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종금감(醫宗金鑑)』 「자구심법요결(刺灸心法要訣)」에서 “흉(胸)은 결분(缺盆) 아래, 복부(腹部) 위의 뼈가 있는 곳이다.”라고 하였으며, 『의종금감(醫宗金鑑)』 「정골심법요지(正骨心法要旨)」에서는 “그 양측(兩側)의 흉부(胸部) 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사이다.
[]者, 濕也。
색자 습야.
맥이 깔깔함은 습증이다.
身體煩疼, 風也。
신체번동 풍야.
몸이 화끈거리고 아픔은 풍이다.
不能轉側, 濕也。
불능전측 습야.
몸을 옆으로 돌릴 수 없음은 습이다.
乃風濕相之身體疼痛, 非傷寒骨節疼痛也。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또한 발열 오한하고 몸이 무겁고 아프게 한다.
經曰:寒傷形, 暑傷氣。
경왈 한상형 서상기.
내경에서 말하길 한기는 형체를 손상하고 서사는 기를 손상한다.
氣傷則氣消而脈虛弱, 所以弦細遲也。
기상즉기소이맥허약 소이현섹지야.
기가 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終屬陰邪, 故見面目靑, 身痛如被杖之寒證。
음독종속음사 고현면목청 신통여피장지한증.
음독은 마침내 음사에 속하므로 얼굴과 눈이 푸르게 나타나고 몸이 곤장을 맞은 듯한 한증 통증이 있다.
二證俱咽喉痛者, 以此證乃, 邪從口鼻而下入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氣上衝心, 心窩部에 疼痛感과 熱感이 있고, 飢하면서 不慾食하고, 甚하면 蛔蟲을 吐出하는 等이다.
주석에서 말하길 6경이란 태양, 양명 소양 태음 소음 궐음을 말함이다.
爲病盡傷寒, 謂六經爲病, 盡傷寒之變化也.
위병진상한 위육경위병 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半兩)大黃(三錢)
석결명 일량, 인삼 이량, 생지황 이량, 길경 일량, 차전자 일량, 충울자 이량, 백작약 일량, 세신 반량, 대황 삼전.
석결명 40g, 인삼 80g, 생지황 80g, 길경 40g, 차전자 40g, 충울자 80g, 백작약 40g, 세신 20g, 대황 12g.
右[上]爲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질려작 목적하고초방풍.
이미 오풍의 부족증상을 생성하면 오풍보간산 안에 천궁 숙지황 당귀 질려 백작약 목적 하고초 방풍을 넣는다.
方劑:
烏風補肝散方
오풍보간산방
組成:
川芎 熟地黃 當歸 藜 白芍藥 木賊 夏枯草 防風(各一錢)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0g, 흑삼 40g, 방풍 40g, 황금 40g이다.
右[上]爲細末,煉蜜爲丸,如桐子大,食前茶淸送下三錢。
상위세말 련밀위환 여동자대 식전다청송하삼전.
위 약물을 가늘게 가루내어 끓인 꿀로 환약을 오동나무씨 크기만하게 만들고, 식사 전에 차 맑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의 맥과 증상을 얻어서 다시 땀이 나지 않고 표부가 충실하고 안이 열나는 심번하고 들썩거리는 증상을 겸했다.
傷寒, 謂寒傷營之病也.
상한 위한상영지병야.
상한병은 한사가 영혈을 손상한 병을 말함이다.
身重不痛, 乍有輕時, 風傷衛之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곽향의 방향성 약재로 사군을 보좌하여 脾로 들어가니 그 공이 더욱 빠르며,
갈근은 감한한 것으로 양명으로 바로 달려가니 기육의 열을 풀고 목마른 것을 제거한다.
[按] 本方加陳皮, 名五味異功散, 治氣虛而兼氣滯者;
再加半夏, 名六君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