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조리와 고통
2. 불안과 희망
3. 병과 죽음
4. 현대무신론과 인간의 위상
2. 불안과 희망
3. 병과 죽음
4. 현대무신론과 인간의 위상
본문내용
는 인식이 있다. 죽음이란 무엇이며 사람이 병에 걸린다는 것과 불안해 하는 것은 무엇인지 재해석 해 보았다. 이러한 인간의 고통은 정말로 종교에 의지함으로써 사라질 수 있는 것인지도 아울러 생각해 보았다.
1. 부조리와 고통
부조리라는 것은 어떤 사고로 인해 당하는 고통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원폭피해자나 혹은 교통사고 사망자들, 이 모두가 부조리에 속한다. 어찌보면 비도덕적인 사회속에어 인간이 산다는 것, 인간의 자기소외와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게 하는 사회가 있다는 것, 그 자체가 부조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부조리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부조리하지 않은 세계에 대한 믿음과 회망을 우리가 가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죽음은 부조리에 속하는 것일까? 이 물음의 답을 얻기 위해 우선 고통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자. 고통의 의미에 대해 여러 견해들이 있지만 막스 셀러(M. Scheler)는 \"죽음과 고통이 없다면 사랑도 없고 공총체도 없다. 회생과 회생의 고통이 없이는 사랑의 부드러움도 없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마르셀(G. Marcel)은 고통이나 병과 싸워나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은 보다 높은
1. 부조리와 고통
부조리라는 것은 어떤 사고로 인해 당하는 고통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원폭피해자나 혹은 교통사고 사망자들, 이 모두가 부조리에 속한다. 어찌보면 비도덕적인 사회속에어 인간이 산다는 것, 인간의 자기소외와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게 하는 사회가 있다는 것, 그 자체가 부조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부조리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부조리하지 않은 세계에 대한 믿음과 회망을 우리가 가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죽음은 부조리에 속하는 것일까? 이 물음의 답을 얻기 위해 우선 고통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자. 고통의 의미에 대해 여러 견해들이 있지만 막스 셀러(M. Scheler)는 \"죽음과 고통이 없다면 사랑도 없고 공총체도 없다. 회생과 회생의 고통이 없이는 사랑의 부드러움도 없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마르셀(G. Marcel)은 고통이나 병과 싸워나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은 보다 높은
키워드
추천자료
체육사를 통해 본 한국근대 체육의 문제점
생명윤리와 과학,철학,정치,여성,종교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고찰
그림을 통해 본 왜곡의 의미에 대한 왜곡의 고찰
<백조의 호수>를 통해 본 고전발레와 현대 발레(매튜본)의 비교
영화를 통해 본 라깡과 프로이드 이론
[칼빈][기독교 강요]칼빈의 기독교 강요(기독교 강요 집필동기와 목적, 기독교 강요 개정판의...
의상을 통해 본 유럽문화
[청소년자살]청소년자살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본 청소년자살의 현상 고찰(청소년 자살충동, ...
[여성민요][여성민요 정서][여성민요 전달방법][여성민요를 통해 본 여성의 한][여성][민요]...
마쯔리를 통해 본 일본인의 전통 보존과 발전
인간과 종교 리포터
유대인 가정교육을 통해 본 한국교육의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