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용하지 않는 것, 품사 분류에서 토를 따로 설정한 것, 그리고 문장론에서 논의한 문장 성분 분류는 아직까지 도 북의 문법 연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것 1. 서론
2. 생애와 업적
3. 국어연구태도
4. 품사론
5. 문장론
6. 결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홍기문의 『조선문법연구』(1947), 장하일의『중등새말본』(1947),이희승의『초급 국어문법』(1949), 이숭녕『고등국어문법』(1956) 등을 들 수 있다.
◆제3기(1964~ )
6) 1960년대 ~
1963년 학교문법이 통일되기 이전까지는 현대어문법에 관한 한 ,학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홍기문(1927)이후 공시적인 차원에서 하나의 단어가 두 가지 이상
의 품사로 쓰이는 현상을 일컫던 것을 학교 문법 기술과 사전 편찬에서 받아들이면서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된 용어이다. 1. 품사 통용 개념
2. 품사 통용의 예시
3. 품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4,900원
- 등록일 2021.12.1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홍기문(1947): 시간 표시의 허사를 ‘시간형’이라 부르고 동사뿐만 아니라 명사,대명사,수사,형용사,부사에까지 시제가 표시된다고 봄. 단순시간과 복합시간을 가졌다는 점을 고려하여 관형사형의 시제 〔빈과거(던),과거(s),현재(는),미래(ㄹ)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한국어학』32, pp. 170~171. 참고. )
⇒ ‘보어’라고 하는 문법 용어는 전통 문법에 이미 등장한다. 안확(1923), 이규방(1923), 박승빈(1931), 최현배(1937), 홍기문(1947), 이희승(1949) 등은 용어와 범주는 다르지만 주어, 목적어 외에 필수 성분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