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 고찰
1. 청색증의 정의 ------------ 1
2. 청색증의 원인 ------------ 1
3. 청색증의 증상 ------------ 1
4. 청색증의 진단 ------------ 2
5. 청색증의 치료 ------------ 2
6. 청색증의 간호 ------------ 3
Ⅱ. Case study
1. 환아소개 ----------- 4
2. 산모정보 ----------- 5
3. 건강력 ----------- 6
4. 진단검사 ----------- 6
5. 약물정보 ----------- 7
Ⅲ. Case의 간호과정 ---------- 7
Ⅳ. 결론 ---------- 8
Ⅴ. 참고문헌 ---------- 8
1. 청색증의 정의 ------------ 1
2. 청색증의 원인 ------------ 1
3. 청색증의 증상 ------------ 1
4. 청색증의 진단 ------------ 2
5. 청색증의 치료 ------------ 2
6. 청색증의 간호 ------------ 3
Ⅱ. Case study
1. 환아소개 ----------- 4
2. 산모정보 ----------- 5
3. 건강력 ----------- 6
4. 진단검사 ----------- 6
5. 약물정보 ----------- 7
Ⅲ. Case의 간호과정 ---------- 7
Ⅳ. 결론 ---------- 8
Ⅴ. 참고문헌 ---------- 8
본문내용
Case study
실습 과목 : 아동간호학
과 제 명 : 청색증(=Cyanosis)
실습병원명 :
실습 병동 :
지도간호사 :
지도교수님 :
제 출 일 : 2013년 12 월
학 번 :
이 름 :
- 목 차 -
Ⅰ. 문헌 고찰
1. 청색증의 정의 ------------ 1
2. 청색증의 원인 ------------ 1
3. 청색증의 증상 ------------ 1
4. 청색증의 진단 ------------ 2
5. 청색증의 치료 ------------ 2
6. 청색증의 간호 ------------ 3
Ⅱ. Case study
1. 환아소개 ----------- 4
2. 산모정보 ----------- 5
3. 건강력 ----------- 6
4. 진단검사 ----------- 6
5. 약물정보 ----------- 7
Ⅲ. Case의 간호과정 ---------- 7
Ⅳ. 결론 ---------- 8
Ⅴ. 참고문헌 ---------- 8
Ⅰ. 문헌 고찰
청색증 (Cyanosis)
1. 청색증의 정의
- 피부와 점막이 푸른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부위의 작은 혈관에 환원 혈색소가 증가하거나 산소 포화도가
떨어져서 나타남.
- 입술, 손톱, 귀, 광대부위에 흔히 나타남.
- 적혈구 증가증이나 일산화 탄소 헤모글로빈에 의한 피부 변화와는 구분됨.
- 청색증의 정도는 피부의 색깔, 두께, 혈관분포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함.
- 대개 4~5g/dl 이상이거나 산소 포화도가 83% 이하일 때 관찰됨.
2. 청색증의 원인
- 탈 산소화된 정맥혈이 폐순환을 거치지 않고 전신순환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 영아에서 청색증을 일으키는 기형은 세 종류가 있다.
① 폐 순환로의 심한 폐쇄로 인해 심장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단락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활로씨 4징후증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② 심장 내에서 동맥혈과 정맥혈이 섞이는 것으로 단 심실이 그 예이다.
③ 대혈관 전위인데, 여기에는 폐순환과 전신순환이 이어지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현상이 있다.
- 완전히 산소를 품은 혈액이 다시 페로 들어가고 탈 산소화된 혈액이 전신으로 되돌아간다.
- 대혈관전위증이 있는 영아는 동맥관개존증, 심실 중격 결손 등을 통한 심장 내 혈액의 혼합의 정도에 따라
산소화가 결정 된다.
3. 청색증의 증상
- 폐 혈류 감소를 초래하는 결손은 우심방이나 혈관의 폐쇄가 특징적임.
- 말단 청색증이 주로 발생 한다 : 사지, 손의 청색증이 관찰됨.
- 산소포화도가 감소된다 : 83이하로 감소됨.
- 호흡곤란 증상이 있음.
- 몸에 힘이 없으며 축 늘어지는 경향이 있음.
- 코와 입주위의 청색증 관찰 : 수유 시에 뚜렷히 나타남.
- 사지에 체온이 하강하게 됨 : 사지가 차다.
- 지속적 저산소 혈증으로 인해 다혈구 혈증이 생겨남.
- 심한 저산소증을 갖는 영아는 수유 시에 피로감이 나타나고 체중증가 없음.
<심장기형일 경우 증상>
- 호흡곤란, 심잡음
- 적혈구 과다증 : 만성적인 저산소증시 신장의 조혈촉진인자 증가함 → 상대적 철결핍성 빈혈 유발
- 곤봉상지 : 말초조직 저산소증에 대한 보상작용, 모세혈관 증식 및 연조직의 섬유화 및 비대로 부종 나타남.
- 저산소증형 발작 : 팔롯 징후일 때 잘 나타남.
-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 폐울혈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짐.
- 웅크린 자세(슬 흉위) : 활동 후 하지로부터 낮은 산소포화도의 혈액 귀환을 저지하며 하지로 가는 동맥혈류 저항을 높임.
- 중추신경계 합병증 : 두경부로의 산소공급저하로 인해 실신, 정신혼란, 간질발작
- 성장지연과 운동내성 감소함
청색증 심장질환(Cyanotic Heart Disease)
- 활로씨 4증후군
: 폐동맥관 협착증, 심실 중격 결손, 우심실 비대, 대동맥 기시부의 우측편위 등 네 가지 이상소견이 혼합된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우심실 비대로 우심실이 좌심실과 압력이 비슷하거나 높고 폐동맥 협착으로 우심실 혈액이 폐로 가는 출구가 좁아져 폐공맥을 통한
폐 혈류가 감소되고 우심실의 혈액도 일부는 폐혈류로, 일부는 심실 중격의 구멍과 대동맥 우측 편위로 인해 정맥피가 대동맥을
통하여 전신으로 흐르게 되어 청색증이 나타난다.
- 대혈관 전위
: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나가고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가는 대동맥과 폐동맥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전신을 돌고 온 정맥혈액이 다시
전신을 돌고, 동맥혈액은 다시 폐로 가게 되어 출생 직후부터 심한 청색증을 나타낸다. 심방이나 심실 사이에 구멍이 있어 동맥
혈액과 정맥혈액이 섞여 생존할 수 있다
- 삼천판 폐쇄
: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가는 삼첨판막이 완전히 막혀 있는 기형으로 우심방의 혈액이 난원공이나 심방중격 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가서 폐로부터 돌아온 산화된 혈액과 섞여 좌심실로 흘러 들어가 체순환에 합류된다. 폐동맥과 우심실은 형성부전인 경우가 많고
동맥관개존이 폐 혈액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총 동맥 간증
: 대동맥과 폐동맥이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동맥간이 큰 심실 중격 결손을 가지고 있는 양심실로부터 나와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갈라진 기형으로, 압력이 높고 산소가 많은 혈액이 폐동맥으로 가게 되어 폐 소동맥의 이상을 일으켜 조기 수술하지 않으면 치료가
불가능하다.
- 전
실습 과목 : 아동간호학
과 제 명 : 청색증(=Cyanosis)
실습병원명 :
실습 병동 :
지도간호사 :
지도교수님 :
제 출 일 : 2013년 12 월
학 번 :
이 름 :
- 목 차 -
Ⅰ. 문헌 고찰
1. 청색증의 정의 ------------ 1
2. 청색증의 원인 ------------ 1
3. 청색증의 증상 ------------ 1
4. 청색증의 진단 ------------ 2
5. 청색증의 치료 ------------ 2
6. 청색증의 간호 ------------ 3
Ⅱ. Case study
1. 환아소개 ----------- 4
2. 산모정보 ----------- 5
3. 건강력 ----------- 6
4. 진단검사 ----------- 6
5. 약물정보 ----------- 7
Ⅲ. Case의 간호과정 ---------- 7
Ⅳ. 결론 ---------- 8
Ⅴ. 참고문헌 ---------- 8
Ⅰ. 문헌 고찰
청색증 (Cyanosis)
1. 청색증의 정의
- 피부와 점막이 푸른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부위의 작은 혈관에 환원 혈색소가 증가하거나 산소 포화도가
떨어져서 나타남.
- 입술, 손톱, 귀, 광대부위에 흔히 나타남.
- 적혈구 증가증이나 일산화 탄소 헤모글로빈에 의한 피부 변화와는 구분됨.
- 청색증의 정도는 피부의 색깔, 두께, 혈관분포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함.
- 대개 4~5g/dl 이상이거나 산소 포화도가 83% 이하일 때 관찰됨.
2. 청색증의 원인
- 탈 산소화된 정맥혈이 폐순환을 거치지 않고 전신순환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 영아에서 청색증을 일으키는 기형은 세 종류가 있다.
① 폐 순환로의 심한 폐쇄로 인해 심장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단락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활로씨 4징후증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② 심장 내에서 동맥혈과 정맥혈이 섞이는 것으로 단 심실이 그 예이다.
③ 대혈관 전위인데, 여기에는 폐순환과 전신순환이 이어지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현상이 있다.
- 완전히 산소를 품은 혈액이 다시 페로 들어가고 탈 산소화된 혈액이 전신으로 되돌아간다.
- 대혈관전위증이 있는 영아는 동맥관개존증, 심실 중격 결손 등을 통한 심장 내 혈액의 혼합의 정도에 따라
산소화가 결정 된다.
3. 청색증의 증상
- 폐 혈류 감소를 초래하는 결손은 우심방이나 혈관의 폐쇄가 특징적임.
- 말단 청색증이 주로 발생 한다 : 사지, 손의 청색증이 관찰됨.
- 산소포화도가 감소된다 : 83이하로 감소됨.
- 호흡곤란 증상이 있음.
- 몸에 힘이 없으며 축 늘어지는 경향이 있음.
- 코와 입주위의 청색증 관찰 : 수유 시에 뚜렷히 나타남.
- 사지에 체온이 하강하게 됨 : 사지가 차다.
- 지속적 저산소 혈증으로 인해 다혈구 혈증이 생겨남.
- 심한 저산소증을 갖는 영아는 수유 시에 피로감이 나타나고 체중증가 없음.
<심장기형일 경우 증상>
- 호흡곤란, 심잡음
- 적혈구 과다증 : 만성적인 저산소증시 신장의 조혈촉진인자 증가함 → 상대적 철결핍성 빈혈 유발
- 곤봉상지 : 말초조직 저산소증에 대한 보상작용, 모세혈관 증식 및 연조직의 섬유화 및 비대로 부종 나타남.
- 저산소증형 발작 : 팔롯 징후일 때 잘 나타남.
-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 폐울혈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짐.
- 웅크린 자세(슬 흉위) : 활동 후 하지로부터 낮은 산소포화도의 혈액 귀환을 저지하며 하지로 가는 동맥혈류 저항을 높임.
- 중추신경계 합병증 : 두경부로의 산소공급저하로 인해 실신, 정신혼란, 간질발작
- 성장지연과 운동내성 감소함
청색증 심장질환(Cyanotic Heart Disease)
- 활로씨 4증후군
: 폐동맥관 협착증, 심실 중격 결손, 우심실 비대, 대동맥 기시부의 우측편위 등 네 가지 이상소견이 혼합된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우심실 비대로 우심실이 좌심실과 압력이 비슷하거나 높고 폐동맥 협착으로 우심실 혈액이 폐로 가는 출구가 좁아져 폐공맥을 통한
폐 혈류가 감소되고 우심실의 혈액도 일부는 폐혈류로, 일부는 심실 중격의 구멍과 대동맥 우측 편위로 인해 정맥피가 대동맥을
통하여 전신으로 흐르게 되어 청색증이 나타난다.
- 대혈관 전위
: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나가고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가는 대동맥과 폐동맥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전신을 돌고 온 정맥혈액이 다시
전신을 돌고, 동맥혈액은 다시 폐로 가게 되어 출생 직후부터 심한 청색증을 나타낸다. 심방이나 심실 사이에 구멍이 있어 동맥
혈액과 정맥혈액이 섞여 생존할 수 있다
- 삼천판 폐쇄
: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가는 삼첨판막이 완전히 막혀 있는 기형으로 우심방의 혈액이 난원공이나 심방중격 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가서 폐로부터 돌아온 산화된 혈액과 섞여 좌심실로 흘러 들어가 체순환에 합류된다. 폐동맥과 우심실은 형성부전인 경우가 많고
동맥관개존이 폐 혈액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총 동맥 간증
: 대동맥과 폐동맥이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동맥간이 큰 심실 중격 결손을 가지고 있는 양심실로부터 나와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갈라진 기형으로, 압력이 높고 산소가 많은 혈액이 폐동맥으로 가게 되어 폐 소동맥의 이상을 일으켜 조기 수술하지 않으면 치료가
불가능하다.
- 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