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 만들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떡 만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무시루떡

수정과와 곶감쌈

시루떡과 수정과의 이야기

떡의 유래와 기원

구기자차

율란 . 조란

색떡 (무지개 떡)

오색쌀엿강정

경단(삶는 떡의 기본)

오과차

자연의 색을 찾아서.

맛있는 강정 이야기.

(1탄) 수없이 많은 한과들의 종류.

(2탄) 수없이 많은 한과들의 종류.

각 지방의 특색 떡.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다른 떡.

찰. 수수부꾸미

다식찰. 수수부꾸미

쑥갠떡

쑥버무리 (쑥설기)

본문내용

리나라 떡의 시작은 청동기 시대의 유적인 나진초도 패총 및 삼국시대의 고분 등에서 시루가 출토되면서 부터인 것으로 추측되는데요. 이 무렵의 생활 유적지에는 거의 예외없이 연석이나 확돌이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곡물로 가루를 만들며 시루에서 찐 음식인 떡이 농경전개시기부터 널리 애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삼국 및 통일 신라 시대로 접어들어 본격적인 농경 시대가 전개되면서 쌀을 중심으로 한 곡물의 생산량이 증대되어 쌀 외의 곡물을 이용한 떡도 다양해졌으며, 고려 시대에 한층 더 발달하게 되었고, 상류층이나 세시행사와 제사 음식만으로서가 아닌, 하나의 별식으로서 일반에 이르기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조선 시대로 접어들면서 떡은 혼례 · 상례 · 제례 등 각종 의례 행사와 대 · 소연회에 필수적인 음식으로 자리잡았으며, 이 같은 습속은 지금까지도 전통과 관습으로 이어져 내려와 우리의 식생활 문화를 향상시켰다
이어서 무문토기시대 유적, 김해문화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거의 시루가 나오고 있으며, 고구려 시대의 벽화인 황해도 안악 제 3고분의 벽화나 황해도 약수리 벽화에도 시루에서 음식을 찌고 있는 그림이 발견되었다.
떡은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정월 초하루에는 흰떡을 만들어 떡국을 끓이고, 이월 초하루 중화적(中和節)에는 노비 송편, 삼월 삼짇날에는 두견화전, 사월 초파일에는 느티떡, 오월 단오에는 수리취절편, 유월 유두에는 떡수단, 추석에는 송편, 구월 구일 중구절(重九節)에는 국화전, 음력 시월에는 시루떡을 하여 동리 이웃과 나누어 먹는 세시 풍습이 있다.
또한 어른의 생신, 회갑, 아기의 백일, 첫돌, 생일, 혼례, 젯상 등에도 빼놓지 않는 것으로, 신성하고 편안함을 비는 마음과 함께 오랜 평화가 두고두고 깃들기를 바라는 풍습인 것이다.
떡은 조리법을 중심으로 분류하는데 시루에 쪄서 완성한 찐 떡 다음 다시 완성한 친 떡, 기름에 지져서 완성한 지진떡, 찰가루 반죽을 삶아 건져 낸 삶은 떡 등이 있다.
떡의 종류와 의미
*백설기: 깨끗하고 병이 없으며 백이라는 숫자의 의미 ,즉 완전함을 뜻한다
*수수팥떡: 오만잡귀를 물리쳐 액을 면하라는 의미
*인절미: 마음과 육체가 찰떡같이 하나로 붙어 있으라는 의미
찰떡처럼 부부금실이 귀착되라는 의미
*오색송편: 오행사상에 바탕을 두고있으며 속에 있는고물처럼 꽉 차고
감싸고 있는 떡같이 넓은 마음을 가지라는 의미 만물의 조화
*절편: 흰색,쑥 색은 부부간의 조화를 의미
*송편: 부부의 가정에 속이 꽉 차고 넓은 마음으로 화합하라는 의미
*화전주의: 아름다움, 고상함, 품위
*기주증편: 무병, 탈 없음을 의미
*찰깨끼: 상의 모든 좋은 일을 포함한다는 의미
*봉채떡: 부의 금실 및 화목, 액막이
*달떡: 보름달처럼 밝게 비추이고 둥글게 채우며 잘 살도록 기원
2008.03.24
구기자차
재료
구기자1/4컵, 물6컵, 잣1큰술, 설탕약간
만들기
구기자는 붉은색이 선명한 것을 준비하여 물에 한 번 씻어 끓는 물에 넣고 30분정도 중불에서 은은하게 다린다.
충분히 우러나면 체에 걸러 따뜻하게 덥힌 찻잔에 붓고, 잣을 서너 알 띄우고 설탕을 따로 곁들여 낸다.
특징
구기자는 예로부터 자양강장의 묘약으로 상징될만큼 널리 이용되었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몸의 저항력을 높여준다.
독성, 카페인이 없어서 이에따른 해독을 막을 수 있다.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수업시간 tip&point
처음에는 쎈 불에서 끓이다가 중간 불로 바꿔 은은하게 오래 끓여낸다.
체에 구기자 열매를 걸러낸다.
식은 후 잣을 띄워야 잣 기름이 안뜬다.
율란 . 조란
재료
율란: 밤30개, 계피가루1작은술, 꿀4큰술, 잣가루3큰술
조란: 대추20개, 계피가루1/2작은술, 꿀2큰술, 잣20개
만들기
율란
1. 밤은 껍질 채 푹 삶아 속을 파낸 후 으깨어 체에 내리고 계피가루와
꿀을 섞어 덩어리로 꼭꼭 뭉친다.
2. 밤 반죽을 조금씩 떼어 밤모양으로 빚은 다음, 잣가루를 묻힌다. 마른
밤 으로 만들 때는 가루를 내어 사용한다.
조란
1. 대추는 찜통에 20분 이상 푹 쪄내어 씨를 발라내고 살을 곱게 다진다.
2. 다진 대추를 계피가루와 꿀을 넣고 약한 불에서 주걱으로 저으면서
조린 다음, 덩어리지게 뭉쳐 놓는다.
3. 대추 반죽을 조금씩 떼어 대추모양으로 빚고, 양끝 부분에 잣을 박는다.
특징
잘 익고 살이 많은 굵은 마른 대추라야 맛이 부드럽다.
잣가루를 뭍힐 때 나무 젓가락을 사용하면 손에 묻지 않는다.
초는 과수의 열매를 통째로 익혀 모양대로 졸인것이다.
란은 열매를 익힌 뒤 으깨어 설탕이나 꿀에 조려 다시 본 형태와
비슷하게 빚은 것이다.
수업시간 tip&point
밤은 푹 익혀 으깨어 체에 곱게 내린다.
계피와 꿀은 조금씩 넣어가면서 질기를 맞춘다.
대추는 찜통에 20분 이상 푹 쪄내어 씨를 발라 낸다.
약한 불에서 대추를 조릴 때는 수분이 없게 한다.
잣은 곱게 다진다.
색떡 (무지개 떡)
재료
멥쌀 10컵, 소금2큰술, 설팅2컵
계피가루, 녹차가루, 백련초가루
만들기
1. 멥쌀가루에 설탕을 넣고 체에 내린다음 3컵은 계피가루, 3컵은 녹차가루, 3컵은 백련초가루로 수분을 주고 비벼서 골고루 색을 들인다음 각각을
고운 체에 내린다.
2. 시루에 시루밑을 깐 다음 흰색, 분홍색, 노란색, 갈색, 녹색의 순서대로
안친 후 김이 오르면 약 15분 정도 쪄낸다.
3. 떡이 다 되어 한 김이 나가면 접시에 떡을 엎은 후 시루밑을 떼어낸다.
4. 장식은 멥쌀가루 1컵 정도의 분량을, 물을 내려쪄서 분홍색과 녹색의 물을 각각 들이고 밀대로 밀어 꽃과 꽃잎을 만들거나 박오가리에 물을 들여
꽃을 접어 장식하기도 한다.
특징
무지개 떡이라고도 하는데 원하는 색의 수대로 나우어 켭없이 찐다.
무리떡이란 떡가루에 켜를 만들지 않고 한덩어리가 되게 찐다.
쌀가루에 섞은 재료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설기떡 이라고도 한다.
고물대신 쌀가루에 색을 입힌것이 색떡이다.
수업시간 tip&point
케익처럼 부드러운 떡을 원하면 여러번 내린다.
손바닥 이용해야 많은 양을 내릴수 있다.
마른가루는 물을 더 준다.
딤섬에 가루 놓고 힘주지 말고 손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8.15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