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인연구』, 박목월. 문학세계사, 1993.
이승원, 『20세기 한국시인론』,국학 자료원, 1997.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윤주은, 『김소월 시 연구』, 시혼과 음영, 1998.
윤재근, 『님의 침묵연구』, 민족문학사, 1985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인 윤동주의 내면 풍경>, 문학정신,1988
마광수,<형이살학적 저랑 시인 윤동주><<식민지 시대의 시인 연구>>, 시인사,1985
박두진,<윤동주의 시><<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정음사,1968
송우혜,<윤동주 평전>,열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인론, 시와시학사
김용직(1974), 한국 현대시 연구, 일지사
김춘수(1998), 한국 현대시의 전개양상, 대한민국예술원
문혜원(1996), 한국 현대시와 모더니즘, 신구문화사
오세영(1996), 변혁기의 한국 현대시, 새미
이기만(2012), 현대시의 수준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인론』, 한국 문화사, 1997.
2. 박두진, “김소월시”, 『한국현대시론』, 일조각, 1973.
3. 김학동, “김소월”, 서강대 출판부, 1995.
4. 김용직, 『한국 현대시인연구(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 김광길, 『현대시의 비평적 연구』, 국학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인들의 바람처럼 퇴색되지 않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발전적인 시문학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김지하, 『애린(1)』, 실천문화사, 1996.
『애린(2)』, 실천문화사, 1986.
『별밭을 우러르며』, 동광출판사, 1989.
『마지막 살의 그리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과사전
현대문학 학습자료 (http://pinggoo.com.ne.kr/korea-culture-HYUNDAI.htm) 1. 들어가며
2. 방언의 문학적 효과
3. 시에서의 방언의 사용
3.1. 김소월 시에서의 방언
3.2. 김영랑 시에서의 방언
3.3. 박목월 시에서의 방언
4. 마치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목월 등의 시인들을 비평한 시인론이며, 4부는 한국시에 있어서의 비극적 황홀, 장시의 가능성, 엘리어트의 영향 등을 서술한다. 그리고 5부는 예이츠, 엘리어트, 긴즈버어그 등 영미 시인들의 일화를 다루고 있다. 제2시론집 『진실과 언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차>
1. 들어가며 ------------------------------------ p. 2
2. 박두진의 생애 ------------------------------- p.2~3
3. 작품탐구 ------------------------------------ p.4~9
4. 마치며 ------------------------------------ p.9~10
참고문헌 -----------------------------------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괴시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할 때, 그 두 가지 흐름을 하나로 통합시키며 독자적인 시 세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한 시인이 바로 황지우다. 그가 이질적인 두 세계를 하나로 통합시킬 수 있던 바탕은 물론 섬세한 서정성이다. 그는 민중시 운동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인이 가진 작품의 시사적 맥락에 대해 평론가 김현은 “1930년대 이후 서정주, 박목월 등에서 볼 수 있었던 재래적 서정의 틀과 김춘수 등에서 보이던 내면의식 추구의 경향에서 벗어나 시의 난삽성(말이나 문장이 어렵고 복잡하여 매끄럽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