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1910년대 일본이 방조제를 많이 설치해 간척지를 확보했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자의 주장을 반박하고 1921년에 나타난 방조제 등은 조선 때부터 쓰인 방조제 등을 보수한 것이며, 결국 급격한 농지 확대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우량 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화론’」, 『역사비평』 1991년 겨울호 참조.
30) 조석곤, 「수탈론과 근대화론을 넘어서」, 『창작과비평』 1997년 여름호, 359면.
31) 『동아일보』 1997년 8월 14일자.
32) 정태헌, 「수탈론의 속류화 속에 사라진 식민지」, 『창작과비평』 1997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 근대화론\' 혹은 \'한국 자본주의의 식민지적 기원\'을 주장하는 자들 거의 대부분에 의해서 거부되고 있다. 최근 일본의 한국사 연구자에게는 거의 영향력을 잃고 있다고 한다. 특히 \'內在的 發展論\' 극복에 吉野誠과 宮嶋博史를 주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사회에 대한 이해를 고양시켰고, 주요한 학문적 성과도 거두었다.
그러나 80년대 후반 이후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의 주창자였던 안병직이 기존의 입장을 바꾸
어 중진자본주의론의 입장에서, 다시말하면 식민지 근대화론의 입장에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宮嶋博史, 1984, 「조선사연구와 소유론-시대구분에 대한 일제언-」 『인문학보』 167, 동경도립대학
李榮薰, 1986, 「조선사회구성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약간의 고찰」 『태동고전연구』 2.
박찬승, 1995, 「분단시대 남한의 역사학」 『한국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宮嶋博史, 1984, 조선사연구와 소유론-시대구분에 대한 일제언- 인문학보 167, 동경도립대학
李榮薰, 1986, 조선사회구성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약간의 고찰 태동고전연구 2.
박찬승, 1995, 분단시대 남한의 역사학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게 하는 기시모토의 필력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과거시험관이었던 유희춘과 미암일기 속의 과거시험관들 이야기를 거론하여 조선 과거제의 허점을 예리하게 지적해 중국의 과거제도와 비교한 미야자키의 글로 방향을 잡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야지마 히로시 외 1명(2010), 일본사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한일병합 100주년에 즈음하여, 창비
무라카미 시게요시 외 1명(2008), 일본의 종교 : 일본사ㆍ윤리사회의 이해, 지만지
아사오 나오히로 외 1명(2003), 새로 쓴 일본사, 창비
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히로시 교수의 저작 ≪토지조사사업의 연구≫가 발간되어 있으므로 후일 이에 대한 서평 형식으로 필자의 실증적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싶다. 1. 들어가는 말
2. 토지개혁의 이른바 제1단계(형태)
3. 토지개혁의 이른바 제2단계(식민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화론’ 논쟁의 전개와 그 내용을 개괄적으로나마 살펴보았다. 근대화론 논의가 치열한 논쟁으로 비화한 것은 사관 자체가 판이하기 때문으로 같은 사실을 가지고도 서로 다른 역사상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제의 식민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