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되어 있어야 한다.
(2)감염위험이 높은 치료기구 및 물품관리
중환자실에서는 많은 종류의 의료기구와 침습적 기구가 사용된다. 사용하는 침습적 처치 기구는 멸균상태여야하며, 사용한 기구로 인해 환경이나 다른 의료기구가 오염되지 않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염병연구회는 질병관리청과 함께 한국인에 맞는 병원 폐렴, 호흡기 감염병 관련 진료 가이드라인(지침)을 만들었다. 팜뉴스 기사 :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953 I.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 3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성균 관리지침
관리
대상내성균
감염 또는 균집락
VRSA, VRE, MRSA, MRPA, MRAB, CRE
준비사항
병실
사용
중환자실
일반병동
MRSA
격리실 사용 또는 코호트
가능하면 일인실 또는 코호트, 안되면 원래 병실사용
VRE
전용 격리실 또는 일인실
다재내성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의
입원당시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증이 입원한 후 혹은 퇴원 후에 발생하는 경우
최근에는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으로 표현 정의&전파
슈퍼박테리아(다제내성균)
최근 사례들
병원감염관리예방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3) 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4) MRAB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5) CR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6) MRPA (다제내성녹농균)
2. 감염관리/치료 방법
3. 시사점 및 고찰
4. 출처 및 참고문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4.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