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중국의 3대 경제권
1. 중국의 지원정책
2. 3대 경제권의 기반 산업
Ⅲ. 주강삼각주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Ⅳ. 장강삼각주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Ⅴ. 환발해 경제권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Ⅵ. 한국 기업
1. 한국기업의 3대 경제권 진출 현황
2. 한국기업의 산업 기반
3. 한국기업의 발전 전망
Ⅶ. 결론
Ⅱ. 중국의 3대 경제권
1. 중국의 지원정책
2. 3대 경제권의 기반 산업
Ⅲ. 주강삼각주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Ⅳ. 장강삼각주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Ⅴ. 환발해 경제권
1. 발전시기와 산업 현황
2. 발전 가능성
3. 문제점과 방안
Ⅵ. 한국 기업
1. 한국기업의 3대 경제권 진출 현황
2. 한국기업의 산업 기반
3. 한국기업의 발전 전망
Ⅶ. 결론
본문내용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 47.2% 에 비해 매우 높다. 대중 투자에서 도소매업과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2년 각각 0.14%, 1.62%에 불과하였으나 2006년에는 7.26%, 5.15%로 상승했다.」
2. 한국기업의 산업 기반
1992년 수교 이후 양국 간 교역규모 증가와 함께 교역품목 구조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의 대중 주요 수출품목의 구성을 비교해 볼 때 나수엽 “경제교류 통계로 본 한·중 수교 15주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년 7월 10일) P.6
「수교 초기에는 공업용 원자재 및 중간재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첨단기술 제품 중심으로 수출품목이 다변화, 고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수교 첫해인 1992년 한국의 대중 주요 수출 품목은 철강판, 합성수지, 선재봉강 및 철근 등 대부분 공업용 원자재 및 중간재 중심이었으나, 2006년 주요 수출 품목은 반도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을 비롯하여 첨단기술 제품 위주로 변화함으로써 수출품목의 구조가 고도화되었다.
《표-3》1992년 한국의 대중 10대 수출품목 및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출처: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한국의 대중 수입품목 구조 역시 크게 바뀌었는데 1992년 식물성 물질, 원유, 섬유류 등 농산물 및 광산물이 대중 수입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6년에는 컴퓨터, 반도체 등 IT·전자제품이 대중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표-4》2006년 한국의 대중 10대 수출품목 및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출처: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3. 한국기업의 발전 전망
중국의 투자환경 변화가 노동집약적 산업, 저부가가치 산업 등의 투자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및 기타의 투자는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중소기업은 투자환경 변화에 따른 제도가 정착되는 추세를 당분간 관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은 투자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는 투자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해외경제연구소 동북아 팀 “우리나라의 2007년 대 중국 직접투자 동향” 전문연구원 조예림
(2008년2월28일) P.8
「노무, 조세 등 전반적인 투자환경 악화에도 불고하고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 분야에 대해서는 우대혜택을 여전히 제공」하기 때문에 이런 분야로의 진출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이 아니라 하더라도 중국기업과 차별화된 기술, 디자인, 생산 공정을 통하여 확대되는 내수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Ⅶ. 결론
이상으로 3개 경제발전 지역의 산업현황, 발전가능성, 한국기업의 진출현황과 산업기반, 발전 전망 등을 살펴보았다. 중국 경제는 과거 개혁개방 시기와는 다르게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본격적으로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이다. 경제적 잠재력이 큰 지역을 선정하여 대대적인 정책을 펼쳐서 중국의 경제를 지탱하는 3대 경제권역으로 발전 시켰다. 뒤늦게 발전한 환발해 경제권은 북경을 중심으로 지역의 경제발전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지만, 환발해 지역의 인구 및 자원을 활용하여 동북아 경제권에서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풍부한 고급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어서 향후 세계시장으로 발전 할 만 한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중국은 현재 그들의 궁핍한 생활을 만회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속의 경제를 그들의 뜻대로 중심에 놓으려고 하는 듯이 보인다. 비록 아직까지는 중국이 선진적인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고는 볼 수 없으나 이들 지역 내의 분업체계 형성과 도시 간 협력을 통해 지역 간 경쟁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 전망되고, 향후 가까운 시일 안에 중국이 기술 혁신적 세계자본주의 구도에 중심이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지난 10여 년간 중국 경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해 왔으며 앞으로도 상당한 기간 동안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며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할 것이다. 이제 중국은 한국경제와 기업에 대한 핵심 환경요인이 되어 정치, 경제, 기업전략 등 모든 측면에서 중국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한국기업의 경제발전 전략을 성공시킬 수 없을 것이다.
Ⅷ. 참고자료
1. 참고 보고서
(1) 나수엽「경제교류 통계로 본 한·중 수교 15년」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년7월10일)
(2) 정상은 수석연구원 「변화하는 중국의 외국인투자정책」삼성경제연구소 (2006년7월19일 제562호)
(3) 전문연구원 조예림 「우리나라의 2007년 대 중국 직접투자 동향」해외경제연구소 동북아 팀 (2008년2월28일)
(4) 조진철, 윤별아「중국 3대 경제발전지역의 현황 및 전망」중국의 경제성장과 지역개발 전략2 (2005년1월3일)
(5) 편집부, 「중국의 투자개황」, 중국자동차산업정보센터
(6) 추태수「관우중국삼대경제지구물류일체화적연구 =중국 3대 경제구역 물류 일체화에 관한 연구」서울 :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2007년)
(7) 한·중 과학기술협력센터 「장강삼각주와 환발해지역 발전현황과 문제점」(2005년7월7일)
2. 인터넷자료
(1) [China Rush]차이나 떠받드는 3각 지대…식지 않는 성장 동력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4160006
(2) ‘현재 외자 및 대외무역 정책’ 분석 http://csf.kiep.go.kr/bri/policy/policy_view.aspx?seq=3309&SType=0
(3) “장강삼각주여주강삼각주경제발전적비교“ http://www.zaobao.com/cnyangtse/pages/cnyangtse_zx050420b.html
(4) “장강삼각주경제권적유래”
http://www.chinalabs.com/view/010013TE.html
(5) “투자정책조공잉재축보탐색“ http://www.bbcer.com/special/001001/3184/
(6) “배발해경제구“ http://baike.baidu.com/view/293545.htm
2. 한국기업의 산업 기반
1992년 수교 이후 양국 간 교역규모 증가와 함께 교역품목 구조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의 대중 주요 수출품목의 구성을 비교해 볼 때 나수엽 “경제교류 통계로 본 한·중 수교 15주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년 7월 10일) P.6
「수교 초기에는 공업용 원자재 및 중간재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첨단기술 제품 중심으로 수출품목이 다변화, 고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수교 첫해인 1992년 한국의 대중 주요 수출 품목은 철강판, 합성수지, 선재봉강 및 철근 등 대부분 공업용 원자재 및 중간재 중심이었으나, 2006년 주요 수출 품목은 반도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을 비롯하여 첨단기술 제품 위주로 변화함으로써 수출품목의 구조가 고도화되었다.
《표-3》1992년 한국의 대중 10대 수출품목 및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출처: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한국의 대중 수입품목 구조 역시 크게 바뀌었는데 1992년 식물성 물질, 원유, 섬유류 등 농산물 및 광산물이 대중 수입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6년에는 컴퓨터, 반도체 등 IT·전자제품이 대중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표-4》2006년 한국의 대중 10대 수출품목 및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출처: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3. 한국기업의 발전 전망
중국의 투자환경 변화가 노동집약적 산업, 저부가가치 산업 등의 투자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및 기타의 투자는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중소기업은 투자환경 변화에 따른 제도가 정착되는 추세를 당분간 관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은 투자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는 투자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해외경제연구소 동북아 팀 “우리나라의 2007년 대 중국 직접투자 동향” 전문연구원 조예림
(2008년2월28일) P.8
「노무, 조세 등 전반적인 투자환경 악화에도 불고하고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 분야에 대해서는 우대혜택을 여전히 제공」하기 때문에 이런 분야로의 진출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이 아니라 하더라도 중국기업과 차별화된 기술, 디자인, 생산 공정을 통하여 확대되는 내수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Ⅶ. 결론
이상으로 3개 경제발전 지역의 산업현황, 발전가능성, 한국기업의 진출현황과 산업기반, 발전 전망 등을 살펴보았다. 중국 경제는 과거 개혁개방 시기와는 다르게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본격적으로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이다. 경제적 잠재력이 큰 지역을 선정하여 대대적인 정책을 펼쳐서 중국의 경제를 지탱하는 3대 경제권역으로 발전 시켰다. 뒤늦게 발전한 환발해 경제권은 북경을 중심으로 지역의 경제발전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지만, 환발해 지역의 인구 및 자원을 활용하여 동북아 경제권에서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풍부한 고급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어서 향후 세계시장으로 발전 할 만 한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중국은 현재 그들의 궁핍한 생활을 만회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속의 경제를 그들의 뜻대로 중심에 놓으려고 하는 듯이 보인다. 비록 아직까지는 중국이 선진적인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고는 볼 수 없으나 이들 지역 내의 분업체계 형성과 도시 간 협력을 통해 지역 간 경쟁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 전망되고, 향후 가까운 시일 안에 중국이 기술 혁신적 세계자본주의 구도에 중심이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지난 10여 년간 중국 경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해 왔으며 앞으로도 상당한 기간 동안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며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할 것이다. 이제 중국은 한국경제와 기업에 대한 핵심 환경요인이 되어 정치, 경제, 기업전략 등 모든 측면에서 중국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한국기업의 경제발전 전략을 성공시킬 수 없을 것이다.
Ⅷ. 참고자료
1. 참고 보고서
(1) 나수엽「경제교류 통계로 본 한·중 수교 15년」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년7월10일)
(2) 정상은 수석연구원 「변화하는 중국의 외국인투자정책」삼성경제연구소 (2006년7월19일 제562호)
(3) 전문연구원 조예림 「우리나라의 2007년 대 중국 직접투자 동향」해외경제연구소 동북아 팀 (2008년2월28일)
(4) 조진철, 윤별아「중국 3대 경제발전지역의 현황 및 전망」중국의 경제성장과 지역개발 전략2 (2005년1월3일)
(5) 편집부, 「중국의 투자개황」, 중국자동차산업정보센터
(6) 추태수「관우중국삼대경제지구물류일체화적연구 =중국 3대 경제구역 물류 일체화에 관한 연구」서울 :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2007년)
(7) 한·중 과학기술협력센터 「장강삼각주와 환발해지역 발전현황과 문제점」(2005년7월7일)
2. 인터넷자료
(1) [China Rush]차이나 떠받드는 3각 지대…식지 않는 성장 동력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4160006
(2) ‘현재 외자 및 대외무역 정책’ 분석 http://csf.kiep.go.kr/bri/policy/policy_view.aspx?seq=3309&SType=0
(3) “장강삼각주여주강삼각주경제발전적비교“ http://www.zaobao.com/cnyangtse/pages/cnyangtse_zx050420b.html
(4) “장강삼각주경제권적유래”
http://www.chinalabs.com/view/010013TE.html
(5) “투자정책조공잉재축보탐색“ http://www.bbcer.com/special/001001/3184/
(6) “배발해경제구“ http://baike.baidu.com/view/293545.htm
추천자료
- 다국적기업의 현황과 전망
-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 한반도의 동북아물류중심의 가능성과 전략
- 외국인 투자 유치 정책의 현황 및 과제
- 국내중소기업 대중국 마케팅전략 연구
- 기업의 중국 유통시장으로의 진출
- 중국경제의 현황과 향후 전망
- 기업의중국유통시장으로의진출
- [A+] 훈춘 국제 물류 거점으로서 타당성 검토 - 국제 물류 거점으로서 타당성 검토, 훈춘 현...
- 외국인직접투자(해외투자, 외국자본투자) 기업, 은행산업, 외국인직접투자(해외투자, 외국자...
- 이랜드(E-Land) 중국시장진출 마케팅 성공전략분석과 이랜드 SWOT,STP,4P전략분석과 이랜드향...
- 중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한류문화,관광마케팅사례,글로벌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
- 한국타이어의 중국 해외직접투자
소개글