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경색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뇌경색 ····························································· p.
1. 정의
2. 병태생리
3. 종류
4. 위험인자
5. 임상적 증상
6. 진단
7. 치료와 간호


Ⅱ 간호사정 ··························································· p.



Ⅲ. 참고문헌 ·························································· p.

본문내용

증가, WBC의 증가
항응고제 투여를 위해 PT, PTT를 측정
전해질, 혈당, 요산 등을 검사
② 컴퓨터 단층촬영 (CT)
안전하고 검사시간이 짧으며 뇌경색과 뇌출혈을 쉽게 구분
정맥 또는 동맥 혈전 용해술 처치 전에 응급실에서 먼저 CT를 촬영
③ 뇌 자기공명영상 MRI
CT 보다 먼저 MRI 상에 뇌졸중의 경색부위가 나타나며 작은 병변이나 뇌간에 위치한 뇌졸중도 찾을 수 있음
검사시간이 20분 이상 소요되며 비용 비쌈
환자 상태가 불안정하여 안정을 취할 수 없을 때나 체내에 금속 물질이 들어 있는 경우 영상의 정확도가 떨어짐
경동맥 초음파
목에 있는 경동맥과 추골 동맥의 혈류 속도와 폐쇄 여부, 동맥경화 정도 검사
뇌혈관조영술 (Angiography)
혈관이 좁아지나 막힌 곳을 확인
동맥의 협착, 폐색, 출혈 유무의 진단
특수한 도관을 사타구니의 대퇴동맥을 통하여 삽입하여 뇌혈관의 상태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가장 정확한 검사
검사 도중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
도관을 삽입한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 후 8시간이상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검사 부위를 압박한 상태로 절대안정
자기공명영상 혈관조영술
주로 MRI와 함께 시행, 혈관의 이상을 확인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
두 대강 내외 혈관의 협착과 폐색을 구별
반과 대퇴의 연결부위에 국소마취를 시행한 후 동맥을 통하여 작은 관을 삽입한 후 조영제를 주사하여 조영제가 혈관을 통과하는 과정을 사진을 찍어 뇌혈관을 직접 촬영
7. 치료와 간호
초기증상이라 느껴지면 지체하지 말고 내원 → 혈류가 감소되거나, 혈관이 막힌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뇌 손상의 범위가 확대 (손상된 뇌는 회복 불가능)
발병 후 3~6시간(급성기) 이내에 혈전용해제가 투여→ 뇌 손상을 최소화
3~6시간이후에 혈전용해술을 시행할 경우, 뇌출혈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금기
1) 혈전용해술
혈전을 녹일 수 있는 재조합 효소를 직접 정맥 혹은 동맥을 통하여 주입
급성기에 투여할 경우 막힌 혈관을 다시 열기 가능
발생 3-6시간 이내의 뇌경색만 시도
혈액검사 및 뇌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하여 혈전 용해제를 사용할 수 있는 환자인지 확인한 이후에만 투여
① 정액을 통한 혈전 용해제 투여
발생 3시간 이내에 정맥을 통해 혈전용해제를 주사
뇌혈관 조영술을 이용하는 동맥내 혈전용해술에 비해 시술이 간편하고 , 뇌혈관조영술에 따른 부작용과 위험이 없음
뇌출혈 , 기타 장기출혈 위험.
② 동맥을 통한 혈전용해제 투여
발생 3-6시간 이내인 경우 동맥내 혈전 용해술을 시행하
응급실에 내원하면 뇌 CT와 MRI를 시행 후 동맥혈전용해제 투여 여부를 결정, 환자, 보호자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시행
급성기가 경과한 이후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경우 급성기 합병증 발생을 막기 위한 보존 적 치료를 시행하고 혈소판억제제를 투여하여 뇌졸중의 재발을 막는 치료
2) 수술
① 경동맥 내막절제술
경동맥이 심하게 좁아진 경우 허혈 부위의 동맥을 개방하고 혈류를 증가시켜 뇌졸중 진행을 막음
② 뇌감압술
뇌경색이 발생 한 후 뇌가 붓거나 뇌압이 오르면 뇌간의 중요한 부위를 압박하여 생명이 위태로움
뇌압을 줄일 수 있으며 압박의 정도를 줄임
③ 뇌혈관우회술
뇌의 바깥쪽에 있는 혈관을 뇌 안쪽에 있는 혈관과 연결해주는 수술을 하여 뇌 안쪽으로 가는 피의 양을 늘림
동맥류 클립
동맥류를 수술을 통해 클립하여 제거해 주는 방법
뇌졸중의 원인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부정맥 등에 대한 치료도 반드시 병행 동시에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장기적으로 뇌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함
Case Study
※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1. 일반적 정보
이름: 김00 병실: 251 성별: 여 연령: 86
진단명: 열공성 뇌경색 (lacunar stroke)
수술명:
입원기간: 2016년 10월 21일 ~
자료수집기간:
결혼상태: 기혼 교육수준: 초졸 직업 및 직위: 가정주부
2. 병력, 과거력(과거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주증상: Rt.hand weakness 있어 Brain CT Flu 권유받아 00대학병원 전원하여
MRI Flu (acute lacunar inf. left side CR) & adm Tx,
증상 호전보여 본원 adm Tx
발병일시: 2008년 10월 15일
현병력: 고혈압 (hypertension)
과거병력: HTN/DM/Tb/Hepa (-/-/-/+)
OA (20~30년전 p.o복용하다가 중단)
부정맥·심장판막증 (13년전 xxx병원)
Rt.TKR 시행 (13년전 xxx병원)
두부건조증 (5~6년전부터 xxx병원)
가족력: 당뇨 고혈압 V 심질환
악성종양 간질환 호흡기 질환
관절염 혈액질환 불구
3. 현재 질환과 관련된 입원 전 치료과정, 입원 후 치료과정
없음
4. 신체검진 및 간호사정
1) 영양(Nutrition)
키: 160 cm 체중: 92 kg
최근의 체중변화: 87kg (11월) → 92kg (1월)
체중 증가( V ) 감소( ) 유지( )
식욕상태 왕성( ) 보통( ) 식욕부진( V )
식사종류 일반식( V ) 금식( ) 특별식이( )
음식물섭취 경로 구강( V ) 비위관( ) 위루( ) 총비경구영양(TPN)( ) 정맥수액( )
일일 식사횟수 : 3회 (규칙적)
음식 알러지 없음 연하기능장애 없음 치아상태 정상
의치 없음 오심 없음 구토 없음
변비 없음 설사 없음 장음 없음 복통 없음
비위관 튜브, 위장관 흡인 없음
TPN 없음
2) 배설(Elinination)
(1) 배뇨
빈도 : 1~2회/일 소변량: 700ml/일 소변색: 노란색 규칙적: 불규칙적
양상 정상( V ) 빈뇨( ) 배뇨지연( ) 긴박뇨( ) 핍뇨( ) 요실금( V )
경로 정상( V ) 도뇨관삽입( ) 방광루( ) 기타:
기저귀 없음 kismo 없음 간헐적도뇨, 유치도뇨 없음
(2) 배설
빈도: 1 회/일 규칙적 ( V ) 불규칙 ( )
양상: 정상( V ) 변비( ) 설사( ) 실금( )
경로: 정상( V ) 기타경로:
마지막 배변날짜: 전날 밤
장음: 정상( V ) 증가( ) 감소( )
음식섭취
  • 가격1,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7.03.05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5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