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ㅐ], [ㅗ], [ㅚ], [ㅜ], [ㅟ], [ㅡ], [l]가 있다. 또한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움직이는 이중모음에 해당되는 모음으로는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가 있다.
결론
-훈민정음과 한글맞춤법에서의 자모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6) 1997년 10월1일, 유네스코에서 우리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7) 유네스코(UNESCO: 유엔 교육-과학-문화 기구)는 1989년 6월 21일 세종대왕상을 재정했다.
▶세종대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국어의 역사상 국어에 변화를 일으킨 가장 큰 사건은 훈민정음의 창제가 이 시기에 일어나게 되었다. 훈민정음의 창제로 오랜 세월 동안 입말로만 사용되어 오던 국어가 비로소 글말의 위치로 올라서게 되었다. 그리하여 어형이 고정되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자리에 어떠한 소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서, 이 소리를 [ㅇ]로 적었던 것인데, 그 이유는 초·중·종 세 소리를 갖춘 한자음의 틀에 맞추기 위해서였다고 생각된다.
ㄴ. [ㆁ]
[ ㆁ]은 \'어긋니소리\'로서 훈민정음 제자해에, \"혀뿌리가 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에서 東京(동경)은 ‘셔불, 세벌, 새벌, 서울’이라는 뜻 이다. 또, 明(밝다), 月(달)은 뜻을, 欺(기), 朗(랑)는 음을 사용하였다.
2. 중세국어 표기법
15세기 국어의 표기가 잘 나타난 문헌은 ‘훈민정음’이다. 이때부터 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