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운하 주변 \'개발이익\'때문에 운하 참여\"
91% \"대운하 건설비용 16조원이상 들 것\"
이명박 당선인의 한반도 대운하에 참여 의사를 밝힌 건설업체들의 83%는 운임 수익에는 관심없고 대운하 주변 개발수입 등 부동산개발 차익을 겨냥하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운하 건설을 통해 실질적인 파급효과를 낼 수 있는 정책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Ⅳ. 자료출처 및 참고문헌
한반도 대운하 http://www.woonha.org/
네이버 사전
경부운하 추진 국민운동 본부 http://www.koreaunha.kr/
경부운하 재앙인가 축복인가 박진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운하 건설은 강바닥을 파헤치고 산을 허무는 자연파괴 없이는 불가능한 작업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 주민들은 강력하게 반발할 수밖에 없었다. 지역주민 80% 반대... 수백 개 사회단체 결성 1996년 여름 알랭 쥐페 당시 총리가 해당 지역 주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절박한 상황에서 이명박 전 시장은 수십만 개 일자리 창출 등 서민경제 회생의 내용이 담긴 <한반도 대운하>라는 프로젝트를 제시한 것이다. 이명박 전 시장은 <한반도 대운하>프로그램이 현 정권의 ‘행정수도 이전’ 공약과 같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가에게서 나온 소문입니다. “한반도 대운하 건설은 미친 짓이다.” 이라고 했지요.
저희가 이 사람한테 이 메일(e mail)을 보낸 적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이러한 논거로 한반도 대운하가 추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당신은 무슨 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운하, 공약에 대한 망상 버려야
한반도대운하 건설로 인한 일자리 창출 30-60만개라는 추정치에 데해 독일인 환경보호연맹 만프레드 크라우스씨는 \"550km 구간을 삽으로 파면 그 정도 일자리가 나올 것\"이라며 비아냥 거렸다. 이 말을 이명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대운하의 개념과 그에 따른 필요성
Ⅰ. 들어가며-한반도대운하의 장점과 필요성
Ⅱ. 대운하를 바라보는 여러 가지 시각
Ⅲ.나오며
이슈3. 연예인 마약 사건
Ⅰ. 들어가며
Ⅱ. 마약의 국가정책에 대한 개요
Ⅲ. 병폐 심각한 술, 담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하 유지관리비용은 통상 유지관리이익, 즉 운영수입과 함께 고려해야 하나 한반도 대운하의 경제성 분석 시 운영수입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 I. 머리말
II. 대운하 점검
1. 자연조건, 운하에 적절한가?
2. 물동량은 충분할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대운하. 2008. 도요새
이병담.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2007. 모아북스
인터넷
4대강살리기추진본부(국토해양부)
환경운동연합
4대강사업저지 천주교 연대 I. 서론
II. 본론
1. 4대강 사업의 정의
2. 4대강 사업의 추진 배경
3. 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 대운하 건설은 세계 흐름에도 맞지 않다. 19세기 중반 까지만 해도 운하를 교통수단으로 많이 사용했지만 철도와 도로의 발달로 미국과 유럽들은 운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유럽의 경우 5%만 운하를 이용하고, 운하를 많이 이용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