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신의 증상과 징후
1) 추정적 징후
2) 가정적 징후
3) 확정적 징후
2. 임신 검사
3. 산과력
1) 추정적 징후
2) 가정적 징후
3) 확정적 징후
2. 임신 검사
3. 산과력
본문내용
임신의 진단과 산과력
1. 임신의 증상과 징후
1) 추정적 징후
2) 가정적 징후
3) 확정적 징후
2. 임신 검사
3. 산과력
임신의 징후
시기(재태기간)
징후
임신 외 다른 원인
①추정적 징후
3~4주
4주
4~14주
6~14주
12주
16~20주
유방의 변화
무월경
오심과 구토
빈뇨
피로
첫 태동
월경 전 변화, 경구피임약
스트레스, 과중한 운동, 조기 폐경, 내분비계 문제, 영양 불량
소화불량
감염, 자궁강내 종양
스트레스, 질환
장내 가스, 장의 움직임
②가정적 징후
5주
6~8주
6~12주
4~12주
6~12주
16주
16~28주
Goodell sign
Chadwick sign
Hagar sign
임신검사 양성(혈청)
임신검사 양성(소변)
Braxton Hicks contractions
Ballottement
골반강내 충혈
골반강내 충혈
골반강내 충혈
포상기태, 융모막 종양
골반강내 감염이나 종양으로 인한 위양성 반응
자궁근중, 다른 종양
종양, 자궁목폴립(버섯종)
③확정적 징후
5~6주
6주
16주
8~16주
17~19주
19~22주
임신말기
초음파로 태아 확인
초음파로 태아심음 확인
방사선 검사로 태아 확인
초음파 청진기(doppler)로 태아심음 확인
태아심음청진기로 태아심음 확인
태아움직임을 촉진으로 확인
눈으로 태아 움직임 확인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1. 임신의 증상과 징후
1) 추정적 징후 (presumptive signs)
주로 임부에 의해 느끼는 변화 (주관적)
추정적 징후만으로는 임신이라고 확실하게 진단 내릴 수 없음
추정적 징후
유방의 민감성 증가
유방의 단단함과 민감성 증가는 임신의 첫 징후
월경 전, 피임약 복용, 상상임신, 난소종양 시에 나타날 수 있음
무월경
예정월경일 이후 10일 이상 계속되는 무월경이면 임신을 의심할 수 있음
스트레스, 과중한 운동, 폐경 초기 호르몬의 변화로 월경이 중지될 수도 있음
오심, 구토
임신 6주경에 시작하여 12주 후에 자연히 사라짐
(임신 내내 지속되기도 함)
빈뇨
임신 중 호르몬
1. 임신의 증상과 징후
1) 추정적 징후
2) 가정적 징후
3) 확정적 징후
2. 임신 검사
3. 산과력
임신의 징후
시기(재태기간)
징후
임신 외 다른 원인
①추정적 징후
3~4주
4주
4~14주
6~14주
12주
16~20주
유방의 변화
무월경
오심과 구토
빈뇨
피로
첫 태동
월경 전 변화, 경구피임약
스트레스, 과중한 운동, 조기 폐경, 내분비계 문제, 영양 불량
소화불량
감염, 자궁강내 종양
스트레스, 질환
장내 가스, 장의 움직임
②가정적 징후
5주
6~8주
6~12주
4~12주
6~12주
16주
16~28주
Goodell sign
Chadwick sign
Hagar sign
임신검사 양성(혈청)
임신검사 양성(소변)
Braxton Hicks contractions
Ballottement
골반강내 충혈
골반강내 충혈
골반강내 충혈
포상기태, 융모막 종양
골반강내 감염이나 종양으로 인한 위양성 반응
자궁근중, 다른 종양
종양, 자궁목폴립(버섯종)
③확정적 징후
5~6주
6주
16주
8~16주
17~19주
19~22주
임신말기
초음파로 태아 확인
초음파로 태아심음 확인
방사선 검사로 태아 확인
초음파 청진기(doppler)로 태아심음 확인
태아심음청진기로 태아심음 확인
태아움직임을 촉진으로 확인
눈으로 태아 움직임 확인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다른 원인 없음
1. 임신의 증상과 징후
1) 추정적 징후 (presumptive signs)
주로 임부에 의해 느끼는 변화 (주관적)
추정적 징후만으로는 임신이라고 확실하게 진단 내릴 수 없음
추정적 징후
유방의 민감성 증가
유방의 단단함과 민감성 증가는 임신의 첫 징후
월경 전, 피임약 복용, 상상임신, 난소종양 시에 나타날 수 있음
무월경
예정월경일 이후 10일 이상 계속되는 무월경이면 임신을 의심할 수 있음
스트레스, 과중한 운동, 폐경 초기 호르몬의 변화로 월경이 중지될 수도 있음
오심, 구토
임신 6주경에 시작하여 12주 후에 자연히 사라짐
(임신 내내 지속되기도 함)
빈뇨
임신 중 호르몬
추천자료
모성간호 실습 케이스 -조기양막파열 (PROM) 문헌고찰, 사정 ,진단 포함
본인과 주변 친구들을 통해서 본 대학생의 성문화(가치, 행동, 문제점 중심)를 진단하고, 본...
분만 (문헌고찰, 처치, DR에서 자주 쓰는 약물, 간호진단)
<불임(infertility)> (불임이란?, 불임의 원인, 불임 진단, 불임 치료, 문제점, 정부의 정책)...
특수교육의 이해, 학습장애아동교육, 학습장애 아동 정의 특성 교육,학습장애 교육의 역사,학...
모성간호학 case (cpd c/sec-산과, 자궁내막증-부인과: 문헌고찰, 자료수집, 간호진단)
추천자료[영화를 통해 알아 본 자폐증] 영화 말아톤 속 장애, 자폐증 영화, 말아톤 속 장애, ...
베체트병(Bechet's disease) 문헌고찰 & 케이스, 임산부 급성통증, 변비, 고체온 간호과...
[의약학]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지역사회건강 문제와 간호 - 가족건강상태에 대한 탐색, 가족구조 탐색, 가족발달 탐색, 가...
[A+, 교수님께 칭찬받은 케이스] 아동간호 실습 케이스 Case 열성경련 열성발작 Febrile seiz...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 포상기태정의, 포상기태원인, 포상기태빈도, 포상기태증상, 포...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케이스, 난소암 CASE, 난소암 간호과정, 난소암 간호진단, 난소암 사례...
[모성간호A+]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 간호과정 자연두정태위분만 간호과정 자연분만 case 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