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소와 이음
음소와 이음의 관계를 관계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5장 음운 자질
음운 자질은 음운(=음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한다. 음운 자질을 설정할 때는 말소리들의 음운론적 행동을 관찰해야한다. 음운 자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 유성음화란음소의 산출 시성대가 진동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로 /s/ /f/는마찰음, /p/, /t/는 폐쇄음, /d/, /b/는유성음이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모든음소는 두 가지 조음(말소리의 산출)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 목록이 아주 제한된 언어발달 장애아동은 다양한 음소확립과 음운구조의 습득이 필요하다 하지만 언어발달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언어 중재 목표를 수행하면서 목표하는 어휘나 말소리 목록과 음운구조 목록에 기반하여 아동의 어휘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 선택
④ 목표 음소들에 대한 치료 계획과 전이를 포한한 치료단계들을 설정
⑤ 계획에 따라 치료를 실시하고 나서 조음 검사를 재실시. 자발적인 말샘플도 표집하여 분석
음운변동 접근법
아동이 처음 성인의 말소리에 접근하는 데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 언어가 늦은 아동의 말하기 능력향상을 위한 음성인식 기반 의사소통 훈련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Ⅰ. 서론
Ⅱ. 본론
1. 조음음운장애(말소리)중재 중 조음지시법
2. 조음지시법의 실제 지도방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
1.음소의 정의
2.말소리 분포와 의미 분화
3.변별 자질(distinctive feature)
▶단어지식
1.단어란?
2.단어를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
3.인간의 단어지식 습득 과정과 그 특성
4.단어를 안다는 것의 의미
▶문장의 정의
▶담 화
1.화행(발화행위) 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소리, 신지영 저, 박이정, 2014 목차
I. 초분절 음소의 종류
1. 장단
2. 높이
3. 강세
II.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1. 음장
1) 음장의 뜻
2) 음장의 변동
3) 음장과 성조
2. 강세
1) 강세의 뜻
2) 강세의 기능
3. 억양
1) 억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는 한 음소 /k/(ㄱ)에 속하는 변이음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어의 [h](ㅎ)와 [ŋ](ㅇ)는 어떨까요? 이 둘은 같은 음소일까? 다른 음소일까? ‘하늘’, ‘학교’에서처럼 [h]는 늘 어두에만 오고 어말에는 오지 않는다. ‘좋다’,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소리의 이음새에 의해 연유된다.
a name과 an aim을 살펴보면 이음새(즉 내부휴지 +로 표기함)의 위치의 차이 때문에 /n/ 음소의 길이가 달라진다. 즉, 다음의 표기가 보이는 바와 같이 내부휴지가 /n/ 앞에 오면 /n/는 짧게 발음되고, /n/ 뒤에 오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라 하는데 거센소리는 터짐 닿소리에만 있다. 그러므로 거센의 바탕에는 닿소리바탕과 터짐 바탕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ㅍ/는 두 입술 거센소리라고만 하면 다른 모든 음소와 구별된다. 이것이 우리말 음소들에 대한 이름이다. 음소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