Terminix분석,중국해충방제시장,해충방제시장,해충방제산업중국진출 레포트
현대차(Hyundai) 미국진출전략 : (현대차 어슈어런스 프로그램) 현대 자동차의 미국 및 중국...
「롯데마트 (Lotte Mart)」 - 글로벌 롯데마트, 롯데마트 중국진출과정과 현황, 세계속의 롯...
★ 비비큐(BBQ)- 기업소개, SWOT 분석, 해외시장 실패사례, 글로벌 전략, 중국진출, 해외진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