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아트연구소,『공동경비구역 JSA』, (삼인, 2002)
권은선(순천향대), “‘한국형 블록버스터’와 민족주의 담론의 절합관계 연구 :
<쉬리>와 <공동경비구역 JSA>를 중심으로”
김욱,『영화 속의 법과 이데올로기』, (인간사랑, 200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디어아트 연구소 저, 『영화와 시선: 강원도의 힘』, 삼인, 2003.
유경선 저, 『사진 용어 사전』, 미진사 1998.
이용관 저, 『영화 작가주의의 역사와 실천』, 집문당, 1997.
이효인 저, 『영화 미학과 비평 입문』, 한양대학교 출파사, 1999.
편집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3.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디어아트삼성전자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091119182656
-삼성 파브 LED TV, ‘LED 무빙 갤러리 버스’ 전국 누빈다
http://www.kmobile.co.kr/k_mnews/t_news/news_view.asp?tableid=solution&idx=269455
-삼성 파브 LED 신규 광고 캠페인 선보여 \'LED 하이퍼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변형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 예술과 기술의 갈등을 극복해야
2. 미디어아트 [media art]
3. 멀티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예술
1)미디어의 혁명과 문화변동
2)컴퓨터 예술의 흐름
3) 비디오 예술의 흐름과 미학
4. 감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디어아트를 통해 볼 수 있는 이점
기술의 발전은 늘 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꿔왔다. 영화에서 TV, 비디오에서 컴퓨터에 이르는 뉴미디어 발전은 전통적인 순수 예술에 막대한 영향을 주면서 새로운 형식의 작품과 전에 없던 표현 양식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09.2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점점 정체성을 잃어가고 상업적으로 변해가는 추세입니다. 비디오아트 또한 이와 비슷한 상황입니다. 작가들은 이런 잘못된 점을 고치고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펼쳐나가야 할 것입니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드웨어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제 그 생각을 바꿀 때가 되었다. 제대로 된 전문가집단과 역동적인 생산자, 즉 작가가 없다면 \'선진문화창달\'은 공염불에 불과한 것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4.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디어, 21세기 시각예술 혁명‘ / 2004 디지털시대(들어가며)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예술의 상호관계
1. Positive - 미디어아트를 통해 볼 수 있는 이점
2. Negative - 테크놀로지신화에 의한 압도(시뮬라크르)
디지털테크놀로지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 오해들을 수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비디오 설치의 발전을 눈여겨 봄으로 해서 퍼포먼스의 의미를 간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퍼포먼스는 수 많은 예술가들이 비디오 아트로 넘어 온 다리가 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액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4.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가 달라질 것이다. 분명한 것은 한국의 창작계에서 반음계나 무조적인 성향의 비중이 너무 강하다는 것이다. 그런 음악 스타일들은 언어체계상 퍼퓰러뮤직적인 발상이 배제되어 있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