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축(한반도군비축소)의 임무
1. 주력 현안
2. 유엔의 임무
3. 정부의 임무
4. 시민사회의 임무
Ⅴ. 한반도군축(한반도군비축소)의 역할
Ⅵ. 한반도군축(한반도군비축소)과 주한미군
Ⅶ. 한반도군축(한반도군비축소)과 군산복합체
Ⅷ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비증강과 한미연합군의 작전계획 변경에 기반을 두고 있는 \'동맹의 현대화\'는 오히려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미국의 군사적 기득권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주한미군의 병력수가 줄어들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한국이 국방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의 반핵운동
(2) 인도의 반핵운동
(3) 비핵지대화 운동
5) 아시아 평화운동과 한반도의 긴장완화
6) 군축 평화운동
7) 군사 투쟁과 평화운동
8) 아시아 시민사회와 평화 운동 : 피해 고발에서 평화문화 정착으로
3. 결 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9.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 적화전략\"은 조금도 변화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남북정상회담과 같은 북한의 화해 제스추어는 단지 \"전술적 변화\"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이 인식하는 안보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대남적화통일 전략을 포기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비 효율화 : 한계와 과제,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6
▷ 최강, 한반도 군비통제와 주한미군 :병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3 Ⅰ. 서론
Ⅱ. 한미군축(한미군비축소)의 개념
Ⅲ. 한미군축(한미군비축소)의 필요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