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패혈증, 아나필락시스
콩팥혈관 순환장애 : 프로스타글란딘 합성효소저해약, ACE inhibitor, cyclosporine or cy-closporin A
신후성
양측 요관의 폐색 : 후복막 섬유증, 자궁경부암 등 악성 종양의 골반강내 침윤,
결석, 유듀괴사
방광·요도의 폐색 : 전립선 비대, 전립선암, 신경이성 방광
요관폐색
요관내 (결석, 응혈괴, 조직편 등)
요관외 (요로·골반내 악성종양, 후복막 섬유증, 골반내 수술 등)
신성
혈관염, 사구체신염 : 급성 사구체신염, 급석 진행성 신염,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 악성 고혈압, 겉질괴사, 임신중독증, 경피증
급성 간질성 신염 : 약물성 (penicillin, NSAID, diuretics 등)
급성 요세관 괴사
허혈성 : 출혈, 쇼크, 외상 후, 화상
신독성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시스플라틴, 중금속, 조영제
myoglobinuria
각 장기 영향
비뇨기- 핍뇨나 무뇨/ 요비중 증가, 요중 Na농도 저하(신전성), 요비중 간소, 요중 Na 농도 상승(신성)
심장- 고혈압(신성), 저혈압(신전성)/심부전, 심 부정맥/심낭염, 심낭삼출증
호흡기-폐부종/늑막 삼출증/Kussmaul 호흡
위장계 - 식욕부진, 오심, 구내염/출혈/ 설사 또는 변비
신경계- 무기력함, 발작, 진전, 혼돈
전신 - 전신부종, 체중증기
혈액계 - 빈혈, 백혈구 증가증/혈소판 기능장애
대사 - BUN↑, creatinine ↑, K↑, phosphate↑/ Na↓, pH↓, HCO3↓, Ca↓
증상
1. 새뇨관여과속도의 급격한 저하 (수 일 ~ 수 주 간)
2. 소변감소증
3. 진행성 고질소혈증
4.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임상적 양상
발병기
신장 손상 상태가 수시간에서 수일 경과되었을 때
유발요인에 의해 시작되어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
혈청 creatinine 과 BUN 상승
핍뇨기
발병기 이후 1~7일에 나타나 2주간 지속
원인이 허혈일 경우 24시간 내 나타남
독성약물이 원인일 경우 7일 이후에 나타남
소변량이 400~500mL/24hr 이하
요비중 1.010로 고정, 소변 삼투압 300mOsm/kg
사구체 막의 이상일 경우 단백뇨
BUN, creatinine, 혈중 포타슘, 마그네숨, 인산 등이 증가
혈중 칼슘, 중탄산염의 감소
결과적으로 요독증으로 진행
이뇨기
핍뇨성 급성 신부전이 발병된 후 2~6주 후에 시작하여 1~3주간 지속하여 BUN 상승이 멈출 때까지
소변배설량이 500mL/일 이상일 때부터 혈중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상승이 중단되었을 때까지
세뇨관 요농축 능력의 상실로 인해 소변량은 1일 1~3L에서 시작하나 3~5L까지도 증가
지나친 이뇨로 저혈량, 저혈압 초래
질소 노폐물(BUN, creatinine) 증가
소듐 감소, 포타슘 증가, 탈수
대사성 산증 : 신장에서 암모니아 합성장애와 중탄산이온 재흡수장애로 인함
뇌와 신경계에 질소 노폐물이 축척되어 뇌 증상 (피로, 집중장애, 발작, 혼미, 혼수) 발현
회복기
수개월에서 1년 정도
사구체여과율이 증가하고 BUN과 creatinine이 감소함
신부전의 중증도와 합병증의 정도에 따라 회복이 달라짐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음
젊은 사람에 비해 나이가 많을수록 신기능이 저하됨
약간의 상흔 조직이 남게 된다. 기능적 손상이 항상 임상적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
진단
급성 신부전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과거 병력이 중요하다. 급성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 신전성 요인, 신장의 병변 또는 신후성 요인을 파악한다.
급성 사구체신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플루엔자, 감기, 위장염, 인후 통증이나 인두염 등과 같은 급성 질병을 앓았는지 질문하고, 소변 색이 점점
콩팥혈관 순환장애 : 프로스타글란딘 합성효소저해약, ACE inhibitor, cyclosporine or cy-closporin A
신후성
양측 요관의 폐색 : 후복막 섬유증, 자궁경부암 등 악성 종양의 골반강내 침윤,
결석, 유듀괴사
방광·요도의 폐색 : 전립선 비대, 전립선암, 신경이성 방광
요관폐색
요관내 (결석, 응혈괴, 조직편 등)
요관외 (요로·골반내 악성종양, 후복막 섬유증, 골반내 수술 등)
신성
혈관염, 사구체신염 : 급성 사구체신염, 급석 진행성 신염,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 악성 고혈압, 겉질괴사, 임신중독증, 경피증
급성 간질성 신염 : 약물성 (penicillin, NSAID, diuretics 등)
급성 요세관 괴사
허혈성 : 출혈, 쇼크, 외상 후, 화상
신독성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시스플라틴, 중금속, 조영제
myoglobinuria
각 장기 영향
비뇨기- 핍뇨나 무뇨/ 요비중 증가, 요중 Na농도 저하(신전성), 요비중 간소, 요중 Na 농도 상승(신성)
심장- 고혈압(신성), 저혈압(신전성)/심부전, 심 부정맥/심낭염, 심낭삼출증
호흡기-폐부종/늑막 삼출증/Kussmaul 호흡
위장계 - 식욕부진, 오심, 구내염/출혈/ 설사 또는 변비
신경계- 무기력함, 발작, 진전, 혼돈
전신 - 전신부종, 체중증기
혈액계 - 빈혈, 백혈구 증가증/혈소판 기능장애
대사 - BUN↑, creatinine ↑, K↑, phosphate↑/ Na↓, pH↓, HCO3↓, Ca↓
증상
1. 새뇨관여과속도의 급격한 저하 (수 일 ~ 수 주 간)
2. 소변감소증
3. 진행성 고질소혈증
4.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임상적 양상
발병기
신장 손상 상태가 수시간에서 수일 경과되었을 때
유발요인에 의해 시작되어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
혈청 creatinine 과 BUN 상승
핍뇨기
발병기 이후 1~7일에 나타나 2주간 지속
원인이 허혈일 경우 24시간 내 나타남
독성약물이 원인일 경우 7일 이후에 나타남
소변량이 400~500mL/24hr 이하
요비중 1.010로 고정, 소변 삼투압 300mOsm/kg
사구체 막의 이상일 경우 단백뇨
BUN, creatinine, 혈중 포타슘, 마그네숨, 인산 등이 증가
혈중 칼슘, 중탄산염의 감소
결과적으로 요독증으로 진행
이뇨기
핍뇨성 급성 신부전이 발병된 후 2~6주 후에 시작하여 1~3주간 지속하여 BUN 상승이 멈출 때까지
소변배설량이 500mL/일 이상일 때부터 혈중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상승이 중단되었을 때까지
세뇨관 요농축 능력의 상실로 인해 소변량은 1일 1~3L에서 시작하나 3~5L까지도 증가
지나친 이뇨로 저혈량, 저혈압 초래
질소 노폐물(BUN, creatinine) 증가
소듐 감소, 포타슘 증가, 탈수
대사성 산증 : 신장에서 암모니아 합성장애와 중탄산이온 재흡수장애로 인함
뇌와 신경계에 질소 노폐물이 축척되어 뇌 증상 (피로, 집중장애, 발작, 혼미, 혼수) 발현
회복기
수개월에서 1년 정도
사구체여과율이 증가하고 BUN과 creatinine이 감소함
신부전의 중증도와 합병증의 정도에 따라 회복이 달라짐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음
젊은 사람에 비해 나이가 많을수록 신기능이 저하됨
약간의 상흔 조직이 남게 된다. 기능적 손상이 항상 임상적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
진단
급성 신부전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과거 병력이 중요하다. 급성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 신전성 요인, 신장의 병변 또는 신후성 요인을 파악한다.
급성 사구체신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플루엔자, 감기, 위장염, 인후 통증이나 인두염 등과 같은 급성 질병을 앓았는지 질문하고, 소변 색이 점점
추천자료
급성 경막하 혈종 케이스 스터디
ARFcasestudy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CRF)케이스 및 당뇨와 고혈압 관계 간호진단
(간호학과)급성췌장염 케이스 Case study
아동간호학- ALL(급성림프구성백혈병)케이스
급성신부전
[간호학과] 소아과(PED,PICU) AML(acute myeloid leukemia/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아 케이스 ...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
아동간호실습 급성위장염 Acute gastroenteritis 케이스스터디
AKI 케이스
[아동간호학] 급성간염(acute hepatitis) 케이스스터디
A++++ 급성신장질환(Acute renal disease)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
급성신부전 급성통증 체액부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