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4
中世國語文法,조세용,건국대 출판사,1994
김동소,한국어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두산 「세계대백과 사전」 1.`훈몽자회` 문헌 해제
2.`훈민정음` 문헌 해제
3.`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 문헌 해제
4.`두시언해` 문헌 해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을 만들던 그 때에 있어서는 , 된소리 [ㄲ, ㄸ, ㅃ, ㅉ]는 독립한 음소로서 그리 분명한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던 것인데, 이러한 변천으로 말미암아, 된소리는 우리 음운 체계 안에서, 확고부동한 독립 음소의 자격을 확보하게 되었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청>
화어유해----------------------------<화어>
훈몽자회----------------------------<훈몽>
훈민정음(원본)----------------------<훈민-원> 단음절 신체어휘의 통시적 고찰
1.들머리
2.몇몇 단음절 신체어휘의 통시적 고찰
3. 마무리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월인천강지곡); 정음으로 된 한자음을 큰 활자로 적고, 그 옆에 작고 흐리게 한자 표기
다. 釋譜詳節(석보상절) 月印釋譜(월인석보); 한자를 먼저 쓰고, 그 옆에 작은 활자로 정음 즉 한자음 표기
※ 訓民正音 合字解(훈민정음 합자해): 세종이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두 인서체의 특징
5. 16세기 이 밖의 한글 글자꼴
1)정음체
2)효빈체
3)궁체
4)혼서체
5. 한글 글자꼴의 변화
6.대표적인 한글 활자
1) 갑인자
2) 을해자
3) 을유자
4) 경서자
5) 무신자
6) 원종한글자
Ⅳ. 나가며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