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주무원록을 통해 본 조선시대 법의학』
정재영, 『增修無寃錄大全』과 『增修無寃錄諺解』 Ⅰ. 서론
Ⅱ. 본론
1.『증수무원록』의 개념과 조선시대의 검시
2. 추리다큐 드라마 별순검
3. 별순검의 검시장면을 통해 본『증수무원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주무원록’에는 다양한 사인(死因)에 대한 사례를 제시한다. 사례 중에는 사망 사건 중에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례와 발생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특수한 사례가 모두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인 사인의 예로는 칼에 의해 사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원록’, ‘증수무원록언해’
법의학의 세계, 이윤성, 살림출판사
역주 증수무원록언해, 송철의 외, 서울대학교출판부
드라마 다모 계기로 본 조선조 범죄수사 허와 실, 이충환, 동아일보
법의학·수사 지침서 \'신주무원록\'과 \'증수무언록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주무원록』은 바로 이것이 가능하도록 검시를 통한 사인규명 등을 정리해놓은 책이다. 과학수사가 고위 관리의 기본이었던 조선에서 『신주무원록』은 관리들이 필독하는 수사지침서였다.
『신주무원록』의 원본은 원래 중국 원나라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려 : 의옥집(疑獄集, 1059) 발간
세원록(洗寃錄), 평원록(平寃錄),
결안정식(結案程式), 지정조격
(至正條格), 무원록(無寃錄) 수입
조 선: 의옥집 발간(1418, 태종 18년)
무원록 중간본 수입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최치운,
이세형, 변효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8.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