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천진리이어서 어느 정도 토박이화 된 사람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방승환 - 동해안별신굿의 리듬과 사물놀이 리듬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신환희 - 동해안 별신굿에 나타난 춤의 상징성 연구, 경상대학교, 2008
이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별신굿, 하회별신굿, 동해안 별신굿, 서해안 별신굿, 남해안 별신굿
6. 축제의 분류
1) 시기에 의한 분류
매년 혹은 몇 해를 일정한 주기로 하여 이루어지는 축제(세시풍속 등)
2) 지역에 의한 분류
축제가 전승되는 일정한 지역을 대상으로하여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의 시작과 끝의 청신악과 송신악은 대금으로만 연주되는 특징도 보인다. 동해안 별신굿처럼 굿 중간에 사설이나 재담이 없지만 굿이 진지하고, 굿 한 거리가 끝날 때마다 고수와 주민들이 어울려 놀이마당을 이루기도 한다. 1987년에 중요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 한반도의 분단이 가져다주고 있는 현저한 불안정성이다
5. 이 지역에 존재하는 경제 시스템의 다양성이다
6. 문화의 다양성이다
Ⅷ. 동해와 동해북부권
Ⅸ. 동해와 동해선 군사보장합의서
Ⅹ. 동해와 동해안 별신굿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연신굿), 동아사, 1987
최길성 - 한국무속의 이해, 예전사, 1994
키스터, D. A - 무속극과 부조리극,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6 Ⅰ. 서론
Ⅱ. 무(巫, 무속, 무속신앙)의 정의
Ⅲ. 무(巫, 무속, 무속신앙)의 유형
1. 무당형
2. 단골형
3. 심방형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놀이
일명 ‘박첨지 놀이’라 한다.
박첨지는 172세나 되는 헐렁한 노인으로 박첨지의 박은 흔한 성씨로 우리 가까이 있는 서민을 대변한다.
박은 가면이나 얼굴을 만드는 재료인 박에서 나왔다는 의견도 있음.
- 꼭두각시 놀음의 구성
1막
곡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
양중에 의해 잡귀를 풀어먹이는 거리굿은 굿청을 허물고 완전히 철상한 뒤 여흥의 성격을 띠고 행해진다.
Ⅶ. 동해안 별신굿의 연희미학
별신굿은, ‘연극’으로서의 특징을 지니는 제의이자 놀이이다. 그것은 옴니버스 식으로 이어지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
4. 중국 축영대(祝英臺) 설화 또는 양산백전을 차용한 서사무가* 함남의 문굿(문굿천두질굿)
5. 판소리 심청가를 차용한 서사무가* 동해안별신굿의 심청굿의 사설
무가가 「춘향가」에 차용된 것 : ‘집사설’ㆍ‘세간사설’ㆍ‘주효와 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
④ 중국 축영대(祝英臺) 설화 또는 양산백전을 차용한 서사무가 : 함남의 문굿(문굿천두질굿)
⑤ 판소리 심청가를 차용한 서사무가 : 동해안별신굿의 심청굿의 사설
⑥ 무가와 춘향가의 교섭
㉠ 무가가 춘향가에 차용된 것 : ‘집사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거리·타령·당악(자진타령)·도드리·청배 등이 쓰인다.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 일부에서는 도살풀이·중모리 또는 엇중모리·반설움·부정놀이·삼공잡이 등이 쓰인다. 충청도 일부와 전라도에서는 살풀이·덩덕궁이·안진반·외장구·굿거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