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통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지칭어가 있지만 그것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이다.
<참고> 화용론 수업자료. 5-1차시, 5-2차시. -인칭대명사
<신문 광고>
<인터넷 광고>
<시>
-호칭
<신문 광고>
<인터넷 광고>
<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0.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작 방송에서
4. 만나고 헤어질 때
1) 집안 출입 인사는 전통
2) 때로는 “늦었습니다.”
3) 윗사람에게 “별고”가능
5. 전화 예절
1) 받을 때
2) 전화를 바꾸어줄 때
3) 상대방이 찾는 사람 없을 때
4) 잘못 걸려온 전화일 때
5) 상대방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칭대명사‘당신, 자네, 너’의 사용[J]. 한국어학, 2004,(3).
[9] 이희승. 엣센스국어사전[M]. 서울: 민중서림 편집국, 2009.
[10]이익섭. 한국어문법[M].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사, 2008.
[11] 조경임. 국어 인칭대명사의 광고어로서의 기능[J]. 광고언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용을 보면 動量만을 나타낸 것, 身體의 名稱을 借用한 것, 道具를 借用한 것, 時間詞를 借用한 것 등이 있다.
動作의 횟수를 나타내는 動量詞는 \'次\'나 \'回\' 가 一般的으로 사용되며, 이외에도 特定의 動詞와 結合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리 가힝멸오 발심힝더니(14) : 활용어미의 교체(\'-어-, -에/의, -오\') 1. 조어법
(1) 단일어
(2) 합성어
(3) 파생어
2. 조사
(1) 격조사
(2) 보조사
(3) 접속조사
3. 어미
(1) 어말어미
(2) 선어말어미
4. 곡용과 활용
(1) 곡용
(2) 활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