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22건

한국어)의 종결어미 Ⅲ.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의문어미 Ⅳ.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고져와 과뎌 1. ‘-고져/-과뎌’의 형태론적 특징 2. ‘-고져/-과뎌’의 의미 기능(형태론적 결합의 제약) Ⅴ.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ㄹㅇ표기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다. 넷째, 시상, 양태, 존대와 같은 문법범주가 대개 보조용언에 실현된다. 즉, 보조용언이 없다면 본용언에 덧붙여질 선어말 어미들이 보조용언에 붙는다. 예를 들어, ‘철수는 영희를 만나보았다.’ 라는 문장은 성립하지만 ‘*철수는 영희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한국어 ----------------------------------------------------------------------- 28:051 geschah ihm nichts being harmed 상처도 입지 않고 28:091 liesen sich heilen were healed 병도 고쳐 주었다 28:131 kam Sudwind auf blow from the s. 남풍에 실려 28:151 fuhlte sich ermutigt was encouraged 용기를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한국어의 핵의 위치는 맨 오른쪽이라는 원리도 함께) 장형 부정 구문의 구조를 설정하려 할 때, 가능한 방안은 \'하-\'를 핵으로 하고 그 앞에 오는 성분을 문장이나 동사구 (혹은 명사구)로 보는 두 가지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형 부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하\"는 격을 부여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 경동사가 부여하는 격은 하위동사에 의해 결정되는 것 같다. 즉, 하위동사가 목적격을 부여하는 동사라면 이 동사는 언제나 목적격을 부여한다(7가). 그리고, 하위동사가 목적격을 부여하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로 생각하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8)을 제시하고 있다. (8) 명사-부가 구조의 경우 격은 최상위 명사 조각에만 실현된다. 다섯 번째 차이를 알아보자. (6)의 구조에서 볼 때, DP와 NP에 각각 격이 부여되어야 한다. 그에 반해, 분류사-격형에서는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인다. Tense 위치는 주어 위치를 성분통어 할 수 있다. 만일 Neg 요소가 Tense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면 이 위치에서 주어 위치의 부정 극어를 허가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효과는 한국어에서 동사인상(V-raising)을 가정함으로써 얻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비문법적이라는 점으로 복사의 양상과 관련하여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3) \'-기는\' 왼쪽의 형태가 그대로 복사되어야 한다. 즉 (2다)는 \'-기는\' 왼쪽의 형태 중 \'-시\'가 복사되지 않아 비문법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마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다. 마지막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영 목적어의 해석을 둘러싼 현상을 토대로 이들 언어에서 동사의 이동이 있다고 주장한 Otani and Whitman(1991)의 논증을 들 수 있다. 이 논의들에 대한 구체적인 것은 이해가 확실히 가지 않는 부분으로 이 역시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여야 함을 보여주는 논거로 재해석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8) TP AgrP AgrP AgrP Agr Agr VP VP NP NP V Agr NP NP V Agr Tense 아버님이 노래를 하 고 어머님이 춤을 추 시 ㄴ다 이상의 논의에서 논자는 한국어에서 Agr가 독립된 통사적 실체로 존재하여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