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p.199-201, pp221-231, pp.233-234
2. 김금순 외(2014),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pp.1530-1541, pp1552-1553
2. 김금순 외(2014),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pp.1530-1541, pp1552-1553
본문내용
속발성
시금치, 장군풀(하제), 근대, 코코아, 사탕무우, 맥아, 토마토, 호두, 땅콩, 초콜릿, 라임껍질
고요산혈증
원발성
통풍은 선천성 퓨린대사장애로 20%가 요산결석 발생
속발성
골수증식질환으로 요산의 생산증가나 배설감소, thiazide계 이뇨제, 암종
struvite
결석
인산암모늄 마그네슘과 탄산인회석으로 구성되었는데, 주로 ptoteus mirabilis라는 박테리아가 요산을 분해해서 생성되며, 소변을 알칼리로 만듦
시스틴뇨
소변에서 불용성의 시스틴결정화를 촉진하는 유전성 아미노산 대사질환
2. 원인
- 원인은 불분명
- 대상자 중 적어도 90%는 대사장애의 요인이 있음
- 대사결함이나 신세뇨관결함이 없는 한 고칼륨식사 때문에 결석이 형성되지는 않는다고 봄
- 요정체, 부동 탈수 등이 있는 경우 결석이 잘 형성됨
- 이뇨제는 채액고갈을 일으켜 결석형성을 촉진할 수 있음
- 발병률 : 20~55세 성인이 상대적으로 높고 여성보다 남성이 2~3배 높으며 지리적 위치, 인종, 가족력등에 다라 다름
→ 우리나라 사람 중 3.5%가 한 번 이상의 신장결석에 이환되는 것으로 나타남
3. 임상증상
- 결석의 주된 증상 : 신급통증(renal colic)이라 불리는 극심한 통증
- 신배결석 :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음
- 신우결석 : 신우요관 이행부가 막히면 옆구리에 둔한 통증이 나타나고 신우신염을 일으키기 쉬움
- 요관결석(상부) : 옆구리 통증, 복부로 퍼져 오심과 구토 동반
- 요관결석(하부) : 옆구리 통증, 남성은 서혜관을 따라 퍼져 음낭에 미치고, 여성은 음순까지 영항을 주는 경우가 많음
- 일반적으로 결석이 작은 경우 : 움직일 때 산통이 심함
- 결석이 큰 경우 : 요로를 막아 수신증이 되어 둔통(dull pain)이 계속됨
- 결석이 방광에 도달하면 빈뇨와 배뇨곤란이 발생
- 늑골추골각 압통(CVA tenderness) : 신결석의 25%, 요관결석의 75%에서 통증
- 혈뇨가 흔히 나타나며 혈액 때문에 소변이 뿌옇거나(smoky), 녹슨 색(rusty)을 띔
- 소변이 탁하며 냄새가 나는 경우는 감염을 뜻함
- 핍뇨, 무뇨는 방광경이나 요도의 폐쇄를 의미
4. 진단검사
- 방광팽만이 있는지 대상자를 검진
- 신체검진 시 극심한 통증과 함께 피부가 창백하고 잿빛이며 땀이 나고, 통증 시 활력징후는 약간 상승할 수 있음 → 극심한 통증으로 쇼크가 발생하면 혈압이 현저하게 저하됨소변검사
- 소변분석검사에서 적혈구, 백혈구, 세균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혈뇨 나타남 : 결석이 요관, 방광, 요도의 내벽에 직접적인 외상을 입히기 때문
- 요정체의 결과로 백혈구와 세균 검출
- 소변 배양검사로 감염여부 확인하고 배양과 민감성검사로 항생제 선택
- 소변의 현미경검사에서 결석을 형성할 수 있는 결정체를 발견
- 소변의 pH를 측정하여 소변이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 파악
- 감염시 혈청백혈구 상승
- 혈청칼슘, 혈철인산염, 혈청요산 등의 수치가 증가하면 결석형성의 요인으로 봄
방사선검사
- KUB(kidney·ureter·bladder의 X-ray), 경정맥신우조영술(intravenous pyelography), CT 로 위치와 크기를 진단
- 경정맥신우조영술은 요로폐쇄가 있는지 확인할 때 유용
→ 조영제로 인한 급성신부전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고위험 대상자(노인, 당뇨병, 다발성골수종, 혈청creatine치 상승 대상자)에게는 다른검사 선택
- Cystine 결석이나 요산결석은 X-Ray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초음파나 요로조영술로 결석을 찾음
초음파검사
- 결석과 같은 단단한 구조는 매우 진하게 나타나 분명하게 보이나 작은 결석은 보이지 않을 수 있음
체외충격파
쇄석술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 결석을 작은 파편들로 부수기 위해 초음파, 레이저, 건성 충격파에너지(전기수압식, 전자기식, 압전식)등을 이용해 적용
- 대상자를 쇄석기가 달린 편평한 시술대 위에 눕핀 후 마취함
- 투시촬영을 통해 찾은 결석을 겨냥하여 30~45분 동안 500~1,500회 충격파를 쏨
- 투시촬영을 이용해 결석이 파괴되는 것을 계속 관찰
- 쇄석술 후 간호사는 결석파편들의 배출을 확인하기 위해 소변을 거름
- 옆구리에 약간의 멍이 생길 수 있음
- 때로 결석파편의 배출을 원활이 하기 위해 ESWL 하기 전 요관에 스텐트를 설치
- 상부 요로결석의 80~90%가 ESWL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음
→ cystine 결석은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음
최소 침습수술
스텐드 삽입술
(stenting)
- 요관경을 통해 요관 안에 삽입
- 요관을 확장해 결석이나 결석파편들이 자나갈 수 있는 통로를 만듦
- 결석이 요관 점막에 접촉하지 않고 스텐트 내로 통과하기 때문에 통증을 줄여줌
- 요도를 통한 결석배출이 용이하도록 유치도뇨관을 삽입할 수 있음
역행성요관경술
(Retrograde ureteroscopy)
- 내시경 시술로 요도와 방광을 지나 요관으로 들어감
- 결석을 발견하면 그물망(grasping basket), forceps, 올가미(loops)등을 이용해 결석을 제거
- 요관경을 통해 쇄석술을 시행할 수 있음
- 요도를 통한 결석파편들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유치도뇨관을 삽입
경피적 신루·요관결석제거술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 ureterolithotomy)
- 전신마취 상태에서 복위나 측위를 취한 후 투시촬영으로 신장의 적절한 바늘삽입 부위를 확인한 다음 바늘을 신장 밑으로 밀어 넣음
- 신장 안으로 길이 만들어지면 체내 초음파 쇄석기나 레이저쇄석기와 같은 장비를 삽입하여 결석을 깨뜨려 제거
- 결석을 잡고 꺼내는 특수장치가 달린 내시경도 사용할 수 있음
- 결석 파편들이 정상요로를 통해 배출되면서 통증과 요로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 신루형성술관을 결석이 있는 부위에 삽입해 둘 수 있음
→ 간호사는 일상적인 신루형성술 관 간호를 하며 시술 후 합병증(삽입부위의 출혈, 기흉, 감염 등)이 발생하는지 관찰
- 요관에 접근하기 위해 복강경 사용
- 복강경을 통해 요관으로 들어가 초음파나 레이저로 결석을
시금치, 장군풀(하제), 근대, 코코아, 사탕무우, 맥아, 토마토, 호두, 땅콩, 초콜릿, 라임껍질
고요산혈증
원발성
통풍은 선천성 퓨린대사장애로 20%가 요산결석 발생
속발성
골수증식질환으로 요산의 생산증가나 배설감소, thiazide계 이뇨제, 암종
struvite
결석
인산암모늄 마그네슘과 탄산인회석으로 구성되었는데, 주로 ptoteus mirabilis라는 박테리아가 요산을 분해해서 생성되며, 소변을 알칼리로 만듦
시스틴뇨
소변에서 불용성의 시스틴결정화를 촉진하는 유전성 아미노산 대사질환
2. 원인
- 원인은 불분명
- 대상자 중 적어도 90%는 대사장애의 요인이 있음
- 대사결함이나 신세뇨관결함이 없는 한 고칼륨식사 때문에 결석이 형성되지는 않는다고 봄
- 요정체, 부동 탈수 등이 있는 경우 결석이 잘 형성됨
- 이뇨제는 채액고갈을 일으켜 결석형성을 촉진할 수 있음
- 발병률 : 20~55세 성인이 상대적으로 높고 여성보다 남성이 2~3배 높으며 지리적 위치, 인종, 가족력등에 다라 다름
→ 우리나라 사람 중 3.5%가 한 번 이상의 신장결석에 이환되는 것으로 나타남
3. 임상증상
- 결석의 주된 증상 : 신급통증(renal colic)이라 불리는 극심한 통증
- 신배결석 :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음
- 신우결석 : 신우요관 이행부가 막히면 옆구리에 둔한 통증이 나타나고 신우신염을 일으키기 쉬움
- 요관결석(상부) : 옆구리 통증, 복부로 퍼져 오심과 구토 동반
- 요관결석(하부) : 옆구리 통증, 남성은 서혜관을 따라 퍼져 음낭에 미치고, 여성은 음순까지 영항을 주는 경우가 많음
- 일반적으로 결석이 작은 경우 : 움직일 때 산통이 심함
- 결석이 큰 경우 : 요로를 막아 수신증이 되어 둔통(dull pain)이 계속됨
- 결석이 방광에 도달하면 빈뇨와 배뇨곤란이 발생
- 늑골추골각 압통(CVA tenderness) : 신결석의 25%, 요관결석의 75%에서 통증
- 혈뇨가 흔히 나타나며 혈액 때문에 소변이 뿌옇거나(smoky), 녹슨 색(rusty)을 띔
- 소변이 탁하며 냄새가 나는 경우는 감염을 뜻함
- 핍뇨, 무뇨는 방광경이나 요도의 폐쇄를 의미
4. 진단검사
- 방광팽만이 있는지 대상자를 검진
- 신체검진 시 극심한 통증과 함께 피부가 창백하고 잿빛이며 땀이 나고, 통증 시 활력징후는 약간 상승할 수 있음 → 극심한 통증으로 쇼크가 발생하면 혈압이 현저하게 저하됨소변검사
- 소변분석검사에서 적혈구, 백혈구, 세균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혈뇨 나타남 : 결석이 요관, 방광, 요도의 내벽에 직접적인 외상을 입히기 때문
- 요정체의 결과로 백혈구와 세균 검출
- 소변 배양검사로 감염여부 확인하고 배양과 민감성검사로 항생제 선택
- 소변의 현미경검사에서 결석을 형성할 수 있는 결정체를 발견
- 소변의 pH를 측정하여 소변이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 파악
- 감염시 혈청백혈구 상승
- 혈청칼슘, 혈철인산염, 혈청요산 등의 수치가 증가하면 결석형성의 요인으로 봄
방사선검사
- KUB(kidney·ureter·bladder의 X-ray), 경정맥신우조영술(intravenous pyelography), CT 로 위치와 크기를 진단
- 경정맥신우조영술은 요로폐쇄가 있는지 확인할 때 유용
→ 조영제로 인한 급성신부전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고위험 대상자(노인, 당뇨병, 다발성골수종, 혈청creatine치 상승 대상자)에게는 다른검사 선택
- Cystine 결석이나 요산결석은 X-Ray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초음파나 요로조영술로 결석을 찾음
초음파검사
- 결석과 같은 단단한 구조는 매우 진하게 나타나 분명하게 보이나 작은 결석은 보이지 않을 수 있음
체외충격파
쇄석술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 결석을 작은 파편들로 부수기 위해 초음파, 레이저, 건성 충격파에너지(전기수압식, 전자기식, 압전식)등을 이용해 적용
- 대상자를 쇄석기가 달린 편평한 시술대 위에 눕핀 후 마취함
- 투시촬영을 통해 찾은 결석을 겨냥하여 30~45분 동안 500~1,500회 충격파를 쏨
- 투시촬영을 이용해 결석이 파괴되는 것을 계속 관찰
- 쇄석술 후 간호사는 결석파편들의 배출을 확인하기 위해 소변을 거름
- 옆구리에 약간의 멍이 생길 수 있음
- 때로 결석파편의 배출을 원활이 하기 위해 ESWL 하기 전 요관에 스텐트를 설치
- 상부 요로결석의 80~90%가 ESWL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음
→ cystine 결석은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음
최소 침습수술
스텐드 삽입술
(stenting)
- 요관경을 통해 요관 안에 삽입
- 요관을 확장해 결석이나 결석파편들이 자나갈 수 있는 통로를 만듦
- 결석이 요관 점막에 접촉하지 않고 스텐트 내로 통과하기 때문에 통증을 줄여줌
- 요도를 통한 결석배출이 용이하도록 유치도뇨관을 삽입할 수 있음
역행성요관경술
(Retrograde ureteroscopy)
- 내시경 시술로 요도와 방광을 지나 요관으로 들어감
- 결석을 발견하면 그물망(grasping basket), forceps, 올가미(loops)등을 이용해 결석을 제거
- 요관경을 통해 쇄석술을 시행할 수 있음
- 요도를 통한 결석파편들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유치도뇨관을 삽입
경피적 신루·요관결석제거술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 ureterolithotomy)
- 전신마취 상태에서 복위나 측위를 취한 후 투시촬영으로 신장의 적절한 바늘삽입 부위를 확인한 다음 바늘을 신장 밑으로 밀어 넣음
- 신장 안으로 길이 만들어지면 체내 초음파 쇄석기나 레이저쇄석기와 같은 장비를 삽입하여 결석을 깨뜨려 제거
- 결석을 잡고 꺼내는 특수장치가 달린 내시경도 사용할 수 있음
- 결석 파편들이 정상요로를 통해 배출되면서 통증과 요로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 신루형성술관을 결석이 있는 부위에 삽입해 둘 수 있음
→ 간호사는 일상적인 신루형성술 관 간호를 하며 시술 후 합병증(삽입부위의 출혈, 기흉, 감염 등)이 발생하는지 관찰
- 요관에 접근하기 위해 복강경 사용
- 복강경을 통해 요관으로 들어가 초음파나 레이저로 결석을
추천자료
신장이식
뇨의 정성 검사 및 실험
당뇨병의 진단검사
만성 신부전증(CRF)
DISEASE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산부인과 병동 <<자궁근종 Case>>입니다
[CRF(만성신부전)]CRF(만성신부전)에 관하여(만성신부전문헌고찰,만성신부전치료방법등)
CRF 문헌고찰
[논문] 만성신부전(CRF) Case Study
의정부성모병원 내과 (신부전, 당뇨, 간 경변증 등)
전립선염
[성인간호학][급성신부전]문헌고찰(Study)[ARF][Acute Renal Failure]
AKR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CRF)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