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비율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신체기관의 성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감각발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미세운동 발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전체운동 발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2) 신체기관의 성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감각발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미세운동 발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전체운동 발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따라한다.
사회화/
인지기능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증가하며, 어머니가 사라지면 안절부절못한다.
간단한 동작, 소리를 흉내낸다.
잔기침이나 콧소리로 다른 사람의 주위를 끈다.
까꿍놀이를 한다.
싫어하는 음식은 입을 꼭 다물고 거부한다.
물어뜯거나 큰 소리를 지르면서 공격성을 나타낸다.
되풀이되는 자극에 반응하여 기대감을 나타낸다.
▶ 8개월
신체성장
정상 배뇨 양상을 보인다.
낙하산 반사(parachute reflex)가 나타난다(그림 10-4).
전체운동
기대지 않고 계속 앉아 있는다(그림 10-5E).
받쳐 주었을 때 쉽게 다리에 체중을 실을 수 있다. 가구를 잡고 일어설 수 있다.
물체에 다가가기 위한 자세를 취한다. 가구를 잡고 일어설 수 있다.
물체에 다가가기 위한 자세를 취한다.
미세운동
엄지와 검지, 무명지, 약지를 사용하여 물체를 집기 시작한다(그림 10-1).
종을 울린다.
세 번째 주사위를 쳐다보면서 2개의 주사위를 쥔다.
손에 닿는 거리 밖의 물체에 손을 뻗는다.
자기 뜻대로 물체를 놓는다.
감각기능
발성기능
자음소리 ‘ㄷ,ㅌ’ 등을 낸다.
익숙한 단어를 선택하여 듣는다.
말소리를 내서 강조하거나 기분을 표시한다.
음절을 합쳐 말을 하지만 뜻은 모른다.
사회화/
인지기능
부모 특히 어머니의 상실에 대한 걱정과 낯선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증가한다.
‘안돼’라는 말에 반응한다.
옷입기나 기저귀 가는 것을 싫어한다.
▶ 9개월신체성장
위쪽 측절치가 난다.
전체운동
기기 시작한다(처음에는 뒤로 기기도 한다).
거실에 오랜 시간 앉아 있는다(10분).
앞으로 기대어 있을 때 균형을 잡을 수 있지만 옆으로 기댄 경우는 균형을 잡지 못한다.
자기 자신을 끌어당겨 가구를 잡고 선다(그림 10-6B, C).
미세운동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잡는다(그림 10-1).
기능이 우세한 손을 더 자주 사용한다.
세 번째 주사위를 쥔다.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가져와 비교한다.
감각기능
-
발성기능
간단한 명령어에 반응한다.
‘안된다’를 이해한다.
사회화/
인지기능
부모, 특히 어머니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부모를 기쁘게 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침대에 혼자 자는 것을 두려워한다.
세수하지 않기 위해 팔로 얼굴을 가린다.
▶ 10개월
신체성장
미로정위반사(labyrinth-righting reflex)가 가장 강해진다. 앙와위나 복위 자세를 한 영아는 머리를 들 수 있다.
전체운동
엎드린 자세에서 앉을 수 있다.
가구를 잡고 일어 섰다가 넘어지면 않는다. 앉으면 쉽게 균형을 잡는다.
서 있을 때 한 쪽 발을 들고 앞으로 내딛는다(그림 10-6D).
미세운동
물체를 거칠게 놓기 시작한다.
종을 쥐고 다룬다.
감각기능
소리 나는 곳을 머리를 비스듬히 돌려 그쪽을 바라본다.
깊이에 대한 인식이 커진다.
발성기능
아빠, 엄마의 뜻을 알고 말한다.
‘빠이빠이’의 뜻을 이해한다.
한 단어를 말할 수 있다(빠이, 아니).
사회화/
인지기능
‘안돼’ 등의 명령어나 이름을 불러 어떤 행동을 금지시킨다.
얼굴 표정을 흉내내어, 빠이빠이 한다.
다른 사람에게 인형을 내밀지만 주지 않는다.
사물에 대한 영속성이 발달한다.
시선을 끌기 위한 동작을 반복하여 웃게 한다.
시선을 끌기 위해 다른 사람의 옷을 잡아당긴다.
가족과 같이 할 수 있는 놀이를 한다.
어른이 꾸짖으면 운다.
옷입기, 먹기, 운동기능에 독립성을 나타난다.
책에 있는 그림을 보고 따라한다.
▶ 11개월
신체성장
아래 측절치가 난다.
전체운동
앉은 자세에서 등으로 몸을 돌려 물건을 줍는다.
가구를 잡고 주변을 돌거나 걷는다.
미세운동
물체를 더 철저히 탐색한다(예: 종의 추).
집게 잡기를 잘한다.
일부러 물체를 떨어뜨려 집는다.
물체를 용기에 하나씩 담는다(연속놀이).
물체를 조작하고 포장지를 뜯는다.
감각기능
-
발성기능
명확한 말소리를 흉내낸다.
사회화/
인지기능
한 가지 과제를 완수하면 기쁨과 만족을 나타낸다.
제약에 대한 불만을 표현한다.
지시에 따라 공을 다른 사람에게 굴린다.
익숙한 자장가나 이야기를 들을 때 몸을 기댄다.
까꿍놀이, 아웅놀이를 한다.
‘싫다’는 뜻으로 머리를 흔든다.
▶ 12개월
신체성장
출생시 체중의 3배가 된다.
출생시 신장의 50%가 증가한다.
두위와 흉위가 같다(두위의 약 46cm).
총 6~8개의 유치가 난다.
대천문이 거의 닫힌다.
Laudau반사가 사라진다.
바빈스키 반사가 사라진다.
요추만곡이 발달하여 걷는동안 전만증이 나타난다.
전체운동
한 손을 잡고 걷는다.
잘 돌아다닌다.
순간적으로 혼자서 서려고 시도한다; 혼자서 첫걸음을 시도할 수 있다.
서 있는 자세에서 도움 없이 앉을 수 있다.
미세운동
컵에 주사위를 넣는다.
이층 블록 탑을 쌓으려 하나 실패한다.
입구가 좁은 병에 조그만 공을 넣으려 하지만 실패한다.
책을 한번에 많은 페이지를 넘긴다.
감각기능
원형 등 간단한 기하학적 형태를 구분한다.
양안시 결함으로 약시가 발달할 수 있다.
움직이는 물체를 빨리 따라갈 수 있다.
소리에 대한 반응을 조절한다.
발성기능
엄마, 아빠 외의 3~5개의 단어로 구성된 말을 한다.
몇 가지 단어의 뜻을 이해한다(이해하는 것이 말하는 것보다 앞선다).
물체의 이름을 안다.
동물소리를 흉내낸다.
간단한 명령을 이해한다. ‘이것을 주세요’, ‘눈을 보여주세요.’
사회화/
인지기능
질투나 애정(요구에 따라 키스나 안아주어야 한다), 화남, 두려움과 같은 감정을 드러낸다.
익숙한 환경을 즐기며, 부모에게서 떨어져 탐색한다.
낯선 상황에 두려움을 느껴 부모에게 매달린다.
특정 물체에 집착하여 안전감을 느끼고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진다.
운동기능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커진다.
감추어진 물건을 찾을 수 없으나 예전에 보았던 물건이 있는 곳을 찾을 수 있다.
[자료 2]표 4-1 한국 아동 발육 표준치
[자료 3] 성장차트 www.cdc.gov/growthcharts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총론 (2012), 김영혜 외 공저, 현문사, pp.424~432, p.756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2010),김미예 외 공저 , 수문사, pp.378~387
성장차트 www.cdc.gov/growthcharts
사회화/
인지기능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증가하며, 어머니가 사라지면 안절부절못한다.
간단한 동작, 소리를 흉내낸다.
잔기침이나 콧소리로 다른 사람의 주위를 끈다.
까꿍놀이를 한다.
싫어하는 음식은 입을 꼭 다물고 거부한다.
물어뜯거나 큰 소리를 지르면서 공격성을 나타낸다.
되풀이되는 자극에 반응하여 기대감을 나타낸다.
▶ 8개월
신체성장
정상 배뇨 양상을 보인다.
낙하산 반사(parachute reflex)가 나타난다(그림 10-4).
전체운동
기대지 않고 계속 앉아 있는다(그림 10-5E).
받쳐 주었을 때 쉽게 다리에 체중을 실을 수 있다. 가구를 잡고 일어설 수 있다.
물체에 다가가기 위한 자세를 취한다. 가구를 잡고 일어설 수 있다.
물체에 다가가기 위한 자세를 취한다.
미세운동
엄지와 검지, 무명지, 약지를 사용하여 물체를 집기 시작한다(그림 10-1).
종을 울린다.
세 번째 주사위를 쳐다보면서 2개의 주사위를 쥔다.
손에 닿는 거리 밖의 물체에 손을 뻗는다.
자기 뜻대로 물체를 놓는다.
감각기능
발성기능
자음소리 ‘ㄷ,ㅌ’ 등을 낸다.
익숙한 단어를 선택하여 듣는다.
말소리를 내서 강조하거나 기분을 표시한다.
음절을 합쳐 말을 하지만 뜻은 모른다.
사회화/
인지기능
부모 특히 어머니의 상실에 대한 걱정과 낯선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증가한다.
‘안돼’라는 말에 반응한다.
옷입기나 기저귀 가는 것을 싫어한다.
▶ 9개월신체성장
위쪽 측절치가 난다.
전체운동
기기 시작한다(처음에는 뒤로 기기도 한다).
거실에 오랜 시간 앉아 있는다(10분).
앞으로 기대어 있을 때 균형을 잡을 수 있지만 옆으로 기댄 경우는 균형을 잡지 못한다.
자기 자신을 끌어당겨 가구를 잡고 선다(그림 10-6B, C).
미세운동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잡는다(그림 10-1).
기능이 우세한 손을 더 자주 사용한다.
세 번째 주사위를 쥔다.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가져와 비교한다.
감각기능
-
발성기능
간단한 명령어에 반응한다.
‘안된다’를 이해한다.
사회화/
인지기능
부모, 특히 어머니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부모를 기쁘게 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침대에 혼자 자는 것을 두려워한다.
세수하지 않기 위해 팔로 얼굴을 가린다.
▶ 10개월
신체성장
미로정위반사(labyrinth-righting reflex)가 가장 강해진다. 앙와위나 복위 자세를 한 영아는 머리를 들 수 있다.
전체운동
엎드린 자세에서 앉을 수 있다.
가구를 잡고 일어 섰다가 넘어지면 않는다. 앉으면 쉽게 균형을 잡는다.
서 있을 때 한 쪽 발을 들고 앞으로 내딛는다(그림 10-6D).
미세운동
물체를 거칠게 놓기 시작한다.
종을 쥐고 다룬다.
감각기능
소리 나는 곳을 머리를 비스듬히 돌려 그쪽을 바라본다.
깊이에 대한 인식이 커진다.
발성기능
아빠, 엄마의 뜻을 알고 말한다.
‘빠이빠이’의 뜻을 이해한다.
한 단어를 말할 수 있다(빠이, 아니).
사회화/
인지기능
‘안돼’ 등의 명령어나 이름을 불러 어떤 행동을 금지시킨다.
얼굴 표정을 흉내내어, 빠이빠이 한다.
다른 사람에게 인형을 내밀지만 주지 않는다.
사물에 대한 영속성이 발달한다.
시선을 끌기 위한 동작을 반복하여 웃게 한다.
시선을 끌기 위해 다른 사람의 옷을 잡아당긴다.
가족과 같이 할 수 있는 놀이를 한다.
어른이 꾸짖으면 운다.
옷입기, 먹기, 운동기능에 독립성을 나타난다.
책에 있는 그림을 보고 따라한다.
▶ 11개월
신체성장
아래 측절치가 난다.
전체운동
앉은 자세에서 등으로 몸을 돌려 물건을 줍는다.
가구를 잡고 주변을 돌거나 걷는다.
미세운동
물체를 더 철저히 탐색한다(예: 종의 추).
집게 잡기를 잘한다.
일부러 물체를 떨어뜨려 집는다.
물체를 용기에 하나씩 담는다(연속놀이).
물체를 조작하고 포장지를 뜯는다.
감각기능
-
발성기능
명확한 말소리를 흉내낸다.
사회화/
인지기능
한 가지 과제를 완수하면 기쁨과 만족을 나타낸다.
제약에 대한 불만을 표현한다.
지시에 따라 공을 다른 사람에게 굴린다.
익숙한 자장가나 이야기를 들을 때 몸을 기댄다.
까꿍놀이, 아웅놀이를 한다.
‘싫다’는 뜻으로 머리를 흔든다.
▶ 12개월
신체성장
출생시 체중의 3배가 된다.
출생시 신장의 50%가 증가한다.
두위와 흉위가 같다(두위의 약 46cm).
총 6~8개의 유치가 난다.
대천문이 거의 닫힌다.
Laudau반사가 사라진다.
바빈스키 반사가 사라진다.
요추만곡이 발달하여 걷는동안 전만증이 나타난다.
전체운동
한 손을 잡고 걷는다.
잘 돌아다닌다.
순간적으로 혼자서 서려고 시도한다; 혼자서 첫걸음을 시도할 수 있다.
서 있는 자세에서 도움 없이 앉을 수 있다.
미세운동
컵에 주사위를 넣는다.
이층 블록 탑을 쌓으려 하나 실패한다.
입구가 좁은 병에 조그만 공을 넣으려 하지만 실패한다.
책을 한번에 많은 페이지를 넘긴다.
감각기능
원형 등 간단한 기하학적 형태를 구분한다.
양안시 결함으로 약시가 발달할 수 있다.
움직이는 물체를 빨리 따라갈 수 있다.
소리에 대한 반응을 조절한다.
발성기능
엄마, 아빠 외의 3~5개의 단어로 구성된 말을 한다.
몇 가지 단어의 뜻을 이해한다(이해하는 것이 말하는 것보다 앞선다).
물체의 이름을 안다.
동물소리를 흉내낸다.
간단한 명령을 이해한다. ‘이것을 주세요’, ‘눈을 보여주세요.’
사회화/
인지기능
질투나 애정(요구에 따라 키스나 안아주어야 한다), 화남, 두려움과 같은 감정을 드러낸다.
익숙한 환경을 즐기며, 부모에게서 떨어져 탐색한다.
낯선 상황에 두려움을 느껴 부모에게 매달린다.
특정 물체에 집착하여 안전감을 느끼고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진다.
운동기능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커진다.
감추어진 물건을 찾을 수 없으나 예전에 보았던 물건이 있는 곳을 찾을 수 있다.
[자료 2]표 4-1 한국 아동 발육 표준치
[자료 3] 성장차트 www.cdc.gov/growthcharts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총론 (2012), 김영혜 외 공저, 현문사, pp.424~432, p.756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2010),김미예 외 공저 , 수문사, pp.378~387
성장차트 www.cdc.gov/growthcharts
추천자료
아동의 영역별 발달과 교육과정
영아기 발달 특성,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아기 발달 특성과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영아기 발달 특성과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아동발달] 언어발달 과정에 관해서
태내기 및 영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 태내기 및 영아기 자녀를 둔 바람직한 부모의 ...
부모교육4A>>태내기 및 영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태내기 및 영아기 자녀를 둔 ...
[정신건강] 영유아기 및 아동기의 발달특성과 이 시기에 갖는 문제 및 정신건강에 대해 설명...
보유교사자격증 레포트 아동건강교육
[부모교육 B형] 영아기 및 유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영아기 및 유아기 자녀를 ...
[부모교육 B형] 영아기 및 유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영아기 및 유아기 자녀를 ...
영아기 발달장애(영아기 정신지체 및 전반적 발달장애 - 영아기 자폐증, 레트장애, 아스퍼거...
영아기 신체발달(영아의 신체성장과 운동발달, 영아기 이행운동과 조작능력 발달, 영아기 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