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과류와 편육, 적, 전유어, 포 등의 찬이 구성되어 상에 올려진다.
남은 음식을 신랑이 집으로 가져가는 것을 이바지 음식이라고 부르며 폐백은 신부가 시댁에 도착한 뒤에 행해지는 전통 혼례 의식이다.
친정에서 미리 준비한 음식을 상 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4.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색을 찾아서.
맛있는 강정 이야기.
(1탄) 수없이 많은 한과들의 종류.
(2탄) 수없이 많은 한과들의 종류.
각 지방의 특색 떡.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다른 떡.
찰. 수수부꾸미
다식찰. 수수부꾸미
쑥갠떡
쑥버무리 (쑥설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김치와 젓국), 찌개, 마른찬(북어보푸라기, 육포, 어포) 등을 갖추어 낸다. 죽은 그릇에 담아
중앙에 놓고 오른펀에는 공기를 놓아 조금씩 별어 먹게 한다. 죽상에는 짜고 매운 찬은 어울리지 않는다.
1. 응이상: 응이, 동치미, 소금, 꿀을 갖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제상의 시기와 지나치게 차이가 난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인 관등이 파진찬으로 되어 있으나 박제상의 관등이 내마라서 그를 진골로 보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일본서기의 미질허지벌한과 관련 있는 파사매금과 그 미질허질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고지, 가지, 박고지, 취나물, 고비나물, 고사리, 도라지, 무청, 버섯 등 9가지 나물을 먹는 것이다. 부럼이란 생밤, 호두, 은행, 잣 등의 견과류를 보름날 아른 새벽 눈 뜨자마자 껍질째로 한번 깨물어서 먹지 않고 내던지며 “부럼이요”라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