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조규태 저, 한국문화사, 2007훈민정음 연구, 강신항 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동국정운, 이재흥 저, 어문학사, 2011 I. 한글창제의 바탕이론
1. 한글 28자의 기원 - ‘28수 천문방각도’
2. 해례본의 가운데소리 나열순서가 지금과 다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Ⅴ. 한글맞춤법의 내용
1. 자음
2. 구개음화
3. 모음
4. 두음법칙
1)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2) 한자음 ‘랴, 려,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
3)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자모문자란 음절을 이루는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각각 문자로 만든 체제이다. 상형문자, 음절문자 등 다른 문자들보다 더 체계적 이며 효율적인 언어 구조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저명한 언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의 짜임
훈민정음의 짜임은 첫째, 예의(例義)를 들 수 있다. 예의의 구성은 머리말, 창제의 취지 및 자주, 애민, 실용정신을 밝힌 어지(御旨), 자음 23자, 모음 11자의 음가(音價)를 설명한 자모의 음가, 종성법,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의 규정
|
- 페이지 7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
1) 훈민정음 창제
(1) 훈민정음(문자)의 성격
(2) 제자 원리
(3) 제자 기준
(4)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편찬
2) 『동국정운』편찬 : 표준 한국한자음 설정
(1) 편찬 경위
(2) 개정 한자음의 시행
3) 『홍무정운역훈』편찬 :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두 - [ ], 비어두 - [i], 속격조사 - [e]로 발음, 정서법은 한자음 - 의(義) 희(希) 계(桂) 례(禮) 폐(肺) 혜(惠) 등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실제는 '희 → 히' '계, 례 → 게, 레' 등으로 발음)
4) 서울말에는 성조가 없어지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에 관해서는 중국음운학에서 30자모표처럼 정비되어 있는 것이 없었고, 자음의 모음체계와 국어의 모음체계 사이에는 너무나도 큰 차이가 있었으므로, 15세기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를 독자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표기할 모음자를 마련하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하고 발음도 그렇게 한다.
표준어에서는 ‘심리’, ‘항로’와 같이 받침 ‘ㅁ, ㅇ’ 뒤의 ‘ㄹ’을 [ㄴ] 소리로 발음하는 데 비해, 문화어에서는 모든 모음 앞의 ‘ㄹ’을 한자음 본래 소리로 발음한다. 그래서 표준어에서는 [심니], [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몽골인들이 사용하는 특수방언 다고르방언
모골방언
몽구오르방언
3. 음운구조
35개의 키릴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모음 13, 자음 20, 부호자 2. 1. 기원과 역사
2. 근대몽골어의 방언
3. 음운구조
4. 문법구조
5. 통사
6. 어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2.1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하고 발음도 그렇게 한다.
표준어에서는 ‘심리’, ‘항로’와 같이 받침 ‘ㅁ, ㅇ’ 뒤의 ‘ㄹ’을 [ㄴ] 소리로 발음하는 데 비해, 문화어에서는 모든 모음 앞의 ‘ㄹ’을 한자음 본래 소리로 발음한다. 그래서 표준어에서는 [심니], [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