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 및 관리 방향
1) 국가적인 차원에서 한국이 고구려 유적 보존을 제안하는 것은 역효과를 낸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고구려사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시각은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열의와 선의가 중국에게는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적과의 연계문제, 현장답사 조사의 한계등 문제가 남아있다. 더욱이 남북한과 중국 측에서 보는 가각의 입장 차이는 결국 이들 세 나라 학자와의 공동연구 및 비교사적 검토를 숙제로 남게 한다.
고구려의 유적은 중국과 북한에 분포되어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및 배경, 인식 실정
B. 본 론
a. 역사적인 부분
- 1. 고구려는 어떤 민족인가
- 2. 벽화와 언어를 통한 분석
- 3. 중국내 고구려 유적지에서 왜곡되고 있는 역사
- 4. 중국 측 문헌이 말해주는 우리 역사들
b. 경제적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분에 대해 중국의 유사 유적과 함께 북한, 중국이 공동등재 하도록 권고
- 지난 2000년과 2001년(ICOMOS) 조사단의 일원으로 북한을 방문했던 아리안 페린 유네스코 동북아 담당 자문관의 북한내 고구려 유적의 보존실태 등 대한 발표
(5)동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 벽화고분은 중국학자들에 의해 발견, 조사되었다. 1950년에는 오회분4호묘가 조사되었고, 1963년 하해방31호분, 1964년 산성하983호분 무덤칸에 벽화가 있음이 알려졌으며, 1966년 집안 통구고분군이 일제히 조사되는 과정에 산성하332호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8.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