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講會錄」이나 「講會日記」에 의거해서 금후 상세하게 추구해 보고 싶다.
-149-
(신 정 암 譯) 1. [선사강학소립사치제]의 전형적 서원인 도산서원의 일곽을 이루는 도산서당은 어떤 경과를 거쳐 성립되었는가?
2. 역락서재에 관하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산서원기)
1. 도산서당(陶山書堂)
2. 농운정사(隴雲精舍)
3. 정교당
4. 동. 서재 (東. 西齋)
5. 광명실
6. 장판각(藏板閣)
7. 상덕사(尙德祠)
8. 전사청(典祀廳)
9. 옥진각(玉振閣)
10. 역락서재(亦樂書齋)
11. 시사단(試士壇)
12. 천연대(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원의 폐해
2. 서당
1) 조직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종류
5) 교수방법
6) 교육사적 의의
Ⅵ. 조선시대교육의 성균관
1. 등장시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대상
5. 교육방법
6. 교육평가
7. 정원수
8. 교육관계법규
9. 교육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능, 명칭상에서 서원과 그 성격이 크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예컨데 서원이 養育人才와 斯文振興에 목적을 두고 藏
修講學의 기능을 담당하였음에 반하여 사우의 경우는 이러한 교육적
기 능보다는 報本崇賢의 祀賢에 더욱 큰 비중이
|
- 페이지 9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원의 규범을 잡아나가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2. 서원Ⅱ
* 1559년 건립된 영봉서원은 「영봉서원기」의 기록내용은 이렇다
- 건물은 정당(正堂)을 성정(誠正), 동재를 극복(克復), 서재를 경의(敬義)라 하고 고명루
(高明樓)와 풍영단(風詠)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