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 서울말과 다른 특징적인 부분. 자음체계의 경우에는 표준어와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따로 기재하지 않았다. 더불어 자모의 음소체계와 더불어 음운체계를 형성하는 운소체계의 경우, 제주도는 무성조무음장지역이므로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와 방언
1) 방언(方言)
2) 표준어
3)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2. 방언의 유형
1) 지역 방언(地域方言)
2) 사회 방언(社會方言)
3. 방언의 특질
1) 보수성
2) 개신성
3) 분화성
4) 통합성
5) 계급성
4. 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3.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와 문화어
2. 로동신문으로 알아본 남·북한 어휘의 차이
(1) 형식만 같은 어휘
(2) 의미만 같은 어휘
(3) 사회 구조가 반영된 어휘
(4) 외래어
3. 북한의 방송 보도 화술로 알아본 남·북한 표준 발음법의 차이
(1) 방송 보도 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의 그것과 동일하다. 다만 후두파열음 음소목록에 추가시킬지의 여부가 논의의 대상이 된다. 묻-(問)의 경우에도 물:는다, 물:째, 물:뜨라, 물:네야등과 같이 활용된다. 표준어의 ㄷ변칙 용언에 해당하는 어형이 영동방언에 없음을 알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 서울방언이라는 말도 성립될 수 있다. 현대 방언학에서 쓰이는 방언의 개념은 이 경우인데 이러한 개념이 확립된 것은 갑오경장 이후의 국어국문 운동을 계기로 하여 이후 일본인 학자의 방언 연구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