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규모 토목 및 엔지니어링 사업에 참여함으로서 부가적인 사업창출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동북아 역내 에너지교역과 투자가 활성화되고 다수국을 통과하는 수송로가 구축되면 동북아 국가간의 경제교류가 촉진되는 만큼 한국의 대 동북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되어 동아시아 경제권의 \'중심 축\'으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고일동 외,『남북한 경제통합의 새로운 접근방법, 독일식 통일의 문제점과 극복방안』,한국개발연구원, 1997.10.
박 진, 『남북한 경제통합시의 북한지역 빈곤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2.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열기, 한국대학유학 인기)이 지속되고 있고 또 몽골인에게 한국은 기회와 희망의 땅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 진 대통령의 몽골 방문은 자원 및 에너지 외교의 강화와한.몽 관계의 획기적 개선으로 요약할 수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업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정민A.스타리치코프 지음, 「러시아 극동을 주목하라」,한울, 2005
변창구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 대왕사, 2001.
전략시장연구실(2014), 최근 러시아 경제동향과 2015년 대러교역 여건 전망,
한국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발 전망과 한국의 선택”(2008) ,p73~77
4. 극동지방 개발정책의 정치경제 : 왜 국가가 주도하고 있나?
구 계획의 계획이 2010년까지로 되어있는데 러시아 정부는 계획이 만료되기도 전에 굳이 이를 앞당겨 수정할 필요가 있었을까? 왜 푸틴 대통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시아연방으로 바뀌며 자본주의 물결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아직은 자본주의를 일찍 받아들인 나라들에 비해 부족하고 힘든 생활을 하고 있지만, 그러한 점만을 들어 무시하기는 힘들다. 우리나라가 러시아의 거대한 잠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2005.6
이정보 “러시아의 경제체제이행과 성장전망에 관한 연구”
Martynov Dmitri “대한민국과 러시아의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
심상렬 “러시아 시베리아 극동지역 자원및 우리의 진출방향”
해양 수산 개발원 “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시아, 인도, 중국 등 4개국의 영문 머리글자를 조합한 용어다. 이 말이 주목을 받고있는 것은 인구 대국이면서 풍부한 자연자원과 높은 교육수준의 영향으로 고도성장을 하고 있고, 더구나 50년 후에는 미국, 일본과 함께 세계 6대 경제대국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베리아
1. 시베리아의 수자원과 수력발전 잠재력은 무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시베리아는 지하자원(연료?원료자원)의 보고이다
3. 시베리아는 수산자원의 보고이다
4. 시베리아는 삼림자원의 보고이다
5. 시베리아는 관광자원의 보고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경협의 제도화 지속적 추진
3. 물류수송의 다양화 및 안정성 확보
4. 통관절차의 간편화 마련
5. 통신 및 통행의 자유화 진전
6. 국민적 공감대 형성 및 통일 인프라 구축
7. 남북경협 발전을 위한 대외적 여건 조성 노력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