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라고 물으며 소꿉놀이 접시를 건넨다.(3/20)
교사가 “점심 먹을 시간이에요 화장실 다녀오세요”라고 말하자 양손으로 옷을 걱어 올린후 화장실로 가서 손을 씻는다.(3/5)
해석
쌓기 놀이를 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구성할 수 있고, 역할영역으로 까지 연계하여 활동을 할 수 있다.
미술활동은 재료의 사용법을 알고 사용할 수 있으며 수조작.과학영역에는 많은 관심을 보이진 않았다.
대그룹활동을 하며 악기연주를 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악기의 설명을 들으며 악기의 사용법을 알 수 있고, 관심있는 또래에게는 먼저 활동을 권유한다. 점심을 먹기 전 손을 씻어야 함을 알고 손을 씻을 때는 옷이 젖지 않도록 옷을 걷어야 함을 안다.
반 3 월 유아 관찰 기록
결재
담임
원장
이름
구분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관찰내용
레고블록을 꺼낸다. 길다란 모양과 넓은 모양을 겹쳐 위로 쌓는다. 교사에게 보이며 “우주선이에요”라고 말한다. (3/3)
교구장으로 가서 과일 바구니를 본다. 교사에게 과일을 꺼내 보여 준 뒤 “이거 자르는 거지요”라고 말한다. (3/11)
교사가 선긋기 활동을 꺼낸 후 이야기를 나눈다. 색연필을 꺼낸 뒤 “도와주세요” 라고 말한다.(3/19)
교사가 동시를 먼저 읽는다. 교사 앞 매트에 앉는 도윤이는 교사의 말을 따라 읊는다.(3/18)
공구 블록을 꺼낸다. 볼트와 너트를 함께 돌리다 교사에게 “선생님 안돼요”라고 이야기 한다. (3/14)
과학
음률
실외활동
또래관계
기본생활습관
교사가 “과학영역에는 무엇이 있나 살펴 볼 까요?” 라고 하자 “아니요”하고 뒤 돌아 선다.(3/7)
교사가 ‘우리 모두 다같이’노래를 부르며 악기 연주를 하자 도윤이는 박수를 치며 함께 노래를 부른다.(3/12)
실외 놀이터 미끄럼틀을 거꾸로 올라간다. 교사가 “도윤아 위험해” 라고 말하자 내려와 계단으로 향한다. (3/25)
놀이하고 있는 또래에게 다가가 블록을 달라고 한다. 친구가 주지 않자 “선생님 친구가 블록 안줘요”라며 블록을 잡아 당긴다.(3/20)
“선생님 쉬 마려워요” 라고 말을 하며 화장실로 향한다. 소변을 본 뒤 속옷과 바지를 올려 정리한다.(3/4)
해석
블록을 구성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모양을 구성할 수 는 없지만 블록과 수조작놀이에 관심이 많다.
역할영역에 있는 교구를 알고 정리 할 수 있으며 미술과 쓰기 활동은 교사에게 도움을 필요로 한다. 과학영역에는 관심이 적고, 노래에 맞춰 다른 사람과 함께 연주하기를 즐길 수 있다. 교구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또래가 먼저 가지고 있어도 주지 뺏는 다고 생각을 하며
배변활동 기본생활은 잘 지킬 수 있다.
반 3 월 유아 관찰 기록
결재
담임
원장
이름
구분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관찰내용
쌓기 영역으로 다가가 와플블록 4개로 네모를 만들다. 그리고는 교사에게 “이거 안 풀러져요”라고 이야기한다. (3/4)
인형꺼낸 뒤 주사기를 든다. 주사기의 앞부분을 인형의 입에 대며 세운다.(3/13)
교사가 활동을 권유하자 색연필을 꺼낸 뒤 “점점 크게 점점 크게”라고 말하며 달팽이를 그린다. (3/20)
친구들이 교구를 서로 갖고싶어 하자 \"선생님 장난감 뺏으면 안되지요. 같이 가지고 놀아야 되지요\" 라며 말하고 다가가서 말한다. (3/12)
낚시 놀이판을 떠낸 뒤 낚시대를 잡는다.
낚시 대를 위로 올리고는 물고기의 자석부분에 가져다 댄다. (3/14)
과학
음률
실외활동
또래관계
기본생활습관
곡물 관찰물을 보고는 손을 넣어 본다.
“이건 뭐지?”하며 혼자 이야기를 한다. (3/6)
동극 관람을 하며 노래가 나오자 바라본다. 두 팔을 올려 손을 맞대고 박수를 친 뒤 노래를 따라 부른다.(3/5)
신발을 신고 선다.
교사가 “먼저 가지 않아요” 라고 이야기를 하자 교사의 앞으로 다가와 선다. (3/25)
인형을 들고 등원을 하며 사물함에 넣는다. 친구들이 만지자 \"만지지마\" 라고 말을 하며 가방에 넣고 가방의 지퍼를 닫는다.(3/20)
등원을 하며 교실로 들어와 가방을 열어 수첩을 꺼낸다. 그리고는 가방을 들어 사물함에 넣는다.
다시 일어서 수첩을 들고는 바구니에 담는다.(3/6)
해석
소근육을 이용해 블록을 구성할 수 있지만 힘이 들어가는 부분에서는 교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인형을 꺼내 소품을 이용한 상활놀이를 즐겨하며 , 낚시 놀이의 방법을 알고 있다.
궁금한 점이 있을 때는 교사에게 직접 질문은 하지 않고, 타인을 따라 장단을 맞추며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자
신의 물건을 스스로 정리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개인 물건을 공유하려 하지 않는다.
반 3 월 유아 관찰 기록
결재
담임
원장
이름
구분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관찰내용
레고블록에서 널은 판을 꺼낸 뒤 위로 쌓아 올려 상자를 만들다. 안에 과일을 넣고는 “선생님 선물이에요”라며 이야기 한다. (3/4)
앞치마를 꺼낸 둔 후 친구에게 “애기야 애기야 이리와~” 라며 모양 수저를 입으로 가져다 댄다.(3/13)
종이에 동그라미를 그린다. 눈과 코를 그려 넣은 뒤 기다란 직선을 그린다. 교사에게 보이며“선생님사람이에요”라고 말한다.(3/20)
등원을 하며 교사에게 “선생님 오늘은 엄마가 오빠 치과에 간다고 일찍 오신데요”라며 말을 한다. (3/13)
건조대에서 컵을 꺼내며 “하나, 둘, 셋...열”이라고 말하며 컵을 꺼낸다. (3/14)
과학
음률
실외활동
또래관계
기본생활습관
교사가 활동지지를 건네자 “이건 어떻게 하는 거예요?” 라며 말한다. (3/21)
음률 영역에 앉아 오르프제겐을 꺼내어 막대로 두드리며 “웃는얼굴~”이라며 노래를 부른다. (3/12)
신발을 신고 선다.
교사가 “먼저 가지 않아요” 라고 이야기를 하자 교사의 앞으로 다가와 선다. (3/11)
친구가 다가와 블록을 뺏자 “너 그렇게 뺏어 가면 안돼는거야”라며 말을 한 뒤 “내가 다하고 줄게” 라고 말한다.(3/4)
교사가 배식을 하자 “선생님 음식을 골고루 먹는거지요 남기면 안되지요”라고 말을 한다.(3/27)
해석
자신이 원하는 모양을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교구를 이용해 또래와 함께 역할놀이를 즐길 수 있다.
자유롭게 사람을 그릴 수 있으며 다른사람의 말을 듣고
교사가 “점심 먹을 시간이에요 화장실 다녀오세요”라고 말하자 양손으로 옷을 걱어 올린후 화장실로 가서 손을 씻는다.(3/5)
해석
쌓기 놀이를 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구성할 수 있고, 역할영역으로 까지 연계하여 활동을 할 수 있다.
미술활동은 재료의 사용법을 알고 사용할 수 있으며 수조작.과학영역에는 많은 관심을 보이진 않았다.
대그룹활동을 하며 악기연주를 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악기의 설명을 들으며 악기의 사용법을 알 수 있고, 관심있는 또래에게는 먼저 활동을 권유한다. 점심을 먹기 전 손을 씻어야 함을 알고 손을 씻을 때는 옷이 젖지 않도록 옷을 걷어야 함을 안다.
반 3 월 유아 관찰 기록
결재
담임
원장
이름
구분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관찰내용
레고블록을 꺼낸다. 길다란 모양과 넓은 모양을 겹쳐 위로 쌓는다. 교사에게 보이며 “우주선이에요”라고 말한다. (3/3)
교구장으로 가서 과일 바구니를 본다. 교사에게 과일을 꺼내 보여 준 뒤 “이거 자르는 거지요”라고 말한다. (3/11)
교사가 선긋기 활동을 꺼낸 후 이야기를 나눈다. 색연필을 꺼낸 뒤 “도와주세요” 라고 말한다.(3/19)
교사가 동시를 먼저 읽는다. 교사 앞 매트에 앉는 도윤이는 교사의 말을 따라 읊는다.(3/18)
공구 블록을 꺼낸다. 볼트와 너트를 함께 돌리다 교사에게 “선생님 안돼요”라고 이야기 한다. (3/14)
과학
음률
실외활동
또래관계
기본생활습관
교사가 “과학영역에는 무엇이 있나 살펴 볼 까요?” 라고 하자 “아니요”하고 뒤 돌아 선다.(3/7)
교사가 ‘우리 모두 다같이’노래를 부르며 악기 연주를 하자 도윤이는 박수를 치며 함께 노래를 부른다.(3/12)
실외 놀이터 미끄럼틀을 거꾸로 올라간다. 교사가 “도윤아 위험해” 라고 말하자 내려와 계단으로 향한다. (3/25)
놀이하고 있는 또래에게 다가가 블록을 달라고 한다. 친구가 주지 않자 “선생님 친구가 블록 안줘요”라며 블록을 잡아 당긴다.(3/20)
“선생님 쉬 마려워요” 라고 말을 하며 화장실로 향한다. 소변을 본 뒤 속옷과 바지를 올려 정리한다.(3/4)
해석
블록을 구성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모양을 구성할 수 는 없지만 블록과 수조작놀이에 관심이 많다.
역할영역에 있는 교구를 알고 정리 할 수 있으며 미술과 쓰기 활동은 교사에게 도움을 필요로 한다. 과학영역에는 관심이 적고, 노래에 맞춰 다른 사람과 함께 연주하기를 즐길 수 있다. 교구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또래가 먼저 가지고 있어도 주지 뺏는 다고 생각을 하며
배변활동 기본생활은 잘 지킬 수 있다.
반 3 월 유아 관찰 기록
결재
담임
원장
이름
구분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관찰내용
쌓기 영역으로 다가가 와플블록 4개로 네모를 만들다. 그리고는 교사에게 “이거 안 풀러져요”라고 이야기한다. (3/4)
인형꺼낸 뒤 주사기를 든다. 주사기의 앞부분을 인형의 입에 대며 세운다.(3/13)
교사가 활동을 권유하자 색연필을 꺼낸 뒤 “점점 크게 점점 크게”라고 말하며 달팽이를 그린다. (3/20)
친구들이 교구를 서로 갖고싶어 하자 \"선생님 장난감 뺏으면 안되지요. 같이 가지고 놀아야 되지요\" 라며 말하고 다가가서 말한다. (3/12)
낚시 놀이판을 떠낸 뒤 낚시대를 잡는다.
낚시 대를 위로 올리고는 물고기의 자석부분에 가져다 댄다. (3/14)
과학
음률
실외활동
또래관계
기본생활습관
곡물 관찰물을 보고는 손을 넣어 본다.
“이건 뭐지?”하며 혼자 이야기를 한다. (3/6)
동극 관람을 하며 노래가 나오자 바라본다. 두 팔을 올려 손을 맞대고 박수를 친 뒤 노래를 따라 부른다.(3/5)
신발을 신고 선다.
교사가 “먼저 가지 않아요” 라고 이야기를 하자 교사의 앞으로 다가와 선다. (3/25)
인형을 들고 등원을 하며 사물함에 넣는다. 친구들이 만지자 \"만지지마\" 라고 말을 하며 가방에 넣고 가방의 지퍼를 닫는다.(3/20)
등원을 하며 교실로 들어와 가방을 열어 수첩을 꺼낸다. 그리고는 가방을 들어 사물함에 넣는다.
다시 일어서 수첩을 들고는 바구니에 담는다.(3/6)
해석
소근육을 이용해 블록을 구성할 수 있지만 힘이 들어가는 부분에서는 교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인형을 꺼내 소품을 이용한 상활놀이를 즐겨하며 , 낚시 놀이의 방법을 알고 있다.
궁금한 점이 있을 때는 교사에게 직접 질문은 하지 않고, 타인을 따라 장단을 맞추며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자
신의 물건을 스스로 정리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개인 물건을 공유하려 하지 않는다.
반 3 월 유아 관찰 기록
결재
담임
원장
이름
구분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관찰내용
레고블록에서 널은 판을 꺼낸 뒤 위로 쌓아 올려 상자를 만들다. 안에 과일을 넣고는 “선생님 선물이에요”라며 이야기 한다. (3/4)
앞치마를 꺼낸 둔 후 친구에게 “애기야 애기야 이리와~” 라며 모양 수저를 입으로 가져다 댄다.(3/13)
종이에 동그라미를 그린다. 눈과 코를 그려 넣은 뒤 기다란 직선을 그린다. 교사에게 보이며“선생님사람이에요”라고 말한다.(3/20)
등원을 하며 교사에게 “선생님 오늘은 엄마가 오빠 치과에 간다고 일찍 오신데요”라며 말을 한다. (3/13)
건조대에서 컵을 꺼내며 “하나, 둘, 셋...열”이라고 말하며 컵을 꺼낸다. (3/14)
과학
음률
실외활동
또래관계
기본생활습관
교사가 활동지지를 건네자 “이건 어떻게 하는 거예요?” 라며 말한다. (3/21)
음률 영역에 앉아 오르프제겐을 꺼내어 막대로 두드리며 “웃는얼굴~”이라며 노래를 부른다. (3/12)
신발을 신고 선다.
교사가 “먼저 가지 않아요” 라고 이야기를 하자 교사의 앞으로 다가와 선다. (3/11)
친구가 다가와 블록을 뺏자 “너 그렇게 뺏어 가면 안돼는거야”라며 말을 한 뒤 “내가 다하고 줄게” 라고 말한다.(3/4)
교사가 배식을 하자 “선생님 음식을 골고루 먹는거지요 남기면 안되지요”라고 말을 한다.(3/27)
해석
자신이 원하는 모양을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교구를 이용해 또래와 함께 역할놀이를 즐길 수 있다.
자유롭게 사람을 그릴 수 있으며 다른사람의 말을 듣고
추천자료
영유아 관찰일지 사례
관찰탐구일지
유아관찰일지
유아 관찰일지 1월
유아 관찰일지 2월
만1세 관찰일지 23명분(평가인증통과)
<만0세 관찰일지-1학기> 3명~6명 1학기 분량입니다.^^
만1세 관찰일지 4월 5명 분량. (공공형 영아전담 어린이집/해석 있음)
만1세 관찰일지 5월 5명 분량. (공공형 영아전담 어린이집/해석 있음)
만1세 관찰일지 6월 5명 분량. (공공형 영아전담 어린이집/해석 있음)
만1세 관찰일지 8월 5명 분량. (공공형 영아전담 어린이집/해석 있음)
만1세 관찰일지 9월 5명 분량. (공공형 영아전담 어린이집/해석 있음)
만5세 유아관찰일지 4월 19명 통합지표 기준 해석평가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