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너전압 부근에서 갑자기 전류가 증가하는 항복현상을 볼 수 있다.
위의 (a)와 같은 그래프가 그려지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가 측정한 전류로 그린 그래프 역시 위의 그래프 형태와 일치한다.
이번 실험으로 다이오드, 지너다이오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 흐르고 나머지는 를 통해 흐른다. 가 감소하면 부하저항에 흐르는 부하전류는 증가하고 다이오드를 지나가는 전류는 감소한다. 지너 다이오드는 지너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최솟값에 도달할 때까지 정전압을 유지한다.
입력전압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너 다이오드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출력 전압
600mv(인가전압10V)
7. 실험을 하면서 느낀 점
이번 주 실험을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가변저항의 사용에 있었습니다. 몇 번의 사용 경험이 있어서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너 다이오드를 연결 하였을 때
지너 다이오드의 회로도
가변 저항이 0일 때
가변 저항이 10k일 때
캐패시터 값을 10u로 바꾸었을 때
나머지 조건은 바로 위의 실험과 동일
저항 값이 0 일 때
저항 값이 400 일 때
저항 값이 10k 일 때
지너 다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너 다이오드도 바꿔보고 트랜지스터도 바꿔보고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실험을 제개 하였지만 출력전압의 변화는 미동이었습니다.
그래서 가변저항대신 그냥 저항을 일일이 바꿔가면서 실험을 해보았더니 그제서야 출력전압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