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과 우리글 바로 쓰기의 목적
Ⅲ. 일상 생활에서 우리말 오용 사례
1. 언론 매체에 나타나는 우리말 오용 사례
1) 어휘
2) 통사 구조
3) 표기법
2. 일본어의 잔재
3. 우리말에 스며있는 일본어투
1) -의
2)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면서 전자의 우리말 뜻은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석식: 조식, 중식, 석식 등 일본어의 한자식 표현이다.
선착장 : 조선시대에 나루터, 도선장이라 불리던 것이 일제시대를 지나면서 선착장이란 표현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유휴지 : 유휴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생활 속에서 어쩌면 모른 체로, 혹은 알면서도 일본어에 오염된 단어나 숙어, 문법표현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고 있다. 깊게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의 아픈 과거가 숨어있는 부끄러운 행동임에도 잘 고쳐지지 않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찮지만 꼭 붙여야 한다.
[~의}[~의 것]을 두 가지 모두 일본어에서는 [~の]로 나타낸다. 그런데 그 중 [~의]의 뜻으로 쓰이는 것은 우리나라와 같은 데, 자칫 잘못하면 틀리게 될 수가 있다. 왜냐하면 일본어의 [~の]는 우리말의 [~의]처럼 생략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로 쓰이고 있고 우리말에는 없던 말이라고 생각하니 당연한 거부감이다. 하지만 정반대이다. ‘사라’는 순우리말이고 ‘쟁반’은 한자어이다. 그런데 조선시대만 해도 ‘사라’라는 말을 우리 조상들은 곧잘 사용했다. 조선중기어의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